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 10. L^p Space

김당찬·2022년 2월 20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10/24

LpL^p Spaces

실해석학에서 다루는 공간들에는 거리공간, 위상공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중에서도 엘피공간(작성의 편의를 위해 L^p를 가끔 엘피로 쓰게되었다😅)은 르벡적분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고 머신러닝에서도 종종 주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히 숙지할 필요가 있다. 우선 엘피공간의 주요 성질들을 살펴보기 이전에 노음과 노음공간에 대해 정의하기로 한다.

Normed Linear Spaces노음선형공간

이 장을 시작하기에 앞서, 집합 EE는 실수 집합의 가측부분집합이고 집합족 F\mathcal{F}EE에서의 모든 유한(a.e. on EE), 가측 실함수들의 모임으로 가정하자.

Def 함수의 동치

만약 집합 E에서의 함수 f,gf,g 가 E의 거의 모든점(a.e)에서 같다면 f,gf,g를 동치equivalent 라고 하며,

fgf \cong g

로 표기한다.

이때 위 동치관계는 함수족 F\mathcal{F} 를 분할하므로 (동치관계의 성질) 동치류equivalence classes 들을 정의할 수 있다.
*Equivalence class에 대해서는 쉽게 설명된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엘피공간의 정의

동치류의 모임 [f]=Lp(E)[f] = L^p(E)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Efp<wherep[1,)\int_E|f|^p < \infty \quad where \quad p \in [1,\infty)

이때,

a+b2max[a,b]a+bp2pmax[a,b]|a+b| \leq 2\max[|a|,|b|] \\ |a+b|^p \leq 2^p\max[|a|,|b|]

임을 이용하면, 임의의 동치류 [f],[g]Lp(E)[f],[g] \in L^p(E) 와 임의의 실수 α,βR\alpha,\beta \in \mathbb{R} 에 대해 α[f]+β[g]\alpha[f]+\beta[g]Lp(E)L^p(E) 의 원소임을 알 수 있다.

Ef+gpE2pfp<\int_E|f+g|^p\leq \int_E 2^p|f|^p < \infty 이고,
스칼라곱에 대해서는 적분의 선형성으로부터 성립.

따라서, LpL^p 공간은 선형공간임을 알 수 있다.

Essentially Bounded

함수 fFf \in \mathcal{F} 에 대해 M0M\geq 0 이 존재하여 E의 거의 모든 점(a.e.)에서 f(x)M|f(x)|\leq M 일 때,
함수 ff를 essentially bounded 하다고 정의한다.
(한국어로 어떻게 정확히 번역해야 하는지를 찾기가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LpL^p 공간에서 pp가 무한대일 때, 즉 L(E)L^\infty(E) 인 경우는 적분으로 정의하지 않고, essentially bounded한 동치류 [ff] 들의 모임으로 정의한다.

노음(Norm)

선형공간 X에서 정의되는 실함수 :XR\Vert \cdot \Vert : X \to \mathbb{R} 가 다음을 만족할 때 이를 노음이라고 정의한다.

임의의 함수 f,gXf,g \in X, 실수 αR\alpha \in \mathbb{R} 에 대해:
(N1) f+gf+g\Vert f+g \Vert \leq \Vert f \Vert + \Vert g \Vert
(N2) αf=αf\Vert\alpha f\Vert = |\alpha|\cdot \Vert f \Vert
(N3) f0\Vert f \Vert \geq 0 이고 f=0ifff=0\Vert f \Vert = 0 \quad iff \quad f=0

노음이 정의된 선형공간 X를 노음선형공간이라고 하고, 노음이 1인 함수를 X에서의 단위함수(unit function) 라고 한다.

예시)

  • L1(E)L^1(E) 공간에서 f1=Ef\Vert f \Vert_1 = \int_E |f| 로 정의된 함수는 노음이다. (적분의 선형성, 단조성으로부터 자명)
  • L(E)L^\infty(E) 공간에서 f=inf[essential upper bounds]\Vert f \Vert_\infty = \inf[\text{essential upper bounds}] 로 정의된 함수는 노음이다.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일반성을 잃지 않고 LpL^p 공간에서의 노음을

fp=[Efp]1/p\Vert f \Vert_p = [\int_E|f|^p]^{1/p}

로 정의하기로 한다.

L^p 공간에서의 주요한 부등식

우선, 앞서 정의한 LpL^p 공간의 노음이 (N1)-(N3) 을 만족하는지를 살펴보자.

