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이 설명하는 반도체공정] 4. 산화 공정

Embedded June·2020년 12월 28일
2
post-thumbnail
  • 본 문서에서는 반도체 8대 공정 중 두 번째 프로세스인 산화 공정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 산화 공정을 지배하는 요소는 산화물 절연체 SiO2SiO_2라는 점을 염두하고 이야기를 시작합시다.

1. 개요

1.1. Oxide의 종류와 두께

  • 우리는 <2. CMOS 구조와 전체 반도체 공정> 문서에서 pad oxide, gate oxide로 SiO2SiO_2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 SiO2SiO_2SiSi와 잘 결합할 수 있고 우수한 절연특성을 가진다는 두 가지 장점 덕분에 반도체 산업에서 아주 잘 사용됩니다.
  • Oxide는 열산화공정 (Thermal Oxidation)을 통해 두께가 두꺼워지는데 (=성장하는데) 용도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다르고 두께도 다르다는 점을 알고 넘어가시 바랍니다.
    • Native Oxides: 열과 관련된 공정들을 거치면서 의도치 않게 성장하는 아주 얇은 층입니다. 주기적으로 제거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 Gate Oxides & Tunneling Oxides: Gate 단자 밑에 증착되는 절연막을 의미합니다.
    • Pad Oxides: 산화공정 초기에 SiSi를 보호하기 위해 웨이퍼 전체에 CVD로 증착시키는 oxide를 의미합니다. 공정이 진행되면서 gate oxide만 남기고 제거됩니다.
    • Masking Oxides: 이온 주입 시 PR이 dophants를 제대로 막아주지 못 할 경우 사용합니다.
    • Field Oxides: PMD, IMD#n과 같은 두꺼운 막을 의미합니다.
  • 공정이 미세화되어가면서 oxide의 두께를 물리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절연체의 캐패시턴스 (Capacitance)를 측정한 뒤 Cox=ϵsϵrtoxC_{ox} = {{\epsilon_s \epsilon_r} \over {t_{ox}}} 공식으로 간접적으로 두께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측정한 두께를 tox  equivalentt_{ox} \ \ equivalent라고 합니다.

1.2. 연속적인 산화 과정

  • 산화 공정에서의 oxide 확산과정은 위와 같이 세 가지 연속적인 (serial)공정으로 이뤄집니다.
    1. 외부 (Ambient)로부터 산화제 (O2,H2OO2,H_2O)가 SiO2SiO_2로 주입됩니다.
    2. SiO2SiO_2 내부로 산화제가 아래로 확산 (Diffusion)되며 SiSi 계면 (interface)에서 반응 (reac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확산은 에너지가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당연히 외부의 O2O_2 농도가 SiSi 내부보다 높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확산이 일어납니다.
    3. Si+O2SiO2Si + O_2 \rightarrow SiO_2 같은 반응에 의해 SiSi와 산화제가 반응하면서 추가적인 SiO2SiO_2가 생성되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 성장은 위와 같이 일어나게 됩니다. 단위 체적의 SiSiSiO2SiO_2로 성장할 때는 길이가 1.3배 팽창하게 됩니다.
  • 그러나 SiSi의 조밀한 원자구조 때문에 좌우로는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위로 2.2배 팽창합니다.
  • SiO2SiO_2가 성장할 때 위쪽 방향, 아래쪽 방향으로 1.2 : 1 비율로 성장하게 됩니다.

1.3. C-V measurement

  • 정상적으로 CMOS를 만들고 나면 chip 짜투리에 아주 작게 test pattern을 만듭니다. 이 부분에서 chip 내부 oxide의 capacitance를 측정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C-V 측정입니다.
  • Gate에 양전압이 인가되면 계면의 hole들이 아래쪽으로 도망가므로 공핍층 (depletion layer)이 생긴다는 것을 이전에 설명했습니다. 또한 앞서 oxide의 얇은 두께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capacitance를 사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CV 측정은 이 공핍층이 최대 두께로 생성되는 때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해서 ① oxide의 두께를 간접적으로 추정하고 ② 문턱 전압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 위 그림은 n-type의 wafer 기판에 대한 CV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이 기판은 PMOS이고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계면을 기준으로 공핍층이 생성 및 팽창되기 시작합니다. 공핍층이 팽창하면 capacitance는 문턱전압까지 계속 감소하게 됩니다.

