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F 회고법
- 사실(Fact): 일어난 일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
- 느낌(Feeling): 상황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
- 교훈(Finding):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었던 것
- 향후 행동(Future action): 향후 할 수 있는 개선된 행동
이번 주는 여러모로 의미 있는 주이다.
- 2024년 새해가 밝았다.
- 유데미 캠프를 진행한지 어느덧 4주차가 되었다.
- 처음으로 SQL과 Java를 배운다.
- 면접 일정
- 스터디 시작
나열해놓고 보니 정말 일이 많았다 😇
덕분에 새해에 무언가 고민할 새도 없이, 2024년을 시작하였다.
2023년을 마지막으로 고마운 사람들에게 새해 연락을 보내고, 지난 한해를 돌아보니 아쉬운 점도 분명 있지만, 나름 "열심히 했다."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PT 발표가 있어 자료를 만들며 지금까지의 Study Time-line을 그려 보았는데, FE 개발자가 되어야겠다!
라고 마음 먹은 2022년 9월부터 정말 열심히 달려 왔다.
뿌듯한 마음과 좀 더 시간을 똑똑하게 보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앞으로 유데미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시간들도 나의 타임라인 속에 크게 성장한 기록
으로 남기고 싶다 :)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기술 PT를 준비하였다. 준비했던 자료 중 일부를 첨부했다.
시간이 넉넉치 않아 기존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리팩토링을 못한 채 발표했어야 해서 그 부분은 아쉽지만, 그래도 짧은 시간 내에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고 생각한다.
PT | 자료 |
---|---|
![]() | ![]() |
![]() | ![]() |
![]() | ![]() |
그리고 꼭꼭꼭!!!! 미루지 말고 리팩토링하자 🔥🔥🔥🔥
👉 지금까지의 TIL이 궁금하다면?
☁️ 1주차
- [20231213 TIL] - HTML/CSS 기초
- [20231214 TIL] - HTML 스켈레톤과 CSS
- [20231215 TIL] - Web의 동작 방식과 Compile/Build/Deploy에 대해
☁️ 2주차
- [20231218 TIL] - Git & Github과 CSS Flexbox
- [20231219 TIL] CSS 선택자 / Grid
- [20231220 TIL] 미디어 쿼리와 CSS 단위(px, %, em, rem, vw, vh)
- [20231221 TIL] CSS selector/CSS transition/SVG/Form 요소
- [20231222 TIL] 브라우저 렌더링 / HTML script 비동기 호출 / JavaScript Data Type
☁️ 3주차
- [20231226 TIL] DOM / DOM Tree / DOM Node / DOM Drilling / DOM API
- [20231227 TIL] DOM Event / target vs CurrentTarget
- [20231228 TIL] ReactJS Build /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 선언형과 명령형 프로그래밍
- [20231229 TIL] SQL과 SQL연산자
☁️ 4주차
이번 주 날씨는 유난히 좋았다. 그래서 남은 점심시간을 활용해 목요일과 금요일, 청계천 산책을 했다.
산책을 하며 오리를 봤는데 귀여워서 괜히 기분이 좋았다 🦆
그리고 근처 직작인들로 보이는 사람들과 함께 서울의 중심에서 산책을 하니 사람들에게 얻는 에너지도 좋았다.⚡️
더불어 매일 오후면 찾아오던 식곤증도 사라졌다.
금요일에는 오랜만에 라디오를 들으며 걷다가 생각보다 멀리 가버린 탓에 시간 내 돌아오느라 땀을 뻘뻘 빼기도 했다는 후담도... 💦
이번 주엔 백엔드 과정으로, DB / SQL / Java 기초를 배웠다.
처음으로 배우는 거라 어렵기도 하고 전체적인 개념 잡기가 어려웠는데, 똑똑한 동기들이 모르는 개념들에 대해 찰떡같이 설명을 해준 덕에 현재는 잘 헤쳐나가고 있다. 🛳️
그리고 생각보다 재밌었다 !!!
평소 정리하는 것을 좋아해서 그런지, DB 속에 정보를 정리하고 가져오는 작업이 꽤나 흥미로웠다. (이래서 적성과 흥미가 중요한갑다.)
그리고 팀 스터디 시간을 통해 좀 더 DB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 SQL과 NoSQL의 정의와 차이점
- RDBMS와 NoSQL 각각 장단점과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
- SQL과 NoSQL의 문법 차이
- NoSQL의 종류
4개의 주제를 선정해 각자 공부를 해온 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SQL과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NoSQL를 큰 틀로 잡아 각각의 정의와 장/단점, 차이점, 문법 차이 그리고 종류까지 알아보았다.
SQL에 익숙하지 않은 덕에 백엔드 동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지만, 이번 시간으로 DB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던 시간이였다 😊
전체적인 질문을 모아 멘토님께 질문을 드리고 받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변형되어, 이번주부터 포트폴리오에 관련된 개인별 포트폴리오
시간을 갖기로 했다.
앞서 2번의 포트폴리오를 만든 경험이 있지만, 항상 더 잘 만들고 싶다!!!라는 욕심과, 무엇을 더 보충하면 좋을까?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었다.
개인별 포트폴리오 멘토링
이라는 어마어마한 시간이 주어진 이상, 이 시간을 아주 값지게 사용하고 싶다. 💵
그래서 다음 주 포트폴리오 관련 To-do는 다음과 같다.
❏ 포트폴리오 레이아웃 구성하기
❏ 프로젝트 별 강조할 항목 재정비하기
❏ 멘토님께 질문할 질문지 List-up 하기
❏ 프로젝트 리팩토링 일정 정리
❏ 현재 프로젝트 API 기능 구현
한 주 만에 하긴 벅찬 리스트이긴 하지만, 앞으로 차근차근 해내어 과정이 끝났을 땐, 흠잡을 곳 없는 더 없이 멋진,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자 ✨
금주부터 일정 후 스터디를 진행하기로 했다. 월/수는 FE 스터디를, 화/목은 BE 스터디를 듣는다.
2월 후반부터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약 7주 정도 밖에 안되는 일정이라 한 회차마다 최대한 양질의 주제를 다루려다 보니 일정이 꽤 빡빡하다.
그래도 그만큼 얻고 배우는 것도 많다는 뜻이니 + 평소 어려워하던 발표실력도 늘릴 수 있는 기회 !!!
이 기회를 잘 사용해서 성장하는 시간으로 갖자 🙌
본 후기는 유데미 취업부트캠프 프론트엔드&백엔드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