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미남이 귀엽죠
post-thumbnail

[Python] 리스트 반환 보단 제너레이터 사용

이미지 출처: 파이썬 코딩 도장시퀀스를 결과로 만들어내는 함수를 만들 때 가장 간단한 방법은 원소들이 모인 리스트를 반환하는 것입니다.예로 문자열에서 찾은 단어의 인덱스를 반환하고 싶을 떄, append 메서드를 사용해 리스트에 결과를 추가하고 함수 마지막에 리스트를

2023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 왈러스 연산자로 대입식을 사용한 컴프리헨션

컴프리헨션에서 같은 계산을 위해 여러 위치에서 공유하는 경우가 흔합니다.아래의 예씨는 회사에서 주문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재고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나사못': 4, '나비너트': 1}{'나사못': 4, '나비너트': 1}앞의 코드 보다는 짧으나 get_bat

2023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함수 데코레이터 정의 (functools.wrap)

함수에 적용할 수 있는 데코레이터(decorator)를 정의할 수 있음자신이 감싸고 있는 함수의 입력 인자, 반환 값, 오류에 접근 가능→ 함수의 의미 강화 또는 디버깅, 등록 등에 유용하게 사용됨trace() 함수는 함수를 인자로 받으며, 내부에 wrapper()

2023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

객체(Object)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클래스(Class)Book 클래스 정의Book 클래스 메소드 정의인스턴스 속성(Instance Attribute)Book 인스턴스 속성클래스 속성(Class Attribute)Bo

2022년 1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Asterisk(*)

Asterisk 강의 집중 안 돼서 한 세 번 다시 본 듯... \*\*\*\* 별표를 공부하고 정리해보겠습니다.\* 는 크게 4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곱셈 \*제곱 \*\*가변인자 \*agrs \*\*kargsunpacking1, 2는 다 아실 거라 생각하고 3, 4

2021년 12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Lambda & MapReduce

파이썬 기초 공사 ing ... 😆Lambda는 함수 이름 없이, 함수처럼 쓸 수 있는 익명 함수입니다.파이썬의 경우, 파이썬에 있는 내장 함수의 종류가 굉장히 많죠!하지만 본인만의 함수를 만들어주고 싶을 때 def를 사용해 함수를 정의해줘야 했습니다.하지만 lamb

2021년 12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zip, enumerate

후... 파이썬 기초 공사😩Out:0 python1 is2 so funenumerate는 list의 element, 각 요소들을 추출할 때 번호를 붙여서 추출해주는 방식입니다.for문을 통해 하나씩 추출하였고, index처럼 0번부터 하나씩 매칭해서 값이 나오는 걸

2021년 12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list comprehension

파이썬 해도해도 안 느는 기분 ^^ 🚀파이썬 기반 다지기 공사 들어갑니다.... 영차영차 🧱🧱🧱🧱🧱기존 List 사용하여 간단히 다른 List를 만드는 기법포괄적인 List, 포함되는 리스트라는 의미로 사용됨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일반적으

2021년 12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Split & Join

그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파이썬 공부는 쭉 계속된다.🚀파이썬 기반 다지기 공사 들어갑니다.... 영차영차 🧱🧱🧱🧱🧱Split & Join 을 사용하여 String Type 의 값을 List 형태로 변환하기List Type의 값을 String Type의 값으로

2021년 12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료구조] 이진 트리(Binary Tree)

📌 현재 게시글의 개념과 코드는 이 책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회사에서는 위 그림과 같은 조직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조직표의 구성을 트리 구조로 볼 수 있는데요.이진 트리(Binary Tree)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트리(Tree) 자료구조는 나무를 거꾸로

2021년 12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료구조]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

📌 현재 게시글의 개념과 코드는 이 책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원형 연결 리스트의 큰 특징은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구조는 단순 연결 리스트와 유사합니다. 노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인데요.하지만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있다면? 원형 연결 리스트에는 헤

2021년 1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료구조]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 현재 게시글의 개념과 코드는 이 책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그전에 배운 선형 리스트는 배열에 데이터를 차례대로 저장하므로 데이터의 실제 위치 순서로 구성되었다.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는 데이터를 노드 단위로 삽입/삭제한다.물리적으로

2021년 1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료구조] 선형 리스트(Linear List)

📌 현재 게시글의 개념과 코드는 이 책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선형 리스트(Linear List)는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구조이다.다른 말로 순차 리스트(Ordered List)라고도 한다.선형 리스트는 입력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에 적당하다.예를 들어,

2021년 1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1로 만들기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문제 설명정수 X가 주어졌을 때, 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4가지이다.X가 5로 나누어 떨어지면, 5로 나눈다.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X에서 1

2021년 12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개미전사 문제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문제 설명개미 전사는 부족한 식량을 충당하고자 메뚜기 마을의 식량창고를 몰래 공격하려고 합니다. 메뚜기 마을에는 여러 개의 식량창고가 있는데 식량창고는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습니다.각 식량창고에는 정해진 수의 식량을 저장하고 있으

2021년 12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알고리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강의 바로가기개념과 코드, 이미지는 해당 책과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행 시간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이미 계산된 결과(작은 문제)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여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합니다.다이나

2021년 12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 - 구현 문제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문제 설명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00분00초부터 N시59분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2021년 12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1이 될 때까지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문제 설명어떠한 수 $$N$$이 1이 될 때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려고 한다. 단, 두 번째 연산은 $$N$$이 $$K$$로 나누어 떨어질 때만 선택할 수 있다.$$N$$에서 1을 뺀다.$$N$

2021년 12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숫자 카드 게임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문제 설명숫자 카드 게임은 여러 개의 숫자 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쓰인 카드 한 장을 뽑는 게임이다. 단, 게임의 룰을 지키며 카드를 뽑아야 하고 룰은 다음과 같다.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다

2021년 12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 큰 수의 법칙

📌 이 문제는 해당 책에서 가져왔습니다. 문제 설명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떄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 단,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번호)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할 수 없는 것이 이

2021년 12월 2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