  • 그보다 더 크게 음전압을 걸어주면 인가되는 전압의 특성에 따라 두 가지 경우 중 하나의 그래프를 따라가게 됩니다.

    1. LFCV (Low Frequency CV) : C=CoxC = C_{ox}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낮아 캐리어 (전자, hole)들이 생성과 재결합을 반복하며 결국 다시 원래의 capacitance를 회복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2. HFCV (High Frequency CV) & Deep depletion : 1Ctotal=1Cox+1Cd{{1}\over{C_{total}}} = {{1}\over{C_{ox}}} + {{1}\over{C_d}}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매우 높아 캐피어들이 반응하지 못하고 공핍층이 계속해서 확대되는 경우입니다. 생성 및 확대되는 공핍층이 절연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capacitance가 계속해서 감소하게 됩니다.

1.4. Oxide에서 발견되는 4가지 전하결함

  • SiO2SiO_2 oxide와 SiSi 사이의 계면 인근에서 발견되는 4가지 전하결함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알아보고 넘어갑시다.
  1. Qf=fixed oxide chargeQ_f = fixed \ oxide \ charge: 공급되는 산화제 (O2O_2)가 부족하면 반응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SiO2SiO_2가 생성되지 못합니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부산물은 전기적으로 양성을 띄는 이온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온들이 계면에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면 전기적 potential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결국 의도치않게 문턱전압을 낮추는 결과를 만듭니다.
  2. Qit=interface trapped chargeQ_{it} = interface \ trapped \ charge: SiO2SiO_2SiSi와 친화력이 좋지만 그래도 이형의 물질이기 때문에 계면에서 생기는 전자 결함을 막을 수 없습니다. 계면에서 SiSi의 원자구조가 손상되어 양이온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 역시 소자의 동작특성을 저해하기 떄문에 문턱전압을 바꿔버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3. Qm=mobile oxide chargeQ_m = mobile \ oxide \ charge: 추후에 다룰 'cleaning' 과정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cleaning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외부의 알칼리계 금속 불순물 (주로 Na+,K+Na^+, K^+)이 oxide 내부로 들어가서 문턱전압을 바꿔버립니다.
  4. Qot=oxide trapped chargeQ_{ot} = oxide \ trapped \ charge: Gate oxide 자체적인 결함입니다.

2. SiO2SiO_2 Growth Model

이 파트에서는 SiO2SiO_2의 세 가지 성장 모델에 대해서 배워볼 것입니다. 성장 모델이란 다음과 같은 의문점에서 시작해서 출발한 개념입니다.

"내가 oxide를 어느정도 두께로 성장시키기 위해서 열산화공정을 몇 시간 해줘야 하는지 알 수 있을까?"

세 가지 중 가장 기초가 되는 Deal and Grove 모델이 가장 중요하니 반드시 알아둡시다.

2.1. Deal and Grove Model

  • 앞서 우리는 oxide의 성장 과정이 3가지 serial한 과정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Serial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가장 느린 공정이 전체 속도를 지배한다는 점입니다. 즉 bottleneck에 의한 critical path가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지요.

  • 바깥의 산화제 농도를 CGC_G, 바깥쪽 SiO2SiO_2 계면에서의 산화제 농도를 CSC_S, 안쪽 SiO2SiO_2 계면에서의 산화제 농도를 COC_O, SiO2SiO_2 계면에서의 산화제 농도를 CIC_I라고 합시다.

  • 단위 시간동안 단위면적을 지나간 산화제 분자의 개수를 Flux라고 합니다. 위 그림의 세 영역에서의 flux를 왼쪽부터 F1,F2,F3F_1, F_2, F_3이라고 합시다.

    • Gasphane Diffusion F1F_1 : 외부에서 SiO2SiO_2로 들어오는 산화제 flux. hG(CGCS)h_G(C_G - C_S)에 비례합니다. (이 공식은 헨리의 법칙을 따르며 이때 hGh_G는 헨리상수라고 부릅니다.)
    • Solid State Diffusion F2F_2: SiO2SiO_2 내부에서 확산되는 산화제의 flux. DCOCIXOD{{C_O - C_I}\over{X_O}}에 비례합니다. (이때 DD는 확산상수라고 부르고 XOX_OSiO2SiO_2의 두께입니다.)
    • Surface Reaction F3F_3: SiSi 계면에서의 flux 반응식입니다. kS×CIk_S \times C_I에 비례합니다. (이때 kSk_S는 비례상수 라고 부릅니다.)
  • 일반적으로 F1F_1은 굉장히 빠른 속도로 이뤄지기 때문에 가장 느린 공정이 될 확률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가장 느린 bottle neck process는 F2F_2 또는 F3F_3 둘 중 하나일 것입니다.

