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 9. 르벡 적분 (3)

김당찬·2022년 2월 20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9/24

Lebesgue Integral

General Vitali Theorem

Def
EE에서의 가측함수들의 집합족 F\mathcal F가 다음을 만족할 때 EE에서 Tight 하다고 정의한다.

ϵ>0,  E0E w/ m(E0)< s.t. E\E0f<ϵ for fF\forall \epsilon>0,\; \exists E_0 \subseteq E \text{ w/ } m(E_0) <\infty \text{ s.t. }\\ \int_{E\backslash E_0}|f| < \epsilon \text{ for } \forall f \in \mathcal F

Generalized Vitali Convergence THM일반화된 비탈리 수렴정리

가측집합 EE에서의 함수열 {fnf_n}이 균등적분가능하고 E에서 tight 할 때, 함수열 fnf_nff로 a.e. on EE 에서 점별수렴하면 함수 ff도 적분가능하고

limnEfn=Ef\lim_n\int_Ef_n=\int_Ef

이 성립한다.

따름정리
함수열 {hnh_n}이 E에서 nonnegative한 적분가능함수열이고 E의 대부분의(almost) xEx \in E에서

{hn(x):nN}0\{h_n(x) : n \in \mathbb{N}\} \to 0

일 때 함수열 {hnh_n}이 균등적분가능하고 E에서 tight 한 것과 limnEh=0\lim_n\int_Eh = 0 인 것은 동치이다.

측도 수렴

E에서 가측이고 a.e. finite 한 함수열 {fnf_n}과 함수 ff에 대해 함수열 fnf_nff로 측도 수렴하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nm{xE:fn(x)f(x)>η}=0 for η>0\lim_n m\{x\in E : |f_n(x)-f(x)| > \eta \} =0 \text{ for } \forall \eta > 0

즉, 함수열과 수렴 함수가 차이나는 점들의 집합을 생각하면 그 집합의 측도가 0인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함수열 fnf_nff로 균등수렴한다면 측도 수렴의 조건에서의 집합을 공집합으로 만드는 충분히 큰 자연수 N이 존재하므로, 측도 수렴 역시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균등 수렴 \Rightarrow 측도 수렴

점별수렴일 때 측도수렴의 성립 여부는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다.

Prop 유한측도집합 E에서 가측함수열 fnf_n이 존재해 a.e. on E에서 ff로 점별수렴한다고 하자. 이떄 ff가 a.e. on E에서 유한이면 fnf_nff로 측도수렴한다.

예고로프의 정리로부터 m(EF)<ϵm(E - F) < \forall\epsilon 인 가측집합 FEF \subset E 를 잡을 수 있고 이때 fnf_nff로 균등수렴한다.

THM 함수열 fnf_nff로 측도수렴하면 거의 모든 점에서 ff로 점별수렴하는 부분함수열 fnkf_{n_k} 가 존재한다.

따름정리 nonnegative이고 적분가능한 E에서의 함수열 fnf_n에 대해 다음은 동치이다.
1. limnEfn=0\lim_n\int_Ef_n =0
2. fnf_n 이 0으로 측도수렴하고, 균등적분가능하며 E에서 tight 하다.

르벡적분가능성의 특성화

보조정리
단순함수열 {φn\varphi_n}, {ψn\psi_n} 이 E에서 적분가능하고 각각 증가, 감소하는 함수열일 때, 함수 ff가 존재하여 모든 nn에 대해 φnfψn\varphi_n \leq f \leq \psi_n 을 만족하고 limnE[ψnφn]=0\lim_n\int_E[\psi_n-\varphi_n] = 0 이면,
1. φn,ψn\varphi_n, \psi_n은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f로 점별수렴한다.
2. ff는 E에서 적분가능하다.

THM
유한측도집합 E에서의 유계함수 ff에 대해 ff가 적분가능한 것과 가측인 것은 동치이다.

보조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단순함수열 ψn,φn\psi_n, \varphi_n 을 잡자. 이때 {max1knφk\max_{1\leq k \leq n}\varphi_k}, {min1knψk\min_{1\leq k \leq n}\psi_k}룰 잡으면 이는 각각 증가, 감소하므로 보조정리의 모든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함수 ff는 적분가능하다.

Reference

  • Real Analysis,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