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게임 오브젝트 & 컴포넌트

양승준·2025년 5월 27일
0

Unity

목록 보기
2/4
post-thumbnail

시작하며

유니티나 언리얼을 사용하다가 보면 많이 듣는 게임 오브젝트라는 개념과 컴포넌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이번에는 게임 오브젝트가 뭔지, 현실에서의 오브젝트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를 정리하고 컴포넌트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왜 게임 개발에서 컴포넌트라고 불리고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게임 오브젝트

게임 오브젝트란?

게임 오브젝트는 게임 세계 안에서 존재하고 동작하는 모든 요소의 기본 단위이다. 예를 들어서 캐릭터, 아이템, 배경, UI 버튼 등 모두 게임 오브젝트다. 간단히 말하면 게임 세계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의 게임 오브젝트라고 할 수 있다.

게임과 현실의 오브젝트 개념 차이

항목게임 오브젝트 (Game Object)현실 오브젝트 (Real-World Object)
존재 형태디지털 세계 속 추상적 데이터 구조물리 세계에서의 실재하는 물체
표현 방식수치 데이터(위치, 모델, 상태 등)로 저장되고 렌더링됨빛, 질량, 촉감 등 감각적 정보로 인식됨
조작 방식코드 또는 UI로 조작(Transform, Script 등)손, 도구 등 물리적 수단을 통해 상호작용
법칙 적용인위적인 물리·로직(게임 물리, 이벤트 중심)자연 법칙(뉴턴 물리학, 시간, 온도 등)
목적게임 플레이, 기능, 상호작용을 위한 설계 단위실생활 사용, 목적, 존재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짐

게임 오브젝트는 가상 환경에서의 기능적 단위로 코드와 데이터 조작 가능한 디지털 구조체이다. 반면 현실 오브젝트는 물리 세계(현실)의 실제 사물로 자연 법칙과 물리적 제약 하에 존재하며 상호작용한다.

위에 표와 정리 글로 보면 두 오브젝트는 "존재한다"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존재의 방식과 구성, 조작법, 목적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하고 그렇게 구분 지을 수 있을 것이다.

Unity의 게임 오브젝트

  • 빈 게임 오브젝트의 게임상의 배치 시
    빈 게임 오브젝트의 게임상의 배치
  • 빈 게임 오브젝트가 게임 상에 존재하기 위한 최소 필요 조건과 최소 필요 컴포넌트
    빈 게임 오브젝트가 게임 상에 존재하기 위한 최소 필요 조건과 최소 필요 컴포넌트

위에 사진들 처럼 게임 오브젝트는 게임 세계에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조건들이 필요하다. 특히 유니티 게임 상에서는 빈 게임 오브젝트를 만들게 되었을 때, Transform이라는 컴포넌트가 따라 붙는다. 왜 따라 붙는 것일까? 이유는 게임 상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유니티가 Transform이라는 것이 필수 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여러 기능들을 추가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어 줄 수도 있다.


컴포넌트

컴포넌트란?

컴포넌트는 Unity에서 게임 오브젝트의 기능을 정의하는 모듙 단위이다.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Transform이라는 기본 컴포넌트 부터, 랜더링, 물리, 오디오, UI, 스크립트 등 다양한 기능을 조합하여 오브젝트의 역할이나 특징을 부여하여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대표 컴포넌트 종류

분류컴포넌트 이름역할 설명
렌더링(Rendering)Mesh Renderer, Sprite Renderer화면에 3D Mesh 또는 2D Sprite를 출력
물리(Physics)Rigidbody, BoxCollider, SphereCollider물리 연산, 충돌 감지, 중력 적용 등
스크립트사용자 정의 C# 스크립트논리, 행동, 입력 처리 등 게임 로직
오디오(Audio)AudioSource, AudioListener소리 출력, 마이크 수신 등
UICanvas, Button, Text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카메라/조명Camera, Light시점 설정, 광원 설정

마치며

초반에 게임 오브젝트, 풀어서 말하면 오브젝틑 또는 객체라고 했을 때의 현실에서 알고있던 오브젝트 또는 객체의 개념이 게임이라는 가상 세계 또는 개발을 할 때의 객체라는 개념이 너무 추상적이고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래서 객체의 대한 정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의가 어떻게 현실과 다른지, 현실에서의 객체의 범위와 가상인 게임과 개발을 할 때의 객체의 개념이 같으면서 다른 느낌이 존재하고 그 다른 느낌이 추상적인 것을 객체로 본다는 개념에서 혼란이 왔었다. 그래서 나 처럼 이러한 오브젝트 or 객체에 대한 개념이 흔들리는 사람이 있다면 그러한 흔들리는 포인트가 무엇이고 어떤 포인트의 개념이 충돌하면서 생기는지를 파악하고 개념 분리를 해나가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될것이다. 나 또한 그렇게 해결했지만 정답을 없다. 각자만의 효율적인 처리법이 있을 수 있으니...

profile
지모창말, 미모창.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