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 11. L^p 공간의 완비성

김당찬·2022년 2월 20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11/24

Completeness of LpL^p Spaces

완비성

Def 노음선형공간 X에서 함수열의 수렴 fnff_n \to f 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nffn=0\lim_n\Vert f-f_n\Vert = 0

마찬가지로, 함수열 fnf_n이 코시수열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ϵ>0,  NNs.t.fnfm<ϵform,nN\forall\epsilon>0,\; \exists N \in \mathbb{N}\quad s.t. \\ \Vert f_n -f_m\Vert<\epsilon \quad for \quad \forall m,n \geq N

완비성Completeness의 정의

노음선형공간(이하 NLS) X의 모든 코시 수열이 X의 함수로 수렴할 때 X를 완비공간이라고 한다.
이때 완비노음공간을 바나하 공간(Banach Space) 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와 더불어 빠른(?)코시수열 (정확한 한국어 번역을 찾지 못했다.) rapid(fast) Cauchy Sequenc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f NLS X의 함수열 fnf_n에 대해 k=1ϵk<,ϵk>0\sum_{k=1}^\infty \epsilon_k <\infty, \forall\epsilon_k>0 인 실수열 {ϵk}\{\epsilon_k\} 가 존재하여,

fk+1fkϵk2\Vert f_{k+1}-f_k\Vert \leq \epsilon_k^2

를 만족한다면 함수열 fnf_n을 rapidly Cauchy 하다고 정의한다.

Rapidly Cauchy인 함수열과 코시함수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

Prop
1. NLS X에서의 모든 Rapidly Cauchy 함수열은 코시수열이다.
2. 모든 코시수열은 Rapidly Cauchy 한 부분수열을 가진다.

pf.
1) fnf_n이 rapidly Cauchy이면 위 정의의 조건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열 ϵk\epsilon_k가 존재한다. 이떄,

fn+kfnj=nn+k1fj+1fjj=nϵj2<\Vert f_{n+k}-f_n \Vert \leq \sum_{j=n}^{n+k-1}\Vert f_{j+1}-f_j\Vert \leq \sum_{j=n}^\infty \epsilon_j^2 <\infty

따라서, fnf_n은 코시수열이다.
2. 자연수열 {nkn_k}를

fnk+1fnk1/2k\Vert f_{n_{k+1}}-f_{n_k}\Vert \leq 1/2^k

를 만족하도록 잡으면 {fnkf_{n_k}}는 rapidly Cauchy 임을 알 수 있다.

리즈-피셔 정리Riesz-Fischer THM

  1. Lp(E)L^p(E) 는 바나흐 공간이다.
  2. fnff_n \to f 이면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f로 점별수렴하는 {fnf_n}의 부분수열이 존재한다.

THM7 Lp(E)L^p(E)에서 fnf_nff로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점별수렴하면,
함수열 fnf_nff로의 수렴과 limnEfnp=Efp\lim_n\int_E|f_n|^p = \int_E|f|^p 임은 동치이다.

Dense

조밀성의 정의

NLS X의 부분집합 F,GX\mathcal{F,G} \subset X 에 대해 FG\mathcal{F \subseteq G} 를 만족한다고 하자. 이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F\mathcal{F}G\mathcal{G} 에서 조밀하다고 한다.

임의의 함수 gGg \in \mathcal{G}, 임의의 실수 ϵ>0\epsilon>0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F\mathcal{F} 에서의 함수 ff 가 존재한다.

fg<ϵi.e.limnfn=g\Vert f-g \Vert < \epsilon \\ i.e.\quad \lim_nf_n=g

조밀성과 관련하여, 앞서 살펴본 Simple Approximation LemmaLDCT를 이용하면 다음 명제를 생각할 수 있다.
Prop Lp(E)L^p(E) 공간의 단순함수들로 이루어진 부분공간은 Lp(E)L^p(E) 에서 조밀하다.

또한, [a,b][a,b]에서의 계단함수들로 이루어진 부분공간은 Lp[a,b]L^p[a,b] 의 단순함수들의 부분공간에서 조밀하므로 Lp[a,b]L^p[a,b] 에서도 조밀하다.

Separability분리가능성

Def NLS XX에 대해, XX에서 조밀한 X의 가산부분집합이 존재한다면 X를 separable 하다고 정의한다.
(개인적으로 분리가능하다는 번역의 어감이 안좋아 그냥 separable로 썼다)

THM 11 엘피공간의 분리가능성

NLS Lp(E)L^p(E) (p<)(p<\infty) 는 separable하다.

pf. 유계닫힌구간 [a,b][a,b]에 대해 S[a,b]S[a,b] 를 구간에서의 계단함수들의 모임으로 정의하자.
또한, S[a,b]S[a,b]의 계단함수 중 유리수 함수값을 가지고 [a,b][a,b]의 분할 P={x0xn}P=\{x_0\ldots x_n\} 이 존재하여 각 xkx_k들이 유리수임을 만족하는 계단함수들의 모임을 S[a,b]S'[a,b] 라고 두자. 이때, 유리수의 조밀성으로부터 S[a,b]S'[a,b] 역시 S[a,b]S[a,b]에서 조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포함관계

S[a,b]S[a,b]Lp[a,b]S'[a,b] \subseteq S[a,b] \subseteq L^p[a,b]

로부터 S[a,b]S'[a,b]Lp[a,b]L^p[a,b]에서 조밀함을 알 수 있다.
각 자연수 n에 대해 함수족 Fn\mathcal{F_n}[n,n][-n,n] 밖에서는 소멸(vanish)하고, [n,n][-n,n] 에서는 S[a,b]S'[a,b] 에 속하는 함수들의 모임으로 정의하자. 또한, F=nNFn\mathcal{F} = \cup_{n\in \N}\mathcal{F_n} 으로 두면 F\mathcal{F}Lp(R)L^p(\R)에 속한 함수들의 가산집합이다.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임의의 fLp(R)f\in L^p(\R) 에 대해

limn[n,n]fp=Rfp\lim_{n \to \infty} \int_{[-n,n]}|f|^p = \int_\R|f|^p

이므로 F\mathcal{F} 는 가산집합이며 Lp(R)L^p(\R)에서 조밀하다.
임의의 가측집합 EE에 대해 함수족 F\mathcal{F}의 각 함수들을 EE로 제한시키면 이는 Lp(E)L^p(E)에서 조밀하다. 따라서 Lp(E)L^p(E) 는 separable 하다.

반면, p=p=\infty 인 경우 LL^\infty 는 separable 하지 않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증명가능하다.

pf. 만약 separable 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가산함수족 fnNf_{n \in \N} 이 존재하여 L[a,b]L^\infty[a,b]에서 조밀하다.
이떄 임의의 x[a,b]x\in [a,b] 에 대해

χ[a,x]fη(x)<1/2\Vert\chi_{[a,x]}-f_{\eta(x)}\Vert_\infty<1/2

인 자연수 η(x)\eta(x) 를 잡자.(ϵ\epsilon=1/2)
이때, ax1<x2ba\leq x_1\lt x_2\leq bx1,x2x_1,x_2 에 대해

χ[a,x1]χ[a,x2]=1\Vert\chi_{[a,x_1]}-\chi_{[a,x_2]}\Vert_\infty=1

이므로 (Characteristic function의 함수값과 노음의 정의에 의해),
η\eta[a,b][a,b] 에서 자연수로의 일대일 대응이어야 한다.(노음에서의 삼각부등식이 등식조건으로 변경되므로)
그러나 구간 [a,b][a,b]는 불가산집합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Reference

  •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