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데미 부캠 강의를 듣고 있는데 어렴풋 써먹기만 해서 늘 헷갈렸던 배열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다.
이번에 배운 건 배열에서 사용 가능한 메서드!
push( ) , pop( )
끝에 있는 놈들부터 건드릴게요! 라고 생각하자
설명
1. movieLine
이라는 변수에 'nancy', 'tom' 이 배열로 있음
2. movieLine
배열 맨 끝에 'pablo' 를 추가할 예정
3-1.
movieLine.length
로 전체 개수를 구한 후
movieLine[2] = 'pablo' 라고 적는다.
ㄴ성가셔서 비추드려~
3-2. push( )
사용
movieLine.push('pablo') 쓰면 총 3개로 바뀌고 맨 끝에 잘 추가되었다.
설명
1. movieLine
이라는 변수에 'nancy', 'tom', 'pablo' 가 배열로 있음
2. movieLine
배열 맨 끝에 'pablo' 를 제거할 예정
3. pop( )
을 이용해서 간단히 없애고 다시 확인하니 'nancy', 'tom' 만 남아있다.
⭐️ push()
의 괄호에는 추가할 요소를 적지만 pop()
에는 적지 않는다!
shift( ) , unshift( )
요놈은 앞부터 추가합니다!! VIP 등장!! 라고 생각하기
설명
1. movieLine
이라는 변수에 'nancy', 'tom', 'pablo', 'harry', 'ron', 'hernione'이 배열로 있음
2. movieLine
배열 맨 앞 'nancy' 를 제거할 예정
3. shift( )
을 이용해서 맨 앞에꺼만 없앴다.
설명
1. movieLine
이라는 변수에 'tom', 'pablo', 'harry', 'ron', 'hernione'이 배열로 있음
2. movieLine
배열 맨 앞 'VIP' 를 추가할 예정
3. unshift( )
을 이용해서 맨 앞에 추가했다.
⭐️ 잠시 멍( •︠-•︡ ) 해서 shift()
와unshift()
헷갈리지 않도록 조심하자
이제 배열 마저 들으러 갑니데이... 총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