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풀러 가기!난이도: G5사용한 알고리즘: Bitmask, 완전 탐색G5에 랭크되어 있어 어느 정도 어렵겠지 했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1일 알고리즘.. 이거로 힐링하고 있는데, 만족스럽지 않네요ㅜ점점 골드가 골드가 아닌거 같은 이 느낌....그래도 겸손하게 꾸준
안드로이드 공부 기록compose ui를 이용해서 실습하다가 Error running 'Preview': "There is no @Composable named라는 에러가 발생했다.뭐지했다. 왜냐하면 나는 @preview를 지웠기 때문이다.한참을 찾다가 안드로이드 스튜
예전에 풀어본 문제지만, 그때는 안풀려서 다른 분 답을 참고했다. bitmask를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를 꼭 내 힘으로 풀어보겠다는 다짐을 한체 꾸준히 bitmask를 풀었고 어느 정도 감이 잡혔던 상태로 다시 한 번 이 문제에 도전했다. 문제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문제 풀러 가기!문제 분석단순한 DFS 문제로 판단했습니다. 다른 방식은 아직 생각나지 않았습니다.어차피 문제의 자료구조가 트리구조이기 때문에(순환x) 최하단 자식 노드까지 내려갔다가 부모로 다시 올리면서 문제의 조건을 대입해주면 됩니다.주의할 점은 문제의 조건상 12
문제 풀러 가기!전형적인 PS 풀이를 이용한 문제입니다.G1에 랭크되어 있는 만큼 알고리즘 짜기 힘들기도 하고 생각하기도 힘들다는 생각이 드네요.그래도 괜찮습니다. 차근차큰 생각하다보면, 답이 나올 것입니다.문제에서 설명하기를 1번은 인터넷이 무조건 연결되어 있고 N번
안드로이드 개발 기록Firebase Storage 이용에 있어 아래와 같은 이슈가 발생한다면Object does not exist at location.2개 중 하나이다.찾는 이미지가 firebase Storage에 없거나잘못 요청 보냈거나image 명칭을 잘못 입력확
안드로이드 개발 기록Firebase Storage를 이용하려고 했으나, User does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this object. 오류가 발생했다. 코드에는 아무런 문제가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이슈를 어떻게 대처하는지 확인해보았
안드로이드 개발 기록앱 개발 도중 Firebase Auth issue가 등장했다.Ignoring header X-Firebase-Locale because its value was null.라는 것으로 찾아보니까. firebase에서 요구한 이메일 인증 양식과 같지 않
문제 풀러가기!전형적인 dfs 문제로 배열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 hash로 구분했습니다.문제의 설명을 잘 보면 특정 노드부터 시작해서 해당 부모 모드로 타고타고 올라가는 방식 형태가 가장 큰 특징이며, 문제에서 그렇게 정보를 주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최근 SW 역량 테스트 때문에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집중하고 있어서.. 블로그를 등한시 하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풀고 있는 알고리즘 풀이를 해보려고 합니다.문제 풀러가기!아기, 청소년, 어른 상어에 이에 마법사 상어 시리즈의 마지막 단계인 마
오늘은 coroutine(이하 코루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많은 앱에서 코루틴을 활용하여 service 단을 개발하고 진행하는 것을 보면서 꼭 배워야하는 기능이다!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잘하진 않지만, 개념적인 부분을 틈틈히 채워보려고 합니당!그리
오늘은 평소에 관심있었던 Android Jetpack Compose UI에 대해 Naver Deview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남상혁 개발자님께서 발표하셨고 많이 개발자분들이 관심있어 하는 library인 만큼 저도 궁금한 내용이 많았습니다.이 글에서는
상반기 시작인 3월부터 많은 곳에 원서를 넣었다. 나름 선방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왜냐하면, 넣은 곳의 70% 정도는 서류가 합격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건 잠시의 기쁨이고 연달아 면접에서 쓴맛을 봤다. 내가 가지고 있는 fit과 기업의 fit이 안맞은
이 Composition API는 Vue2 구조를 붕괴시키는 API라고 합니다. 약간 현재 Vue 3가 나온지 얼마 안 지난 상황에서 Compositiion API와 Vue 2를 번갈아가면서 코드를 작성할 경우 매우 큰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 해요.즉 Composi
Kotlin에서는 object키워드를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지만 모든 경우 클래스를 정의하면서 동시에 instance를 생성한다는 공통점이 있다.object 키워드를 사용하는 여러 상황을 살펴보자.객체 선언은 싱글턴을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다.companion obje
대규모 객체 지향 시스템을 설계할 때 시스템을 취약하게 만드는 문제는 보통 구현 상속에 의해 발생한다. 즉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 중 일부를 오버라이드하면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세부 구현 사항에 의존하게 된다.결국에는 시스템이 변하거나 확장됨에 따라
문제풀러 가기!이 문제는 사실 dfs로 접근했다가 틀린 문제입니다. 아직 입력값을 고려한 로직을 작성하는데, 문제가 있는건가 싶네요.그리고 문제를 풀면서 하나 새로 얻은 것도 있습니다.바로 ArrayDeque()라고 하는 겁니다. 사실 Python을 먼저 배우다 보니,
문제풀러 가기!생각이 좀 필요한 문제였습니다. 그리고 타입에 대해 신경을 썼어야 했던 문제였습니다.문제 풀이 아이디어는 생각보다 복잡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무지성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당연히 문제가 틀릴겁니다.일단 문제 풀이 아이디어에 대해서 생각해보죠.문제의 조건 상
접근자의 가시성은 기본적으로 프로퍼티의 가시성과 같다. 하지만 원한다면 get이나 set 앞에 가시성 변경자를 추가해서 접근자의 가시성을 변경할 수 있다.LengthCounter라는 class는 자신에게 추가된 모든 단어의 길이를 합산한다. 전체 길이를 저장하는 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