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ode와 MacOS를 업데이트 한 후, RN 앱을 ios 디바이스로 실행하고자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떴다.해당 내용에 대해 검색을 해보니, 꽤 흔한 에러인 것 같았다.다만 같은 error code 65 더라도 발생 원인이 사람마다 달랐던 것 같다. 그래서 po
https://www.youtube.com/watch?v=1ojA5mLWts8&t=837s이에 대해 정리하기 위해선 우선 DOM 과 가상 DOM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HTML 을 주문서라고 한다면 이를 실체화시키는 것은 웹 브라우저의 몫이다. (예를
에러는 아니지만 이러한 경고가 떴을시.이는 디버깅하는 시간과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시간이 맞지 않아서 생기는 경고인 것 같다. 깃헙에 내용을 참고해보니,https://github.com/facebook/react-native/issues/8720에뮬레이터의 시
오늘은 express를 통해서 간단한 crud 작업을 해볼 예정이다. crud란 create, read, update, delete 서버 입장에서 post, get, put, delete 를 생각하면 된다. 우선 express 서버를 하나 만들어보자.다음과 같이 간단한
다음과 같이 아무것도 없는 하얀 화면이 뜰 때가 있습니다. 빨간 에러 화면도 아니라 디버깅을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죠.이때 켜둔 metro를 보시면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metro에 혹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뜨시는지 확인해주세요.이는 react navigation을
동기와 비동기? 동기는 말 그대로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리의 console.log. 백날 쳐보지 않아도 콘솔창의 값이 어떻게 나올지 알 수 있다. 반대로 비동기는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언제 실행이
플레이스토어에 앱을 올린 후 업데이트를 진행해보자. 경험상 업데이트는 2~3시간 안에 플레이스토어에 반영이 되었던 것 같다.mac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하니 참고! 만약 build.gradle에서 defualtConfig를 수정하지 않았다면 1st step부터 실행.수
리덕스의 첫번째 포스팅에선 리덕스에 대한 개념 위주의 소개글을 적었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리액트 네이티브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 알아야 사용할 수 있지 않은가. 그래서 현재 나의 경험을 토대로 리덕스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적어보겠다. 우선 간단하게 다시 개념을
현상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 앱 빌드를 하고 나서 흰색 blank screen 만 보임. 디버거 연결도 안되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 우연히 메트로에서 에러를 보았는데 해당 에러의 내용이 제목과 같았다. 해결방법 우선 메트로에서 react-native start
Redux를 모르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려고 했던 스스로에게 많은 반성을... 한 component의 state를 props로 줄줄이 자식에게 먹여주었던 미련함을 이젠 떨칠 필요가 있었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하나 둘 늘어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수고를 이
input을 넣게 되면 작동할 때 keypad가 뜨기 마련이다. 아이폰에선 이 keypad가 screen위로 올라오는데 ( keypad가 UI 가림) 안드로이드에선 keypad screen을 분할하는 것처럼 뜨게 된다 ( keypad가 UI를 위로 밀어냄) 예시를 보여
How to generate default boxes in SSD Anchor box의 개념에 대해선 다른 글에서 다루겠다. Anchor box와 Default box의 개념은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본 글은 SSD 논문에 나와있는 Default box의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