  • (N1) 증명 필요 \cdots Minkowski의 부등식
  • (N2) 적분의 스칼라곱으로부터 자명하다.
  • (N3) 체비셰프의 부등식 로부터 적분값이 0인 것과 함수가 거의 모든 점에서 0인 것은 동치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N3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노음의 요건 중 삼각부등식(N1) 이 성립하는지만 확인하면 된다. 이떄 엘피공간에서의 삼각부등식을 민코우스키 부등식이라고 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영의 부등식과 횔더 부등식을 살펴본다.

영의 부등식Young's Inequality

실수 p(1,)p \in (1,\infty) 에 대해 qqpp의 켤레수conjugate 라고 하자. 이때 임의의 양의 실수 a,ba,b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abapp+bqbab \leq \frac{a^p}{p}+\frac{b^q}{b}

*켤레수 : 1/p+1/q=11/p + 1/q = 1 을 만족하는 수를 말한다.

pf. 주어진 p,qp,q 에 대해 다항함수

g(x)=xpp+1qxg(x) = \frac{x^p}{p}+\frac{1}{q}-x

를 생각하자. 이때 도함수 gg'(1,)(1,\infty) 에서 0보다 크고 x=1x=1에서 0이며, (0,1)(0,1) 에서는 0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g(0)0g(0)\geq 0 으로부터 g0on(0,)g \geq 0 \quad on \quad (0,\infty) 이다.
따라서, x0x\geq 0 일때 xxp/p+1/qx \leq x^p/p+1/q 이므로 x=a/bq1x = a/b^{q-1} 을 대입하면 부등식이 성립한다.

횔더 부등식Holder's Inequality

켤레수 p,qp,q 와 두 함수 fLp(E)f \in L^p(E), gLq(E)g \in L^q(E) 에 대해:

  1. fgf\cdot g 는 적분가능하고

    Efgfpgq\int_E|f \cdot g| \leq \Vert f\Vert_p\cdot\Vert g\Vert_q

    이다.

  2. f0f \neq 0 일 떄,

    f=fp1psgn(f)fq1f^*=\Vert f\Vert_p^{1-p}\cdot sgn(f) \cdot |f|^{q-1}

    로 정의하면 fLq(X,μ)f^* \in L^q(X,\mu) 이고 Eff=fp\int_Ef\cdot f^* = \Vert f\Vert_p 이며 fq=1\Vert f^* \Vert_q =1이다.

  1. p=1p=1 일 때 :
    f\Vert f \Vert_\infty 가 E에서 ff의 essential upper bound 이므로,
    Efgf1g\int_E|f\cdot g| \leq \Vert f\Vert_1\cdot\Vert g\Vert_\infty
    이고, f=sgn(f)f^*=sgn(f) 이므로 2도 성립한다.
  2. p>1p>1 일 때 :
    함수 f,gf,g가 0이 아니라고 가정하자.(0일때는 자명함) 이때, 일반성을 잃지 않고 fp=gp=1\Vert f \Vert_p = \Vert g\Vert_p = 1이라고 하자.(1이 아닌 경우는 함수를 노음으로 나누어 unit function으로 만들자.)
    f,gf,g 가 적분가능하므로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유한하고, 영의 부등식에 의해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gfp/p+gq/q|f\cdot g| \leq |f|^p/p + |g|^q/q
    가 성립한다. 따라서 양변을 적분하면,
    Efg1pEfp+1qEgq=1p+1q=1\begin{aligned} \int_E|f\cdot g| &\leq \frac{1}{p}\int_E|f|^p + \frac{1}{q}\int_E|g|^q \\ &= \frac{1}{p} +\frac{1}{q} = 1 \quad\therefore \end{aligned}

이때 위에서 정의한 함수 ff^*ff 의 켤레함수conjugate function라고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삼각부등식을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민코우스키의 부등식Minkowski's Inequality

함수 f,gLp(E)f,g \in L^p(E)f+g1f+g \neq 1 이고 p>1p>1 이라고 가정하자.
횔더의 부등식으로부터,

f+gp=E(f+g)(f+g)=Ef(f+g)+Eg(f+g)fp(f+g)q+gp(f+g)q=fp+gp\begin{aligned} \Vert f+g \Vert_p &= \int_E (f+g)(f+g)^* \\ &= \int_Ef\cdot(f+g)^* + \int_Eg(f+g)^*\\ &\leq \Vert f\Vert_p\cdot\Vert(f+g)^\star\Vert_q + \Vert g\Vert_p\cdot\Vert(f+g)^\star\Vert_q\\ &=\Vert f\Vert_p + \Vert g \Vert_p \end{aligned}

따라서 삼각부등식이 성립한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횔더의 부등식에서 특별히 p=q=2p=q=2 인 경우를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 Inequality 라고 한다.

EfgEf2Eg2\int_E|f\cdot g| \leq \sqrt{\int_E f^2}\cdot\sqrt{\int_E g^2}

Reference

  • Real Analysis,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