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W CONCLUSIONS

codataffee·2024년 4월 24일
0

DATA

목록 보기
5/22
post-thumbnail

#결론 도출


#결과와 결론의 차이

  • 결과

    • 데이터 처리, 분석, 모델링 후에 얻어진 구체적인 데이터의 출력
    • 숫자, 통계, 그래프, 차트 등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
    • ex) “고객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객 만족도와 구매 빈도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계산과 분석을 해서 나온 결과물
  • 결론

    • 분석된 데이터 결과를 바탕으로 이끌어낸 의미나 통찰
    • 데이터에 기반한 해석, 추론 또는 권고 사항을 포함
    • ex) “고객 만족도와 구매 빈도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결과를 토대로,
      고객 만족도 향상이 전반적인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 목적에 대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는 것
  • 실제로 우리가 필요한 것은 '결론' 이지만, 보통 결과를 많이 얘기함..

  • 결론 도출 시 주의사항

    • 결과 - 결론 도출 시 스토리텔링 필요
    • 필요 이상으로 자신의 해석을 융합하는 것을 경계
      •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는 범위에서만 생각해야 함!

#결론을 잘 정리하는 법

#단순하고 쉽게 전달

  • 핵심 지표 위주로 먼저 공유
  • 지표를 해석하는 방법 설명
  • 해당 지표에 오너십이 있는 조직에서 활용할만한 포인트 제안
  • 액션 아이템을 제안하는 것이 핵심!

#흥미 유발

  • 모든 내용을 담지 않고 흥미로운 부분 위주로 공유
  • 상대가 궁금해할만한 내용은 뭘까? 고민하고 필터링 하기
  •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서는 디테일한 문서 따로 공유

#대상자 관점에서의 접근

  • 공유 받는 사람의 시선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
  • 지식의 저주에 빠지지 않고 논지를 뒷받침 해줄 자료들을 함께 첨부
  • 대상자의 허들이 낮은 시각화 활용

#시각화 팁

  • 화려한 그래프 보다는 대상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
  • 보통 선, 막대 그래프로 거의 대부분의 리포팅이 가능
  • 각 그래프의 범례와 단위 함께 표기해주기

#결론 보고서에 쓰면 좋은 플로우

  • 전체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는 요약
  • 해당 보고서의 메인 주제
  • 해당 보고서를 쓴 이유와 원하는 변화
  • 문제 정의 단계
  • 핵심 내용 전개
  • 결론 및 액션 아이템

#정리

  • 문제 정의, 지표 설정을 할 당시의 목적을 떠올리며 정리.
  • 결론을 공유할 대상이 누구인지, 어떻게 변화하길 원하는지 생각하기!

#결국, 데이터 리터러시란?

  • 참고


profile
커피 좋아하는 데이터 꿈나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