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스가 존재하는 곳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을 분리시킨 것을 2 - Tier 아키텍쳐, 다른 말로는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라고 부른다."클라이언트" -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서버" - 리소스가 제공하는 곳 클라리언트는 서버에 요청하면 그 이후 서버에서 응답을 해준
우리가 서버에 요청을 할 때 지켜야할 약속이 있다. 그러한 역속을 프로토콜이라 하며 '통신 규약'이라고 한다. "HTTP 메세지"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HTTP라믐 프로토콜을 이 용해서 서로 대화를 나눈다. 우편을 보낼 때 수신자에
프로토콜은 어떤 시스템이 원할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약이다. 다양한 규격과 데이터들을 주고받기 위해서 만들어진 약속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중 오늘 공부할 HTTP 프로토콜은 주로 HTML문서를 주고 받는데에 사용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통해 요청과 응답이
SSR(Server Side Rendering)의 약자이다. 말 자체로 서버에서 렌더링을 한다는 뜻이다.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요청을 할 경우 서버에서 정한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보낸다. 서버가 보낸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이 된
간단히 말하면 서버에 HTTP요청을 하기 위한 도구이다. 웹 개발을 할 때 사용하는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인데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GET이라는 요청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GET요청 이외의 요청을 하려면 개발자 도구에서 fetch를 사용해야 한다.
HTTP메시지는 헤더와 바디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헤더에는 content-Type이나 content-Length같은 데이터 타입, 형식을 보여주고(바디를 해석할 수 있게 해주는 정보를 제공) 바디를 통해서는 데이터가 전달된다.(payload): HTTP 헤더는 HTT
데이터의 일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헤더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에서 사용되는 헤더를 구분해서 살펴보자.from: 유저 에이전트의 이메일 정보가 담겨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검색 엔진에서 주로 사용한다.
Accept: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미디어 타입을 전달한다. Accept-Charset: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문자를 인코딩한다. Accept-Encoding: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압축 인코딩이다.Accept-Language: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자연 언어이다. 이
캐시(데이터나 값을 임시로 복사해 놓는 장소)가 없으면 동일한 요청을 여러번 보냈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같은 데이터를 또 다운 받아야 한다. 이렇게 되면 브라우저의 로딩속도가 느려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캐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접근 시간이나, 값을 다시
캐시이 유효기간을 초과해도 만약 동일한 데이터를 써도 되는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이러한 상황에서 캐시의 검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검증 헤더 (Last Modified)를 통해 캐시의 마지막 수정 시간을 알아보는 것이다. Last Modified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Proxy)라고 하며, 그 중계 기능을 하는 서버를 프록시 서버라고 한다. 클라이언트, 혹은 반대로는 서버가 다른 네트워크에 간접적으로 접속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캐싱을 통한 성능, 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