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vid.M.Burton의 Elementary Number Theory 번역 및 정리 글입니다.
소수를 판별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수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온 문제지만 어렵다. 가장 흔히 쓰고 잘 알려진 방법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문제는 long long
범위의 수의 경우, 의 시간복잡도도 너무 크다는 것이다.
밀러-라빈 소수 판별법은 확률적으로 소수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으로, 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며, long long
범위 정도에 대해서는 결정론적으로도 소수를 판별할 수 있다.
밀러-라빈 소수 판별법에 앞서 페르마의 소정리부터 차근차근 논의를 시작해보자.
페르마의 소정리는 다음과 같다.
페르마의 소정리
가 소수이고 라 하면, 다.
증명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부터 까지 개의 의 배수들을 생각해보자.
이 수들 중 어떤 임의의 두 수를 뽑더라도 법 에 대해 합동인 것은 없다. 를 만족하는 두 정수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것이 있다고 해보자.
가 소수이고 이므로 여야 한다. 즉 이다. 하지만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는 법 에 대해 합동인 수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에서 어떤 임의의 두 수를 뽑더라도 법 에 대해 합동인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렇다면 에 를 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들의 집합은 과도 같게 될 것이다.(둘 모두 미만의 모든 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이므로, 앞의 에서 를 제거한 것과 같이, 에서도 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다.
위의 정리는 아래의 따름정리로 일반화할 수 있다.
따름정리
가 소수이면, 정수 에 대해 이다.
만약 이면, 이므로 당연히 성립한다. 한편 인 경우, 위의 정리에 따라 임을 알고 있고, 이로부터 를 얻을 수 있다. (여기의 Theorem 1.4 - ii)
페르마의 소정리가 가지는 함의는 해당 정리를 통과하지 못하는 모든 정수에 대해 합성수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위 테스트를 통과하는 수들은 어떨까? 어떤 정수가 위 테스트를 통과했다 하더라도 그 수가 정확히 소수인지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소수"일지도 모른다는 결론은 내릴 수 있다. 을 만족하는 정수 을 가리켜, 밑 에 대한 유사소수(pseudoprime)이라 부른다. 유사소수인 합성수는 희박하지만, 무한히 많다.
밑 에 제한을 두면, 이 정확히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데, 예전에 포스팅했던 뤼카의 정리의 에두아르 뤼카가 제시한 다음의 정리가 대표적이다. 해당 정리에 들어가기 전에, 우선 위수(order)와 관련 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위수
이고 일 때, 어떤 정수 가 법 에 대해 의 위수를 가진다는 것은, 가 을 만족하는 최소의 자연수임을 말한다.
정수 가 법 에 대해 위수 를 가진다고 하자.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1
우선 라 하면, 가 되는 정수 가 있다. 이므로 이고, 따라서 이다.
반대로, 가 을 만족하는 임의의 양의 정수라 해보자. 를 만족하는 정수 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라 가정했고, 이므로, 이다. 는 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이고, 이므로 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고, 다.
다음의 정리도 염두에 두자
정리 2(오일러 정리)
이 서로소인 양의 정수일 때,
이다.
은 이하의 양의 정수 중 과 서로소인 것의 개수이며, 이라는 말은 과 서로소인 이하 양의 정수가 개라는 것, 즉 이 소수임을 가리킨다. 위 정리의 증명은 나무위키를 참고하자. 페르마 소정리 증명과 같은 방식으로 증명이 이루어지니 이해하기 쉽다. 또한 위의 정리 1과 함께, 임도 알 수 있다.
뤼카가 제시한 정리는 다음과 같다.
뤼카
을 나누는 모든 소수 에 대해, 이고 인 정수 가 존재하면 은 소수다.
정수 가 법 에 대해 의 위수를 가진다고 하자(존재성 증명은 건너뛰었지만, 모든 정수 에 대해 위수가 존재함은 증명되어 있다). 정리 1에 따라 이면 이다. 어떤 정수 에 대해 라 하자. 만약 이면 는 소수인 약수 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를 만족하는 정수 가 존재해 다음과 같이 된다.
하지만 정리에서 가정하기를 어떤 을 나누는 모든 소수 에 대해 이어야 하므로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는 1이어야 하고, 이다. 정수 의 위수가 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이고, 이다. 즉 은 소수다.
뤼카의 정리는 를 나누는 소수 들 모두에 대해 성립하는 한 정수 를 찾아야 했다. 하지만 보다 발전된 정리에서는 을 나누는 소수 각각에 대해 성립하는 정수 를 찾을 수 있으면 됨을 보인다.
발전된 정리
을 나누는 각 소수 에 대해, 이면서 인 가 존재하면, 은 소수다.
= 이라 하고(각 는 서로 다른 소수), 를 의 법 에 대한 위수라 하자. 앞서 논의된 바에 따라 이다. 라 해보자. 이 경우 가 되는 가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므로 이 된다. 이는 모순이므로 여야 한다. 와 로부터 를 얻을 수 있디.
각 에 대해, 이므로, 위와 함께 임을 알 수 있다. 각 에 대해 이므로 이다. 이므로 은 소수가 된다.
문제는 위의 두 정리를 이용하려면 의 소수성을 검사하기 위해, 을 이루는 소인수가 무엇인지를 미리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의 소인수를 구하는 것이나 의 소인수를 구하는 것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또한 각 소인수를 통해 검사를 진행해야하니 최악의 경우 너무 많은 소인수가 필요해질 수도 있다.
1914년 헨리 포클링턴은 다음의 정리를 제시했다.
포클링턴의 정리
이고 이라 하자. 각 에 대해, 이고 이면 은 소수다.
증명은 생략하고, 이 정리에 따르면 의 모든 소인수를 알 필요 없이, 인수분해된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커질 때까지만 인수분해를 진행하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히 많은 의 인수를 얻어야 한다는 점이다.
