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hello.c 소스코드이다.이 hello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머가 에디터로 작성한 소스 프로그램(= 소스파일)로 생명을 시작하며, hello.c라는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소스 프로그램은 0 또는 1로 표시되는 비트(Bit)들의 연속이며, 바이트(Byte)라는 8

Compile System

컴파일 시스템의 중요성과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캐시(cache)는 빠른 속도의 작은 저장 공간으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CPU와 메모리 간 속도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즉, 느린 저장장치(메인 메모리, 디스크)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라고 보면 된다.캐

이번에는 메모리 계층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CPU는 매우 빠른 연산 속도를 가지지만, 메인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는 속도는 훨씬 느림!이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고 빠른 저장장치(캐시 메모리)를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배치하는 개념이 정착됨.더 나

OS 운영체제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스템 이 섹션에서는 운영체제가 하는 역할과 컴퓨터 시스템이 계층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설명. 운영체제의 역할 >#### 📌 hello 프로그램 예제 사용자가 쉘(Shell)에서 hell

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체제의 추상화. >>쉽게 말해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코드로 작성한 프로그램(파일)이 운영체제에 의해 실행 되는 순간 "프로세스"가 된다 !! 예를 들어, hello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하나의 프로세스가 생성됨 프로세스의 특징 >- 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처...

Thread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은 실행 단위이며, 멀티코어 CPU 시대에서 프로그램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 > > > 쓰레드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프로세스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 >## 쓰레드(Thread)란? >- 하나의 프로세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란? >- 실제 메모리(RAM)보다 더 큰 메모리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 각 프로세스가 메인 메모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게 함 운영체제는* 디스크(스토리지)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여 부족한 RAM을 확장* 📌 가상 메모리의 핵심 역할 > 1️⃣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 제공 ...

저번 Memory Hierarchy(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SRAM에 대해 언급한 점이 있다.공부를 하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 더 찾아보았다.휘발성 메모리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 사라짐(휘발성 메모리의 특징)CPU와 상대적으로 가까움 (주기억

이번에 이야기할 주제는 비휘발성 메모리, NVM이다. (본인이 열심히 작성함)(Feat. Chat GPT)휘발성 메모리는 빠르지만 전원 꺼지면 끝 → 비휘발성이 뒷바침 해줘야 전체 시스템 유지

이번에는 CPU가 메모리를 다루는 실제 과정을 확인해보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버스(BUS)라는 전기적 통신 회로를 통해야 함 !→ 메모리에 접근하려면 최소 세 단계를 거쳐야 함

x86

오늘은 malloc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malloc과 동적 메모리 할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힙(Heap)이란? 운영체제 관점에서 메모리는 크게 4영역으로 나뉘어 있음: Text: 실행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 Data: 전역 변수, static 변수 등이 저장되는 영역 Stack: 함수 호출 시 생성되는 지역 변수, 매개변수 ...

여러분,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 확실히 알고 계신가요?조금 헷갈렸던 분들을 위해, 쉽고 확실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운영체제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리소스를 포함한 독립적인 실행 단위를 생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전 PintOS 포스팅에서 CPU 스케줄러에 대해 간단히 언급한 적이 있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PU 스케줄러가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각 알고리즘이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깊이 있게 알아보자.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중에서 어떤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할지를 결정
핀토스를 구현하며 시스템 콜에 대해서 공부하고 로직을 작성해보았다. 시스템 콜 호출시에는 유저모드에서 커널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이 있는데 유저모드가 무엇인지, 커널모드는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자 유저 모드(User Mode) 🔹 정의 일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드 CPU 권한이 제한된 상태 🔹 특징 제한된 명령만 실행 가능: 하드웨어 접...

공부 키워드에 있던 개념들을 정리해보자 !

HTTP와 HTTPS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이번 게시글에서는 HTTP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다뤄보겠다

JVM의 메모리 관리법(기밀아님)

메세지 브로커에 대해서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