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https://giwoong01.tistory.com/
post-thumbnail

우아한테크코스 8기 프리코스[BE] 3주차 회고: 로또 1등 당첨을 바라며

3주차 미션은 지금까지 진행한 과제 중 가장 어려웠습니다.단순히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설계란 무엇인지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아야 했던 시간이었다고 생가합니다.2주차에 내렸던 여러 결정들을 다시 돌아보고, “왜 그렇게 설계했는가”, “더 나은 방향은 무엇일

2025년 11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우아한테크코스 8기 프리코스[BE] 2주차 회고: 3번째 자동차 경주

이번이 3번째… 풀어보는 자동차 경주 과제입니다.그럼에도 저는 매년 성장하고 있고, 항상 코드는 달랐습니다.첫 번째 풀 때는 단순히 돌아가게 만들기에 급급했지만,두 번째는 “객체지향적으로 짜보자”라는 막연한 시도를 했었고,이번 세 번째는 “왜 이렇게 설계해야 하는가?”

2025년 10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우아한테크코스 8기 프리코스[BE] 1주차 회고: 산뜻한 출발

이건 작년에 진행한 우아한테크코스 7기 프리코스 1주차 회고입니다. 이때도.. 대학생이었는데 여전히 대학생 신분으로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를 진행 중입니다.(2023년부터 시작해서… 벌서 프리코스만 3번째 도전 중입니다 🤦🏻‍♂️ 그래도 끝까지 화이팅!)

2025년 10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학습 기록] 비관적 락과 분산 락 사이에서 성능 최적점 찾아보기

개인적으로 동시성 제어에 대해 공부하던 중, 'DB 부하를 줄이기 위해 분산 락을 도입하는 것이 항상 최적의 성능을 보장할까?' 라는 호기심이 생겼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데이터 기반으로 찾고자 테스트를 설계하고 진행했습니다.먼저, 동시성 문제를 테스트하기 위해 JP

2025년 8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깨끗한 JPA 엔티티와 더러운 테스트 사이, ID 생성자 딜레마

최근 한 기업의 백엔드 개발 과제를 진행하며 흥미로운 딜레마에 빠졌습니다. 과제의 요구사항에 따라 JPA로 엔티티를 설계하며, 저는 제가 사랑하는 원칙을 충실히 따랐습니다.ID는 데이터베이스가 생성하는 것, 고로 내 코드는 ID 없는 순수한 도메인 객체만 다뤄야 한다.

2025년 8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내 개발 습관이 만든 첫 라이브러리: 공통 응답과 예외 처리

개발을 하다 보면, “이 코드… 또 복붙이네?” 하는 순간이 자주 찾아옵니다. 저도 마찬가지였고, 결국 그런 습관이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만들게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왜 공통 응답 템플릿과 예외 처리 로직을 라이브러리로 분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설계했는지,

2025년 7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SE, 어디까지 써봤니? 분산 서버 환경에서의 연결 유지와 Kafka 활용 (2편)

이전 1편에서는 SSE(Server-Sent Events)의 개념과 단일 서버 환경에서의 적용 과정을 다루었습니다.이번글에서는 운영환경에서의 확장성과 안전성 확보를 중심으로, Redis를 통한 SSE 연결 관리와 Kafka를 통한 다중 서버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2025년 4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SE, 어디까지 써봤니? 실전 적용과 서버 구현 (1편)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WebSocket, Long Polling, Server-Sent Events(SSE) 같은 기술이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SE를 실전에서 적용하면서 경험한 것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SSE를 처음 접한 것은 이전에 진행한 끄

2025년 3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끄적끄적 서비스 조회 부하 테스트 2편: 데이터베이스 인덱스로 성능 향상. 가능할까?

[이전 상황] 이전 1편에서는 쿼리 최적화를 통해 조회 성능을 크게 개선한 사례를 다뤘습니다. 쿼리 구조를 단순화하고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한 결과, 성능 지표에서 상당한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조금 더 안전하고 빠른 조회를 요구하는

2024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