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6. NFT와 Web3

SungJunEun·2021년 12월 18일
1
post-thumbnail

Web3이란 단어는 ‘crypto’를 대신하여 현재 진행중인 탈중앙화된 기술 움직임을 대변하기에 가장 안성맞춤이다. 왜냐하면,

  • 거부감이 덜하고(암호화폐는 투기를 연상시키지만 web은 우리에게 친숙한 기술처럼 다가온다.)

  • 규제자들에게 덜 무섭고

  • 빠르고, 정확

하기 때문이다.

Web3의 여러 정의

  • 더 민주화된 인터넷으로의 움직임

  • 네트워크 소유자, 참여자, 개발자들의 인센티브를 하나로 통일시키는 네트워크

Web3의 구성요소

  • 디지털 상품: 암호화폐, NFT

  • 금융 시스템: DeFi

  • 기반 시스템: Layer 1

  • 거버넌스: DAO


NFT 101

NFT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검증가능하게 희귀하고, 움직일 수 있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자산이다. 메타버스라는 글로벌, 가상의, 서로 연결된 세상에서 NFT는 기본 단위의 역할을 한다. NFT를 통하여서 우리는 우릭 온라인 상에서 가지고 있는 자산, 평판, 데이터, 신원에 대한 오너쉽과 출처를 증명할 수 있다.

  • 누구도 나의 자산, 신원을 구글, 메타와 같은 대기업이 소유하는 메타버스 세상에서 살고 싶지 않다.
  • 누구도 모두가 똑같이 생기고, 똑같은 옷을 입은 메타버스 세상에서 살고 싶지 않다.

가까운 미래에 꼬맹이들은 물리적 수집품이 아닌 NFT를 소유하고 모으게 될 것이다. (애초에 벌써 어린 친구들은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에서 놀고 있다!)


피지컬 아트

현재 피지컬 아트 시장은 1.7조 달러 시장 규모에 연간 600억달러의 거래량을 지닌 아주 큰 산업이다. 이에 비하여, NFT는 140억달러의 시장 규모로 피지컬 아트 시장의 1%도 안되는 사이즈이다. 이것은 마치 2013년 11월, 비트코인의 시장 규모가 금의 0.1%도 안되던 시절을 떠올린다.

하지만, NFT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NFT 인프라(Genie)에 투자하는 것이 길게 보았을 때는 더 좋은 리턴을 가져올 확률이 높다. 왜냐하면, NFT에 투자하여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좋은 감각을 통하여 1%를 찾아내어야 하지만, 인프라는 그런 운과 감각이 따로 필요없다.


PFP

PFP의 가치는 그들의 초기 커뮤니티와 밈에서 파생된다. 사람들이 PFP를 사는 이유는 그들이 여기에 일찍 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거나, 왜 NFT가 핫한지 이해했다는 것을 보여지기 위해서거나, 단지 쓸 돈이 많거나, 위 3개 전부일 수도 있다.


팬 토큰

팬 토큰을 통하면 팬들은 좋아하는 엔터테이너의 일부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엔터테이너가 성공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토큰의 가치도 오르는 Win and help win의 구조이다. Digital Art와 PFP가 비쥬얼 아티스트를 위한 것이라면, 팬 토큰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Initial Person Offering

팬 토큰을 극단적인 예로 몰고 가면 거기에는 Initial Person Offering이 있다. 말 그대로 내가 나의 미래의 수입의 일부를 토큰으로 분배하는 것을 약속하고 토큰을 발행하는 것이다. Income sharing agreements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ISA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암호화폐를 사용하면, 자기가 직접 자신의 ISA를 만들 수 있다.


