"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리뷰어는 파이썬 지식이 거의 없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최근 프로젝트에서 TTS를 활용한 챗봇을 만들 뻔한 경험이 있어요. 당시 OpenAI API를 활용할 가능성이 언급되었지만, 결국 프로젝트는 무산되었죠. 하지만 그때부터 AI와 GPT API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고, 기회가 된다면 더 깊이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개발자로서 ChatGPT는 이미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고, 저는 그 내부 원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궁금했어요.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만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GPT API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해보고 싶었어요.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그런 저의 기대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었기에, 주저 없이 선택했어요.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썬
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요했어요. 사실 저도 충분히 알지는 못했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ChatGPT에게 질문하며 예제를 해석했어요. 어떻게 보면 겸사겸사 파이썬 공부도 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리고 이 책은 전체 예제를 깃허브 리포지토리로 제공했기 때문에 실습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솔직히 그동안 ChatGPT를 매일 같이 사용하면서도, 각 모델이 어떤 변천사를 거쳐왔는지, 이 LLM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어요. 그냥 "GPT-4가 더 강력하다더라"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 왜 강력한지, 어떤 구조적 차이가 있는지,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는지는 제대로 몰랐죠.
이 책은 첫 장부터 GPT-1부터 최신 GPT-4o까지의 발전 과정을 상세하게 다룹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롬프트 인젝션(Prompt Injection)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는 것도 매우 인상적이었어요.
기본적으로 LLM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하는데, 특정한 방식으로 입력을 설계하면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모델이 동작할 수도 있다는 거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이러한 위협을 어떻게 방어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볼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이 책의 장점은 이론 중심이 아니라 실습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라 생각합니다.덕분에 단순히 "이렇게 하면 된다"가 아니라, 직접 해보면서 배우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들은 단순한 코드 예제가 아니라, 각각의 기능이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덕분에 단순히 코드를 읽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실행하고, 수정하고, 실험하면서 GPT API의 활용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GPT API를 단순히 호출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응답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최적화 방법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오픈AI 모델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법을 비교하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주었어요.
비용과 성능을 고려할 때 처음부터 비싼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모델을 개선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단순한 프롬프트 최적화부터 파인 튜닝, RAG까지 점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이 있습니다.
책에서는 단순히 기법을 소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적화가 이루어지는 전체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자료도 제공했어요.
이 흐름을 보면서, 처음부터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을 선택할 필요 없이, 단계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실히 배울 수 있었어요.
이 책에서는 GPT API를 활용할 때 유용한 AI 프레임워크들도 다루었어요.
이 프레임워크들을 활용하면 단순히 GPT API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LLM이 실제 서비스들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가 궁금했어요. 목차에 'LLM 비즈니스 활용 사례' 제목이 있는 것을 보고 혹한 이유도 있었죠! 목차에는 아래 기업들이 나열되어 있었어요.
- 비 마이 아이즈
- 모건 스탠리
- 칸 아카데미
- 듀오링고
- 야블
- 웨이마크
- 인월드 AI
제가 아는 기업은 '모건 스탠리', '칸 아카데미', '듀오링고'가 있었습니다. 어떤 서비스인지 알아야 어떻게 적용했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챗봇
구축 : 내부 금융 관련 콘텐츠에 관한 포괄적인 검색을 수행하고, 자사에 축적된 지식을 효율적으로 활용칸미고
개발: 학생들에게 수업하고 질문하며, 시험 문제 제작, 수업 계획, 학생 관리, 교재 제작 등을 수행하는 친근한 형태의 AI 어시스턴스
역할극
(Roleplay)과 내 답변 설명
(Explain My Answer) 기능 추가하지만 막상 책장을 펼쳐보니 사례는 굉장히 단출하게만 소개되어 있었어요...! 모델을 사용하여 어떤 기능을 만들었다 정도였습니다. 상세하게는 아니더라도 어떤 필요성이 있었고, 어떤 기법을 이용하여 어떻게 구축이 되었고, 어떤 효과를 보았는지가 궁금했었죠. 이 궁금증은 해소하지 못하여 다소 아쉬웠습니다.
다만 오픈AI 웹사이트에서 기업들의 사례가 많다는 것은 알 수 있었어요.
책의 "6.2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챕터가 있긴 하지만, 실제로 LLM 애플리케이션을 처음부터 배포까지 구축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따라가기엔 부족한 점이 있었습니다.
단순한 API 호출을 넘어서 실제 운영 가능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프로젝트 구조, 배포, 테스트, 모니터링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또한, GPT API를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제대로 배우려면, 단순한 코드 조각이 아니라 하나의 완성된 서비스 구축 과정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특히 추천해 드려요:
다만, 파이썬 지식이 전혀 없는 분들은 기본적인 파이썬 문법을 먼저 학습한 후에 이 책을 접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그래도 예제 코드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지식만 있다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GPT AP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실전 프로젝트를 따라 하면서 실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감각을 익힐 수 있었어요. 단순한 개념 학습을 넘어 직접 만들어보고 실행해보면서 AI 기술을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할 기회가 되었어요.
앞으로는 책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챗봇이나 AI 기반 기능을 직접 만들어보려고 해요. 특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API 최적화 기법을 실제로 실험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