  • 자, 고속도로를 한 번 생각해봅시다. 시간이 충분히 지나 고속도로에 병목현상이 생기게 되면 가장 느린 구간이 전체 고속도로의 진행 속도를 지배하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현상이 생기게 된 이후부터는 느린 구간의 속도가 전체 진행 속도가 됩니다. 이 상태를 non-transient state 또는 steady state라고 부릅니다. 이때부터는 F=F2=F3F = F_2 = F_3입니다.

  • 따라서 우리는 steady state를 가정하고 방정식을 풀게 됩니다. 솔직히 우리에게 수식 유도과정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현상과 과정을 이해하고 결과를 적절하게 잘 사용하면 되는 공학도니까요.

  • 결과적으로 우리는 Xo22DCoNo+XoKsCoNo=(t+τ){{X_o^2}\over{{2DC_o}\over{N_o}}} + {{X_o}\over{{K_sC_o}\over{N_o}}} = (t+\tau) 라는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식이 너무 복잡하므로좌항의 분모를 각각 B와 B/A로 치환해봅시다. 그러면 Xo2B+XoB/A=(t+τ){{X_o^2}\over{B}} + {{X_o}\over{B/A}} = (t+\tau) 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이 Deal and Grove 모델의 방정식입니다. 잘 따라오셨습니다.

    • 상수 BParabolic rate constant라고 부르며 2번 process (Solid state diffusion)과 연관이 있는 상수입니다.
    • 상수 B/ALinear rate constant라고 부르며 3번 process (Surface reaction)과 연관이 있는 상수입니다.
    • 변수 τ\tauIncubation time이라고 부르며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초기에 있는 XiX_i 두께의 oxide를 생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 Deal and Grove 모델은 이미 실험적으로 위와 같은 그래프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 t+τt + \tau가 작을 때는 B/A, 즉 3번 process가 전체 속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위 그래프에서도 직선 (linear)그래프를 따라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τt + \tau가 작을 때는 B, 즉 2번 process가 전체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곡선 (parabolic)그래프를 따라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Deal and Grove 모델은 확산 (Diffusion)을 전제로 해석한 모델이므로 기초적인 동역학을 따르게 됩니다. 동역학의 기초 식 중 아레니우스 관계식 (Arrenius Relationship)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Deal and Grove 모델, 그 중에서도 우리가 방금 배운 B 상수와 B/A 상수는 아레니우스 관계식 (r=A exp(E/kT)r = A \ exp(-E/kT))를 따라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위 식에서 E,E1,E2E, E_1, E_2는 모두 Activation Energy라고 부릅니다. 본래 에너지 차이가 존재하면 reaction은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나타나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 산화제의 확산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연적으로 확산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자연상태의 O2O_2 원자 결합이 깨져야하고 SiO2SiO_2 내부에 O2**O_2 원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 (Vacancy)이 존재**해야 합니다.
    • 이때 자연상태의 O2O_2 결합을 깨기 위해서 필요한 외력이 바로 activation energy입니다.
    • kTkT 에서 kk는 볼츠만 상수를 의미하고 TT는 절대온도를 의미합니다. 상온 (25도)에서 kTkT0.0259eV0.0259eV입니다. 여력이 된다면 이 값은 외워두시길 권장합니다. 자주 쓰이거든요.
  • 실험적으로 이미 상수 B와 B/A의 값은 결정되어 있습니다. 그림의 아래 표는 외부의 상태 (Ambient 또는 분위기 라고 합니다)에 따라 C1,C2,E1,E2C_1, C_2, E_1, E_2값이 결정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그저 이 값을 적재적소에 대입해서 쓰면 됩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한 예제를 들어서 이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한 가지 알아두셔야 할 점은 이 값들이 (111)방향의 SiSi를 전제로 결정된 식이라는 점입니다.

    • 한 가지 또 새로운 개념입니다. 알아두고 갑시다.

