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을 시작하기 앞서
유저에게 입력값 받기!
짐정리와도 같은 semantic HTML
데이터를 담은 표를 만들때 쓰는 태그, <table>
<dl> <abbr> <address> <pre>
매번 쉽게 emmet으로 쓰던 doc structure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html markup을 할땐, 페이지 view보다는 screen reader로 읽었을때의 전달력에 대해서 먼저 집중해보자!
책 가장 첫 부분에 목차가 존재하는 것처럼, 페이지 내에서도 개요의 역할을 하는 무언가가 필요하다.
🤔 Semantic이 뭔데?!
웹페이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이미지용량! 열심히 작성한 수백줄의 코드는 30%정도밖에 안된다니 .. 이미지 용량이 얼마나 거대한지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엔드라면 적절한 이미지 확장자를 사용하여 매끄러운 랜딩이 되는 웹을 만들어야한다👍 📌 벡터와 레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