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중복, 일관성, 무결성 문제의 이론적 배경효율적 데이터 관리와 활용성 증대의 논리데이터 저장·관리 방식의 이론적 비교확장성, 보안, 동시성 관점에서의 분석RDBMS, NoSQL, NewSQL, In-Memory DB, Cloud DB의 구조적 차이오픈소스와 상용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공부 : DB 기초. - ∇ DB & SQL_데이터 베이스 공부 : DB 기초 핵심. Ⅰ. 개요. ◎ Database 란. :: 여러 응용프로그램 또는 유저들이 공유 * 이용 할 수 있도록 체
{ 쓰기가 이뤄질 때마다 그 행에 인덱스가 걸려있다면,입력된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 복잡한 연산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시간이 많이 걸릴 뿐더러, 저장 공간도 더욱 차지합니다. }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은 기획 내용에 포함된 개념을 분석분해도출해서 빠짐없이 옮기는 단계입니다.※ 만약 어떠한 속성도 식별자 역할을 할 수 없다면,
★ ORM 이란??
Redis글을 정리하는 이유는현재 사이드프로젝트로 Java_springboot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이 와중에 이메일 인증을 위한 캐쉬 메모리 관리가 필요했는데 여기에 Redis를 써보려고 하다가ubuntu환경에 Redis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해서 자바서버와 충돌
"SELECT \*"은 편리하지만, SQL 최적화의 적!SELECT \* 로 모든 컬럼을 불러오면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전송됩니다.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 서버 메모리 낭비 = 쿼리 속도 저하!!(데엠).필요한 컬럼 수가 많지 않다면, 반드시 필요한 것만 명시
'DELETE'에 조건(Where)이 없으면 TRUNCATE와 동일하게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고 테이블 스키마만 남은 빈 껍데기 형태가 됩니다.속도가 빠른 TRUNCATE 쓰는게 좋겠네? 라고 생각하기 쉽지만,DELETE 명령어는 '데이터 복구'가 가능하고, 로그를 남기
[ DB & SQL(RDBMS, NoSQL) ] Oracle vs SQL Server 명령어 전체 비교 (1) ∇ Oracle vs SQL Server 명령어 전체 비교 (1) Ⅰ.DDL 명령어.  ] Oracle vs SQL Server 명령어 전체 비교 (2) ∇ Oracle vs SQL Server 명령어 전체 비교 (2) Ⅰ. 집합연산자 의 구조적 차이 이해CAP 이론과 BASE 모델 등 분산 시스템의 핵심 이론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2.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2. 1. RDBMS 개요. 💬 면접 예상 질문(기본 개념 위주). 1. DBMS와 RDBM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구두 면접형 답변.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3.:정규화 ( 1NF, 2NF, 3NF 중심)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3 :정규화 ( 1NF, 2NF, 3NF 중심) 2. 정규화 ( 1NF, 2NF, 3NF 중심) 💬 면접 예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4.:트랜잭션과 ACID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4 :트랜잭션과 ACID 3. 트랜잭션과 ACID 💬 면접 예상 질문(기본 개념 위주). 1.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5.:SQL JOIN 종류와 차이점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5 :SQL JOIN 종류와 차이점 4. SQL JOIN 종류와 차이점 💬 면접 예상 질문(기본 개념 위주). 1. S
[ DB & SQL(RDBMS, NoSQL)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6.:인덱스(Index)의 개념과 구조. ▽ 데이터 베이스 기초 이해_06 :인덱스(Index)의 개념과 구조. 5. 인덱스(Index)의 개념과 구조. 💬 면접 예상 질문(기본 개념 위
[ DB & SQL(RDBMS, NoSQL) ] DB 모델링 개발의 순서. ▽ [ DB & SQL(RDBMS, NoSQL) ] DB 모델링 개발의 순서.
정의 :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객체(테이블, 뷰, 인덱스 등)의 구조를 정의한 논리적 집합.역할 : 데이터 구조를 강하게 제한시켜서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EX실무 팁: 서비스 운영 중 컬럼 타입 변경 같은 스키마 변경은 매우 위험하므로, Liquibase/Fly
저는 DB를 구축할 때 주로 MySQL를 많이 사용해왔습니다.그런데 이놈의 오라클이 또....왜 또 이 ㅈㄹ인건데...진짜 디자인쪽에 '어도비'가 있다면, 개발 쪽에 '오라클'이 빌런으로 있는 기분.그래서 이전에도 DB의 활용폭을 좀 넓혀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