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일 학습한 UI와 UX는 페어시간이 따로 없이 혼자 공부하는 챕터로, 블로깅을 하며 정리하며 숙지하고자 한다.UI와 UX는 모두 사용자에게 보이는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과 관련 있다는 점에서 프론트엔드 개발과 밀접한 관
🔎 UI/UX 사용성 평가 기준을 잘 충족 하면 더 보기좋고 효율적인 UI, 더 좋은 UX를 만들 수 있으며, 서비스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제품 설계 단계에서 더 완성도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
업로드중..🔎 좋은 UX를 만들려면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벌집 모형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고 한다. 아래 모형에서 제시한 UX의 7가지 요소를 다시 정리하며 복습하고자 한다. →유용성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목적에 맞는,
👉🏻 이론적으로만 학습했던Figma를 실제로 Figma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구현해보고 싶던 기능들이 눈에 잘 띄기도 하고, 평소에 사용하고 있던 KREAM 어플을 Figma으로 클론을 해보기로 했다. 완벽하게 클론하려고 하기보다는 몇가지 UI 디자인 패턴들을 구현
최적화 최적화란 일반 ver : 주어진 조건으로 최대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컴퓨터 공학 ver : 가능한 적은 리소스를 소모하면서 가능한 한 빠르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웹 개발 ver :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 최대한 빠르게 화면을 표시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