위와 같이 페르마의 정리를 이용하면 의 자명하지 않은 인수를 직접 찾지 않고도 큰 홀수 정수 이 합성수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이 아닌 의 인수를 찾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밀러-라빈 소수 판별은 합성수를 직접 테스트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다. 우선 임의의 정수를 선택한다. 이 정수를 통해 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며, 만약에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은 확실히 합성수이고, 테스트를 통과하면 은 소수일 수도 있다.
임의의 양의 홀수 에 대해, 이라 쓸 수 있다(은 홀수). 이제 인 임의의 정수 를 선택하고, 다음의 수열을 만든다(각 항마다 을 해줘야 한다).
정수 은 이거나, 어떤 에 대해 를 만족하면 테스트를 통과한다. 임의의 홀수인 소수는 어떤 밑 에 대해서도 위의 테스트를 통과하며, 따라서 어떤 를 정하든, 아래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그 수는 합성수라 할 수 있다.
정리 3
가 홀수인 소수고, 이라 하자(은 홀수, ). 이때 임의의 정수 는 혹은 어떤 에 대해 를 만족한다.
가 법 에 대해 위수 를 가진다고 하자. 이다. 가 홀수이면, 유클리드의 보조 정리에 의해 이다. 따라서 어떤 정수 에 대해 이고 다음의 결과가 따른다.
이번에는 가 짝수라고 해보자. 이 경우 로 쓸 수 있다(, 는 홀수). 이므로 , 이다. 또한 로부터, 을 얻을 수 있다. 의 위수가 이므로 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다.
이므로, 이제는 어떤 양의 홀수 에 대해 로 쓸 수 있다. 그 결과 다음이 성립하며, 증명이 완료된다.
다만 어떤 정수 이 이 테스트를 한 번 통과했다고 해서 반드시 소수라는 보장이 주어지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자. 예를 들어 의 경우, 이고, 이므로 테스트를 통과한다.
밀러-라빈 소수 판별 코드는 종종 "확률론적 소수 판별법"이라 불린다. 인 개의 정수 를 임의로 고르자. 만약 이 이것들을 이용한 테스트에 한 번이라도 실패한다면, 은 확실히 합성수다. 물론 개의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 하더라도 이 합성수라는 보장은 없고, 이 "아마도 소수"일 것이라는 강한 추측만을 할 수 있다.
합성수가 개의 테스트를 모두 통과할 확률은 최대 정도임이 알려져 있기에, 현대 컴퓨터들은 100개 정도의 테스트를 둬서 이 소수일 확률을 최소 까지 끌어올리곤 한다.
다만 int
나 long long
과 같이 수학적으로는 작은 수들의 경우, 특정 들에 대해서만 검사를 통과하면 결정론적으로 소수를 판별할 수 있음이 알려져있다.
int
범위의 경우 2, 7, 61을 가지고서 테스트를 통과하면 소수이다.long long
범위의 경우 37 이하의 소수를 이용해 테스트를 통과하면 소수이다.아래는 위를 구현한 코드다.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며 long long
끼리 곱하는 함수, 거듭제곱을 위한 함수, , 밀러-밀러 라빈 테스트 및 소수 판정을 위한 함수가 있다. long long
범위 내에서는 잘 동작하는 것 같다. 아마도.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primes[] =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37, 41};//혹시 몰라서 41까지 테스트해보자
/**
* 오버플로우 없이 (p * q) % mod를 구하기 위한 함수
*/
long long mult(long long p, long long q, long long mod){
p %= mod;//일단 나머지 연산을 한다.
q %= mod;
unsigned long long r = 0;
unsigned long long w = p;
while (q){//q의 비트를 보면서, 덧셈을 통해 곱을 만든다.
if (q % 2) r = (r + w) % mod;//0번째 비트가 1인 경우 결과에 더해주고
w = (2 * w) % mod;//다음으로 넣을 수도 있을 값을 계산해준다.
q >>= 1;//다음 비트를 볼 것
}
return (long long)r;
}
/**
* a^m % p를 구하는 함수. 동작 방식은 위의 mult()와 동일하다.
*/
long long pow_mod(long long a, long long m, long long p){
long long ret = 1;
a %= p;
while (m){
if (m % 2) ret = mult(ret, a, p);
a = mult(a, a, p);
m >>= 1;
}
return ret;
}
/**
* 임의의 정수 n에 대한, 밑 a의 밀러-라빈 테스트
*/
bool millerRabin(long long n, long long a){
long long k = n - 1;//k = 2^h * m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h >= 1, m은 홀수다.
while (true) {//a^{2^h * m}에서부터 거꾸로 진행한다.
long long d = pow_mod(a, k, n);//a^k가 통과하나?
if (k % 2) return (d == 1 || d == n - 1);//만약 k가 홀수라면, a^m을 확인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 경우 a^m === 1 (mod n)인지를 확인한다.
if (d == n - 1) return true;//k가 짝수인 경우로, a^k === -1 (mod n)인 경우다.
k >>= 1;//2로 나눠보자
}
}
/**
* 임의의 정수 N에 대한 소수 판별
*/
bool isPrime(long long N){
if (N == 1) return false;
for (int i = 0; i < 13; i++){
if (N == primes[i]) return true;//소수만 들어있는 배열 a의 원소와 같은 경우, 소수다.
if (N % primes[i] == 0) return false;//소수의 배수이므로 합성수다.
if (!millerRabin(N, primes[i])) return false;//밀러-라빈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합성수다.
}
return true;
}
int main(){
long long N;
scanf("%lld", &N);
printf("%s", isPrime(N) ? "Yes" : "No");
}
수학자 꿈나무 박영서군 앞으로도 정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