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란,
문제 정의 VS 지표 설정
- 문제 정의를 통해 '어떤 문제를 풀고자 하는가?' 를 정의했다면
지표는 '어떤 결과를 기대하는가?' 에 대한 정량화된 기준
Active User (활성유저)
Retention Ratio (재방문율)
리텐션 측정 방법
1) N - Day 리텐션
- N-day 리텐션은 사용자가 매일 접속하는 서비스에 활용하기 적절한 지표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게임 등
2) Unbounded 리텐션
- Unbounded 리텐션은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지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트렌드를 보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권장
3) Bracket 리텐션
- 하루 정도 서비스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리텐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기준이 조금 더 널널함
- 서비스 사용주기가 길거나 주기적인 경우 사용하기 적합한 지표
식료품 배달 서비스, 세차 서비스 등
리텐션에 대한 이해
Funnel (퍼널)
- 유저들이 어디서 이탈하는가? 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화
- 퍼널은 잠재고객을 유입시키며 최종적인 목표 액션을 달성할 때까지의 과정
- 모든 서비스와 비즈니스는 각 단계로 갈 수록 이용자 수가 줄어들게 됨
- 각 단계의 전환율 (or 첫 유입 대비 전환율)을 측정
- 디지털 마케팅시 퍼널을 활용하는 프레임워크
- 단계별 전환율을 지표화하여 서비스 보완 지점을 찾음
LTV (Life Time Value, 고객 평생 가치)
LTV의 역할
LTV 산출 방법
LTV 정리
- 자사 서비스에 딱! 맞는 LTV를 산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사용 주기, 변수 , 객단가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함
- LTV를 늘리기 위한 방안
1. 객단가 상승
2. 구매 빈도 높이기
3. 이탈률 감소, 이용시간 증가 등
- LTV는 가정(IF)을 베이스로 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
- LTV 참고자료
1. PAP Excel로 리텐션 변화에 따른 LTV 시뮬레이션
2. 토스 - 무한한 사업 전략의 세계로 건너가는 법
3. EO planet - 이제 LTV(고객생애가치)를 정확히 계산해 봅시다
LTV는 깊게 고민할수록 어려운 지표,
단순히 산출 식에 집중하기보다 왜 쓰이는지? 에 집중!
여러가지 지표 중 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지표.
북극성 지표
좋은 북극성 지표의 특징
좋은 북극성 지표를 위한 체크리스트
좋지 않은 북극성 지표 예시
북극성 지표의 유형
북극성 지표가 중요한 이유: 방향성!
북극성 지표가 중요한 이유: 효율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