P2E 돌풍

같은 날에 벌어진 일들

  • a16z의 Mythical Games에 $ 150M 투자
  • Enjun의 $ 100mm 게이밍 펀드
  • FTX, LightSpeed의 Faraway Games에 $ 21M 투자

기존의 게이밍 스튜디오

기존의 게이밍 스튜디오는 기존의 Web3 게임회사들과의 M&A를 통하여 P2E에 입문할 것이다. 이러한 결정의 이유는 기회주의적 관점이 아닌, 가만히 있다가 당할수 있는 Blockbustered당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NFT의 수익화

기본적으로 NFT는 본디 암호화폐에 비하여 덜 유동적이고, 매우 변동성이 높고, bear market에서는 아예 파는 것이 불가능할수도 있다.

여러 프로젝트들

  • WHALE

    WhaleShark라는 콜렉터가 소유하고 있는 NFT에 backed된 토큰이다.

  • PartyDAO & PleasrDAO

    여러명의 사람들이 파티를 꾸려서 NFT에 비딩할 수 있도록 하는 DAO

  • Fractional.art

    NFT를 vault에 맡긴 다음, 이걸 ERC-20 토큰으로 쪼갠다.


Metaverse & Meta

Meta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product line(Oculus, Whatsapp, Messanger)을 이용하여서 메타버스에서의 새로운 수익모델이나 유저-인센티브를 실험해볼 수 있다. 또한 연간 100억 달러를 메타버스에 투자함을 통하여서, 작은 규모의 회사가 접근하기 힘든 하드웨어,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바일 처리량에 대한 기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메타가 어떤 마음, 혹은 마인드로 메타버스라는 것에 접근하느냐에 따라서 메타에 대한 이미지는 변할 수 있다.


Namespace & Data Sharing

Non-fungible Identity의 두가지 building block은 분산화된 이름 서비스, 그리고 개인적인 데이터를 수익화할 수 있는 데이터 마켓플레이스이다.

Namespace

Handshake나 ENS와 같은 서비스들은 월렛주소를 알기 쉽고, 쓰기 쉽게 만들어서 상호운용성과 접근성을 높혔다. 마치 웹 도메인이 IP 주소를 더 쓰기 쉽게 만든 것처럼 말이다.

Data Market Place

명확한 신원이 확인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데이터를 추출하여서 수익화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1% 미만의 데이터가 실제로 사용되는데 반하여서, 데이터 분석 시장의 규모는 1000억 달러 가까이 늘어났다.

Ocean protocol

Ocena protocol은 데이터 패킷을 팔고, 이에 대한 수익을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DeSo

Web 3 소셜 미디어는 PFP, .eth 도메인가 합쳐졌을 때 시너지가 나온다. 현재는 Deso, BlueSky, gm.xyz같은 Web3 소셜미디어 솔루션들이 존재한다.


분산화 저장 솔루션

이때까지 우리가 언급한 블록체인 산업의 성장은 사실 하드웨어의 분산화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

IPFS는 아무 노드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분산화 시스템이다. IPFS에서 노드들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네트워크를 만든 것이 파일코인이다.

Arweave와 Sia는 이에 대한 무서운 경쟁자들이다. Arweave는 영구적인 데이터 보관 솔루션을 제공하고, Sia는 파일코인과 흡사한 솔루션인 것 같다. NFT가 급부상하면서, NFT를 저장할 수 있는 영구적 스토리지로 Arweave와 Koi나 Kyve같은 Arweave 어플리케이션이 주목받았다. 이 외에도 분산화 스토리지 Aggregator인 Filebase와 Pinata가 있다.



네트워크 확장 솔루션

진정으로 분산화된 인터넷은 허가가 필요없고, 검열에서 자유로운 하드웨어 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

Helium은 글로벌 무선 핫스팟 네트워크로, Web3 분야의 강자이다. Akash는 분산화된 클라우드에 개발자들이 자신의 앱을 deploy할 수 있게 하는 AWS 역할을 해준다. Andrena나 Althea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역할을 커뮤니니티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해준다. Livepeer는 비디오 변환 프로토콜이다.

profile
블록체인 개발자(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