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발열량(HHV, Higher Heating Value)과 저위발열량(LHV, Lower Heating Value)

아현·2025년 3월 20일
0

AI

목록 보기
26/29

1. 발열량 (Calorific Value)


  • 발열량은 연료가 연소할 때 방출하는 열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연료의 양질 및 효율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 HHV와 LHV


  • HHV와 LHV의 차이연료 연소 후 생성된 물(H₂O)의 상태 때문

    • HHV: 물이 응축(액체)되어 방출하는 에너지를 포함.

    • LHV: 물이 기체 상태로 방출되며 응축열은 미포함.


구분HHV (고위발열량)LHV (저위발열량)
정의응축열 포함, 연료가 방출하는 총 에너지응축열 제외, 실제 사용 가능한 에너지
물(H₂O)의 상태액체 상태로 응축기체 상태로 방출
크기 비교항상 LHV보다 큼HHV보다 작음
적용보일러, 증기 시스템터빈, 엔진, 일반 연소 시스템
예: 메탄(CH₄)약 9570 kcal/m³약 8620 kcal/m³

고위발열량 (HHV, Higher Heating Value)


  •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생성된 모든 에너지를 포함하며, 연소 후 발생하는 수증기가 응축(액체 상태의 물)될 때 방출되는 응축열(잠열)까지 포함한 값.

  • 연소 후

    • 수증기의 응축열이 에너지로 계산에 포함됨.

    • 물이 기체 → 액체로 변할 때 방출되는 잠열(약 540 kcal/kg)을 포함.


저위발열량 (LHV, Lower Heating Value)


  •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생성된 에너지에서, 연소 후 발생한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방출된다고 가정한 값.

  • 연소 후

    • 수증기의 응축열은 포함되지 않음.

    • 따라서 LHV < HHV.



3. 물(H₂O)의 상태가 차이를 만든다


  • 연료가 연소되면 수소(H)가 산소(O)와 반응하여 물(H₂O)이 생성됨.

  • 물이 어느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발열량 계산에 차이가 남.

    • HHV: 물이 액체 상태(응축되면서 방출)로 존재할 때의 에너지 포함.

    • LHV: 물이 기체 상태로 방출될 때 에너지를 계산, 응축열은 제외.



4. HHV와 LHV의 차의 주요 원인


  1. 물(H₂O)의 응축열

    • 물이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하면서 방출하는 열은 약 540 kcal/kg입니다.

    • HHV는 이 응축열을 포함하지만, LHV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1. 연료 속 수소 함량

    • 연료 내 수소(H)의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물(H₂O)이 생성되고, HHV와 LHV의 차이가 더 커집니다.

    • 예: 천연가스(LNG)와 같은 연료는 수소 함량이 높아 HHV와 LHV의 차이가 큼.

  2. 기압의 영향은 미미함

    • HHV와 LHV의 차이는 주로 수증기의 상태(기체 vs 액체) 때문이며, 기압 차이는 주요 원인이 아님.

    • 단, 대기압이 달라지면 수증기 응축 여부에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음.



5. LNG의 HHV와 LHV 비교


  • 천연가스(LNG)의 HHV와 LHV는 다음과 같은 수준입니다.

    • 고위발열량(HHV): 약 11,000 kcal/Nm³

    • 저위발열량(LHV): 약 9,500 kcal/Nm³

  • HHV와 LHV 차이: 약 14% (응축열 영향으로 발생).


6. HHV와 LHV를 사용하는 상황


  • HHV 사용

    • 보일러, 난방 등에서 연료의 모든 에너지가 회수 가능할 때 사용.

    • 수증기가 응축되는 상황을 가정.

  • LHV 사용

    • 수증기를 응축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 예: 터빈, 내연기관과 같이 실제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 출력을 평가할 때 사용.



7. 변환 공식


1 Nm³ → Mcal로 변환


  • 공식

    1Nm³=발열량 (kcal/Nm³)×103Mcal1 \, \text{Nm³} = \text{발열량 (kcal/Nm³)} \times 10^{-3} \, \text{Mcal}

    • HHV 기준

      1Nm³=11,000kcal/Nm³×103=11Mcal1 \, \text{Nm³} = 11,000 \, \text{kcal/Nm³} \times 10^{-3} = 11 \, \text{Mcal}

    • LHV 기준

      1Nm³=9,500kcal/Nm³×103=9.5Mcal1 \, \text{Nm³} = 9,500 \, \text{kcal/Nm³} \times 10^{-3} = 9.5 \, \text{Mcal}



Mcal → Nm³로 변환


  • 공식

    1Mcal=1발열량 (kcal/Nm³)×103Nm³1 \, \text{Mcal} = \frac{1}{\text{발열량 (kcal/Nm³)}} \times 10^{3} \, \text{Nm³}

    • HHV 기준

      1Mcal=111,000×103=0.0909Nm³1 \, \text{Mcal} = \frac{1}{11,000} \times 10^{3} = 0.0909 \, \text{Nm³}

    • LHV 기준

      1Mcal=19,500×103=0.1053Nm³1 \, \text{Mcal} = \frac{1}{9,500} \times 10^{3} = 0.1053 \, \text{Nm³}

profile
For the sake of someone who studies computer scienc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