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행에서 원소를 하나씩 고르되, 열이 서로 겹치지 않게 고른다.
기본 곱에 부호를 붙이면 행렬식(Determinent)가 된다.
전도 : 어떤 큰 자연수가 작은 자연수보다 먼저 나타나 있을 때 전도되었다고 말한다.
전도수 : 하나의 순열에서 나타나는 전도의 총 개수를 전도수라고 한다. 결국 인덱스가 얼마나 엉켜있는지를 의미한다.
원래 1 → 2 → 3 순으로 가야하지만 3 → 2 → 1로 되어있는 경우, 전도 수는 3 → 2 (1회), 2 → 1 (1회), 3 → 1 (1회)로 하여 총 3회가 된다. 참고로 숫자는 2개씩 비교한다.
n
차 정방행렬 A에 대해 부호가 붙은 모든 기본 곱들의 합을 A
의 행렬식(Determinent of A)라고 한다. 행렬식은 실수 값이므로, 실수로 대응시키는 함수와 동일하다.
행렬식은 행 또는 열 벡터의 종속(평행, 겹침) 또는 독립을 판단한다. Det(A)
의 값이 0이면 벡터들이 종속이고, 0이 아닌 경우에는 벡터들이 독립한다.
참고로 선형독립일 수록 더 많은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방향으로 많이 뻗어 있기 때문이다.
i
행 j
열을 제거한 부분 행렬을 말한다.여인수의 부호는 i
와 j
의 합이 짝수이면 +
이고, 홀수이면 -
이다.
n
차 정방행렬 A
에 대한 행렬식 Det(A)
는 임의의 i
번째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 또는 임의의 j
번째 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와 같다.
Laplace 소행렬식 전개라고도 하며, 행렬식은 재귀적인 정의 및 계산이라 볼 수 있다.
0이 많은 열 또는 행을 선택하면 행렬식을 더 쉽게 구할 수 있다.
행렬 A
가 2차 또는 3차 정방행렬일 경우, Sarrus 법칙을 적용하여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식으로 정리하면 Det(A) = (aej + bfg + cdh) - (gec + hfa + idb)
로 나타낼 수 있다.
행렬 A
가 삼각행렬 또는 대각행렬이면 A의 행렬식은 주 대각선성분들의 곱과 같다.
n
차 정방행렬 A
와 B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행에 대한 행렬식은 열에 대한 행렬식의 성질로 바꾸어도 항상 성립한다. 그리고 Det(A + B)
은 Det(A) + Det(B)
가 절대 될 수 없다.
정칙행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기본행 연산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가급적이면 행렬식을 구성하는 성분에 0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치환한다. 주의할 점은 행렬식 계산에 적절한 것은 가우스 소거법(축약 사다리꼴)까지만 적용하는 것이다. 기약 사다리꼴은 여러 행 연산을 통해 1과 0 위주로 정리된 형태라 행렬식의 값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행렬의 상수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n × n
행렬이고 b
가 n
차원 벡터인 Ax = b
의 선형방정식의 유일한 해를 구하는 데 적용하는 법칙이다. 해를 구하는 것보다 해의 수학적 성질을 조사하는 목적에 있다.
i
번째 열 벡터 대신 b
라는 열 벡터를 대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