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teness of Lp Spaces
완비성
Def 노음선형공간 X에서 함수열의 수렴 fn→f 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nlim∥f−fn∥=0
마찬가지로, 함수열 fn이 코시수열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ϵ>0,∃N∈Ns.t.∥fn−fm∥<ϵfor∀m,n≥N
완비성Completeness의 정의
노음선형공간(이하 NLS) X의 모든 코시 수열이 X의 함수로 수렴할 때 X를 완비공간이라고 한다.
이때 완비노음공간을 바나하 공간(Banach Space) 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와 더불어 빠른(?)코시수열 (정확한 한국어 번역을 찾지 못했다.) rapid(fast) Cauchy Sequenc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f NLS X의 함수열 fn에 대해 ∑k=1∞ϵk<∞,∀ϵk>0 인 실수열 {ϵk} 가 존재하여,
∥fk+1−fk∥≤ϵk2
를 만족한다면 함수열 fn을 rapidly Cauchy 하다고 정의한다.
Rapidly Cauchy인 함수열과 코시함수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
Prop
1. NLS X에서의 모든 Rapidly Cauchy 함수열은 코시수열이다.
2. 모든 코시수열은 Rapidly Cauchy 한 부분수열을 가진다.
pf.
1) fn이 rapidly Cauchy이면 위 정의의 조건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열 ϵk가 존재한다. 이떄,
∥fn+k−fn∥≤j=n∑n+k−1∥fj+1−fj∥≤j=n∑∞ϵj2<∞
따라서, fn은 코시수열이다.
2. 자연수열 {nk}를
∥fnk+1−fnk∥≤1/2k
를 만족하도록 잡으면 {fnk}는 rapidly Cauchy 임을 알 수 있다.
리즈-피셔 정리Riesz-Fischer THM
- Lp(E) 는 바나흐 공간이다.
- fn→f 이면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로 점별수렴하는 {fn}의 부분수열이 존재한다.
THM7 Lp(E)에서 fn 이 f로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점별수렴하면,
함수열 fn의 f로의 수렴과 limn∫E∣fn∣p=∫E∣f∣p 임은 동치이다.
Dense
조밀성의 정의
NLS X의 부분집합 F,G⊂X 에 대해 F⊆G 를 만족한다고 하자. 이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F가 G 에서 조밀하다고 한다.
임의의 함수 g∈G, 임의의 실수 ϵ>0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F 에서의 함수 f 가 존재한다.
∥f−g∥<ϵi.e.nlimfn=g
조밀성과 관련하여, 앞서 살펴본 Simple Approximation Lemma와 LDCT를 이용하면 다음 명제를 생각할 수 있다.
Prop Lp(E) 공간의 단순함수들로 이루어진 부분공간은 Lp(E) 에서 조밀하다.
또한, [a,b]에서의 계단함수들로 이루어진 부분공간은 Lp[a,b] 의 단순함수들의 부분공간에서 조밀하므로 Lp[a,b] 에서도 조밀하다.
Separability분리가능성
Def NLS X에 대해, X에서 조밀한 X의 가산부분집합이 존재한다면 X를 separable 하다고 정의한다.
(개인적으로 분리가능하다는 번역의 어감이 안좋아 그냥 separable로 썼다)
THM 11 엘피공간의 분리가능성
NLS Lp(E) (p<∞) 는 separable하다.
pf. 유계닫힌구간 [a,b]에 대해 S[a,b] 를 구간에서의 계단함수들의 모임으로 정의하자.
또한, S[a,b]의 계단함수 중 유리수 함수값을 가지고 [a,b]의 분할 P={x0…xn} 이 존재하여 각 xk들이 유리수임을 만족하는 계단함수들의 모임을 S′[a,b] 라고 두자. 이때, 유리수의 조밀성으로부터 S′[a,b] 역시 S[a,b]에서 조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포함관계
S′[a,b]⊆S[a,b]⊆Lp[a,b]
로부터 S′[a,b] 가 Lp[a,b]에서 조밀함을 알 수 있다.
각 자연수 n에 대해 함수족 Fn을 [−n,n] 밖에서는 소멸(vanish)하고, [−n,n] 에서는 S′[a,b] 에 속하는 함수들의 모임으로 정의하자. 또한, F=∪n∈NFn 으로 두면 F는 Lp(R)에 속한 함수들의 가산집합이다.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임의의 f∈Lp(R) 에 대해
n→∞lim∫[−n,n]∣f∣p=∫R∣f∣p
이므로 F 는 가산집합이며 Lp(R)에서 조밀하다.
임의의 가측집합 E에 대해 함수족 F의 각 함수들을 E로 제한시키면 이는 Lp(E)에서 조밀하다. 따라서 Lp(E) 는 separable 하다.
반면, p=∞ 인 경우 L∞ 는 separable 하지 않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증명가능하다.
pf. 만약 separable 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가산함수족 fn∈N 이 존재하여 L∞[a,b]에서 조밀하다.
이떄 임의의 x∈[a,b] 에 대해
∥χ[a,x]−fη(x)∥∞<1/2
인 자연수 η(x) 를 잡자.(ϵ=1/2)
이때, a≤x1<x2≤b 인 x1,x2 에 대해
∥χ[a,x1]−χ[a,x2]∥∞=1
이므로 (Characteristic function의 함수값과 노음의 정의에 의해),
η는 [a,b] 에서 자연수로의 일대일 대응이어야 한다.(노음에서의 삼각부등식이 등식조건으로 변경되므로)
그러나 구간 [a,b]는 불가산집합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Reference
-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