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1)

Jihun Kim·2021년 9월 19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13
post-thumbnail

👩‍💻 네트워크란?

  •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의 하나
  •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
  • 노드 간 연결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 네트워크 안에 인터넷이 포함되어 있다(전세계에서 가장 큰 통신망이 인터넷).

크기에 따른 분류

👉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 두가지만 알면 된다.
1. LAN(Local Area Network)

  • LAN은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 같은 네트워크 대역

2. WAN(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곳끼리 연결한 통신망
  •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시 하나로 묶은 것
    👉 집 LAN - 회사 LAN - 카페 LAN ...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1. Star 형

  •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형태
    👉 중앙 장비에 모든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다.
  •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는 공유기를 통해서 컴퓨터, 핸드폰 등을 연결하는데 이 역시 Star형이다.
  • LAN 대역의 네트워크들을 연결할 때 주로 이용하는 형태이다.

2. Mesh 형

  •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다.
  • 중앙 장비가 고장나도 다른 선을 통해 다른 장비와 연결이 가능하다.
  • WAN 대역을 연결할 때 주로 사용한다.

3. 혼합형

  • 실제 인터넷은 여러 형태를 혼합한 형태이다.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

1. 유니 캐스트

  • 내가 통신하고 싶은 특정 대상하고만(1:1) 통신한다.

2. 멀티 캐스트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여러 사용자가 있을 때, 특정 다수와 통신한다.

3. 브로드 캐스트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모든 사용자와 통신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어떻게 데이터를 주고받을까?)

  • 프로토콜은 일종의 약속, 양식이다.
  •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 어떤 노드가 어느 노드에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는지 작성하기 위한 양식이다.
    👉 양식도 여러가지가 있다. 즉, 각 프로토콜도 해당 프로토콜만의 양식이 있다.

⛳ 여러가지 프로토콜

1. 가까운 곳과 연락할 때

  • Ethernet 프로토콜 사용
    👉 MAC 주소라는 것을 사용한다.

2. 멀리 있는 곳과 연락할 때

  • ICMP, IPv4, ARP
    👉 IP주소로 통신한다.

3. 여러가지 프로그램으로 연락할 때

  • TCP, UDP
    👉 포트번호를 이용한다.

실제로는 여러가지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하며 이를 캡슐화(capsulation) 된 패킷이라고 한다.

실습해 보기

구글과 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 8.8.8.8은 구글 DNS 서버의 ip주소이다.
CMD > tracert 8.8.8.8
MAC > tracerout 8.8.8.8
☁  ~  traceroute 8.8.8.8
traceroute to 8.8.8.8 (8.8.8.8), 64 hops max, 52 byte packets
 1  1.1.1.1 (1.1.1.1)  11.375 ms  2.161 ms  1.882 ms
 2  1.1.1.1 (1.1.1.1)  10.180 ms  10.011 ms *
...
 9  dns.google (8.8.8.8)  35.943 ms  39.549 ms
    1.1.1.1 (1.1.1.1)  45.081 ms
  • 구글 DNS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거기까지 거쳐간 네트워크 LAN 대역들을 알 수 있다.
  • 이를 통해 구글을 찾아가기 위해 총 10개의 네트워크 대역을 거쳐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보통 15개 안으로 연결되어 있다.)
  • 또한, 멀리 떨어진 구글 DNS 서버라 하더라도, 여러개의 네트워크 대역들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렇게 연결한 것을 WAN(인터넷)이라 한다.

Wireshark 이용하기

Wkreshark란?

  • 실제 네트워크 통신할 때 프로토콜을 캡쳐해서 어떤 프로토콜을 보내고 받았는지 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 로컬 영역 연결을 누르면 이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모두 볼 수 있다.
  • 이 상태로 사이트에 접속 하면 패킷들을 확인할 수 있다.
    👉 즉, http protocol로 접속한 사이트의 서버에 있는 html, js, css 파일들을 받아와서 웹 브라우저에 띄우게 되는 것이다.
  • 서버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ipv4로 받아오고 -> 여러 대의 컴퓨터 중 Ethernet으로 해당 컴퓨터를 찾는다.(이는 정확히는 ip로도 찾는 것이 가능하다.) -> 크롬을 이용해 접속했기 때문에 TCP를 이용해 받아온다.
  • 즉, 프로토콜은 여러개들이 같이 사용되며 이를 encapsulation, 패킷이라고 한다.
    👉 가까이 있을 때, 멀리 있을 때 등 나누어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Wireshark 참고한 사이트

🔑 참고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profile
쿄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