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에서 다루는 공간들에는 거리공간, 위상공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중에서도 엘피공간(작성의 편의를 위해 L^p를 가끔 엘피로 쓰게되었다😅)은 르벡적분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고 머신러닝에서도 종종 주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히 숙지할 필요가 있다. 우선 엘피공간의 주요 성질들을 살펴보기 이전에 노음과 노음공간에 대해 정의하기로 한다.
Normed Linear Spaces노음선형공간
이 장을 시작하기에 앞서, 집합 E는 실수 집합의 가측부분집합이고 집합족 F는 E에서의 모든 유한(a.e. on E), 가측 실함수들의 모임으로 가정하자.
Def 함수의 동치
만약 집합 E에서의 함수 f,g 가 E의 거의 모든점(a.e)에서 같다면 f,g를 동치equivalent 라고 하며,
f≅g
로 표기한다.
이때 위 동치관계는 함수족 F 를 분할하므로 (동치관계의 성질) 동치류equivalence classes 들을 정의할 수 있다.
*Equivalence class에 대해서는 쉽게 설명된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엘피공간의 정의
동치류의 모임 [f]=Lp(E)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E∣f∣p<∞wherep∈[1,∞)
이때,
∣a+b∣≤2max[∣a∣,∣b∣]∣a+b∣p≤2pmax[∣a∣,∣b∣]
임을 이용하면, 임의의 동치류 [f],[g]∈Lp(E) 와 임의의 실수 α,β∈R 에 대해 α[f]+β[g] 도 Lp(E) 의 원소임을 알 수 있다.
∫E∣f+g∣p≤∫E2p∣f∣p<∞ 이고,
스칼라곱에 대해서는 적분의 선형성으로부터 성립.
따라서, Lp 공간은 선형공간임을 알 수 있다.
Essentially Bounded
함수 f∈F 에 대해 M≥0 이 존재하여 E의 거의 모든 점(a.e.)에서 ∣f(x)∣≤M 일 때,
함수 f를 essentially bounded 하다고 정의한다. (한국어로 어떻게 정확히 번역해야 하는지를 찾기가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Lp 공간에서 p가 무한대일 때, 즉 L∞(E) 인 경우는 적분으로 정의하지 않고, essentially bounded한 동치류 [f] 들의 모임으로 정의한다.
노음(Norm)
선형공간 X에서 정의되는 실함수 ∥⋅∥:X→R 가 다음을 만족할 때 이를 노음이라고 정의한다.
임의의 함수 f,g∈X, 실수 α∈R 에 대해:
(N1) ∥f+g∥≤∥f∥+∥g∥
(N2) ∥αf∥=∣α∣⋅∥f∥
(N3) ∥f∥≥0 이고 ∥f∥=0ifff=0
노음이 정의된 선형공간 X를 노음선형공간이라고 하고, 노음이 1인 함수를 X에서의 단위함수(unit function) 라고 한다.
예시)
L1(E) 공간에서 ∥f∥1=∫E∣f∣ 로 정의된 함수는 노음이다. (적분의 선형성, 단조성으로부터 자명)
L∞(E) 공간에서 ∥f∥∞=inf[essential upper bounds] 로 정의된 함수는 노음이다.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일반성을 잃지 않고 Lp 공간에서의 노음을
∥f∥p=[∫E∣f∣p]1/p
로 정의하기로 한다.
L^p 공간에서의 주요한 부등식
우선, 앞서 정의한 Lp 공간의 노음이 (N1)-(N3) 을 만족하는지를 살펴보자.
(N1) 증명 필요 ⋯ Minkowski의 부등식
(N2) 적분의 스칼라곱으로부터 자명하다.
(N3) 체비셰프의 부등식 로부터 적분값이 0인 것과 함수가 거의 모든 점에서 0인 것은 동치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N3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노음의 요건 중 삼각부등식(N1) 이 성립하는지만 확인하면 된다. 이떄 엘피공간에서의 삼각부등식을 민코우스키 부등식이라고 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영의 부등식과 횔더 부등식을 살펴본다.
영의 부등식Young's Inequality
실수 p∈(1,∞) 에 대해 q가 p의 켤레수conjugate 라고 하자. 이때 임의의 양의 실수 a,b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ab≤pap+bbq
*켤레수 : 1/p+1/q=1 을 만족하는 수를 말한다.
pf. 주어진 p,q 에 대해 다항함수
g(x)=pxp+q1−x
를 생각하자. 이때 도함수 g′은 (1,∞) 에서 0보다 크고 x=1에서 0이며, (0,1) 에서는 0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g(0)≥0 으로부터 g≥0on(0,∞) 이다.
따라서, x≥0 일때 x≤xp/p+1/q 이므로 x=a/bq−1 을 대입하면 부등식이 성립한다.
횔더 부등식Holder's Inequality
켤레수 p,q 와 두 함수 f∈Lp(E), g∈Lq(E) 에 대해:
f⋅g 는 적분가능하고
∫E∣f⋅g∣≤∥f∥p⋅∥g∥q
이다.
f=0 일 떄,
f∗=∥f∥p1−p⋅sgn(f)⋅∣f∣q−1
로 정의하면 f∗∈Lq(X,μ) 이고 ∫Ef⋅f∗=∥f∥p 이며 ∥f∗∥q=1이다.
p=1 일 때 : ∥f∥∞ 가 E에서 f의 essential upper bound 이므로,
∫E∣f⋅g∣≤∥f∥1⋅∥g∥∞
이고, f∗=sgn(f) 이므로 2도 성립한다.
p>1 일 때 :
함수 f,g가 0이 아니라고 가정하자.(0일때는 자명함) 이때, 일반성을 잃지 않고 ∥f∥p=∥g∥p=1이라고 하자.(1이 아닌 경우는 함수를 노음으로 나누어 unit function으로 만들자.) f,g 가 적분가능하므로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유한하고, 영의 부등식에 의해 E의 거의 모든 점에서
∣f⋅g∣≤∣f∣p/p+∣g∣q/q
가 성립한다. 따라서 양변을 적분하면,
∫E∣f⋅g∣≤p1∫E∣f∣p+q1∫E∣g∣q=p1+q1=1∴
이때 위에서 정의한 함수 f∗를 f 의 켤레함수conjugate function라고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삼각부등식을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민코우스키의 부등식Minkowski's Inequality
함수 f,g∈Lp(E) 가 f+g=1 이고 p>1 이라고 가정하자.
횔더의 부등식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