    • 웨이퍼의 방향 - 밀러 지수 (Miller indices)

      • 단결정 실리콘 재료에서 결정 방향(crystal orientation)은 Miller indices(밀러 지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실리콘 ingot을 위 그림처럼 좌표축에 어떻게 교차시키면서 자르냐에 따라 웨이퍼의 실리콘 단면 방향이 결정됩니다.
  • 그러므로 만일 (100) 방향의 웨이퍼에 대한 B 상수, B/A 상수의 값을 구하고 싶다면 상단의 (111) 기준에 대한 표의 값에서 C2C_21.681.68로 나눠주면 됩니다. (111)면이 (100)면보다 SiSi이 촘촘하게 결합이 되어있기 때문에 (100)면일 경우 C2C_2가 더 낮아지게 됩니다.

Q1. 왜 (111) → (100) 면으로 바뀔 때 B/A 상수의 농도 C2C_2값만 영향을 받나요?
A1. B/A 상수는 surface reaction과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SiSi의 단면 방향이 바뀌게 되면 surface reaction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반면 B 상수는 SiO2SiO_2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SiSi의 단면 방향이 바뀌는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기 때문에 C2C_2값만 영향을 받습니다.

Q2. 왜 ambient에 따라 E1E_1은 차이가 크고 E2E_2는 차이가 별로 없나요?
A2. E1E_1은 B상수에 대한 activation energy 이므로 SiO2SiO_2와 연관이 있습니다. O2O_2보다 H2OH_2O가 더 activation energy가 낮다는 것은 더 확산이 잘 이뤄진다는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단순 원자량으로만 따져도 O2O_2H2OH_2O보다 무겁기 때문에 결합을 끊기가 상대적으로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같은 실리콘 결합의 빈자리 (vacency)라도 H2OH_2O가 더 확산이 잘 됩니다
E2E_2는 B/A 상수에 대한 activation energy 이고 surface reaction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 에너지는 확산보다 SiSi 원자 결합을 깨는 데에 대다수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ambient 영향에 다소 둔합니다.

2.2. 2D Model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공부가 부족해서 다루지 않습니다. 추후 채워넣겠습니다.

  • Kao 박사에 의해 10년 전에 만들어진 Deal and Grove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은 점들을 추가로 다룬 성장 모델입니다.

2.3. Complete process Simulation of Oxidation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공부가 부족해서 다루지 않습니다. 추후 채워넣겠습니다.

  • 2D 모델보다 더 나아가서 VLSI 제작의 거의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컴퓨팅 시뮬레이션으로 oxide 성장을 예측하는 모델입니다.

2.4. 예제를 풀어봅시다.

Q. A (111) silicon wafer is covered by an SiO2SiO_2 film 0.3μm thick. What is the time required to increase the thickness by 0.5μm by oxidation in H2OH_2O at 1,200ºC?

  • H2OH_2O가 ambient 이므로 표를 참고하면 C1=3.86×102μ2hr1, E1=0.78eV, C2=1.63×108μhr1, E2=2.05eVC_1 = 3.86 \times 10^2 \mu ^2hr^{-1}, \ E_1 = 0.78eV, \ C_2 = 1.63 \times 10^8 \mu hr^{-1}, \ E_2 = 2.05eV입니다.
  • 위 값들을 토대로 계산해보면 B=C1exp(E1/kT)=0.872μm2/hr, B/A=C2exp(E2/kT)=18.11μm/hrB = C_1 exp(-E_1/kT) = 0.872\mu m^2 /hr, \ B/A = C_2 exp(-E_2/kT) = 18.11 \mu m/hr 입니다.
  • Incubation time을 계산하기 위해 초기 두께 0.3μm이고 t = 0을 대입하면 Xi2B+XiB/A=τ=0.12hr{{X_i^2}\over{B}} + {{X_i}\over{B/A}} = \tau = 0.12hr 입니다.
  • 두께 0.5μm 가 추가되면 0.8μm이므로 대입하면 t=0.658hrt = 0.658hr입니다.
  • 결과적으로 두께 0.5μm를 추가로 성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약 0.66 시간이라는 것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SiO2SiO_2같은 oxide의 산화 공정과 성장 모델에 대한 내용을 배워봤습니다.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서 복잡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예제까지 잘 따라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문서에서는 포토 과정에 대해서 배울 것입니다. 다음 토픽 (포토 과정)과 다다음 토픽 (식각 과정)은 이번 문서보다는 훨씬 가벼운 정도로 훑고 지나갈 예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임베디드 시스템 공학자를 지망하는 컴퓨터공학+전자공학 복수전공 학부생입니다. 타인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숙고하고 대응하며 자극과 반응 사이의 간격을 늘리며 스스로 반응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주도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 저의 20대의 목표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