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besgue Integral
General Vitali Theorem
Def
E에서의 가측함수들의 집합족 F가 다음을 만족할 때 E에서 Tight 하다고 정의한다.
∀ϵ>0,∃E0⊆E w/ m(E0)<∞ s.t. ∫E\E0∣f∣<ϵ for ∀f∈F
Generalized Vitali Convergence THM일반화된 비탈리 수렴정리
가측집합 E에서의 함수열 {fn}이 균등적분가능하고 E에서 tight 할 때, 함수열 fn이 f로 a.e. on E 에서 점별수렴하면 함수 f도 적분가능하고
nlim∫Efn=∫Ef
이 성립한다.
따름정리
함수열 {hn}이 E에서 nonnegative한 적분가능함수열이고 E의 대부분의(almost) x∈E에서
{hn(x):n∈N}→0
일 때 함수열 {hn}이 균등적분가능하고 E에서 tight 한 것과 limn∫Eh=0 인 것은 동치이다.
측도 수렴
E에서 가측이고 a.e. finite 한 함수열 {fn}과 함수 f에 대해 함수열 fn 이 f로 측도 수렴하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nlimm{x∈E:∣fn(x)−f(x)∣>η}=0 for ∀η>0
즉, 함수열과 수렴 함수가 차이나는 점들의 집합을 생각하면 그 집합의 측도가 0인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함수열 fn이 f로 균등수렴한다면 측도 수렴의 조건에서의 집합을 공집합으로 만드는 충분히 큰 자연수 N이 존재하므로, 측도 수렴 역시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균등 수렴 ⇒ 측도 수렴
점별수렴일 때 측도수렴의 성립 여부는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다.
Prop 유한측도집합 E에서 가측함수열 fn이 존재해 a.e. on E에서 f로 점별수렴한다고 하자. 이떄 f가 a.e. on E에서 유한이면 fn이 f로 측도수렴한다.
예고로프의 정리로부터 m(E−F)<∀ϵ 인 가측집합 F⊂E 를 잡을 수 있고 이때 fn은 f로 균등수렴한다.
THM 함수열 fn이 f로 측도수렴하면 거의 모든 점에서 f로 점별수렴하는 부분함수열 fnk 가 존재한다.
따름정리 nonnegative이고 적분가능한 E에서의 함수열 fn에 대해 다음은 동치이다.
1. limn∫Efn=0
2. fn 이 0으로 측도수렴하고, 균등적분가능하며 E에서 tight 하다.
르벡적분가능성의 특성화
보조정리
단순함수열 {φn}, {ψn} 이 E에서 적분가능하고 각각 증가, 감소하는 함수열일 때, 함수 f가 존재하여 모든 n에 대해 φn≤f≤ψn 을 만족하고 limn∫E[ψn−φn]=0 이면,
1. φn,ψn은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로 점별수렴한다.
2. f는 E에서 적분가능하다.
THM
유한측도집합 E에서의 유계함수 f에 대해 f가 적분가능한 것과 가측인 것은 동치이다.
보조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단순함수열 ψn,φn 을 잡자. 이때 {max1≤k≤nφk}, {min1≤k≤nψk}룰 잡으면 이는 각각 증가, 감소하므로 보조정리의 모든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함수 f는 적분가능하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