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스 코드 회원가입.html 회원가입.js
^ -> 문자열 시작$ -> 문자열 끝\- -> 범위\[] -> 문자 집합\[a-z] -> 소문자 a부터 소문자 z까지의 알파벳 사용 가능\[A-Z] -> 대문자 A부터 대문자 Z까지의 알파벳 사용 가능\[abc] -> 소문자 알파벳 a, b, c 중에서만 사용 가능\
JSP 내장 객체 request ⭐⭐⭐ 사용자 요청과 관련된 정보 처리 다음 페이지까지만 데이터 전송 가능 response session ⭐⭐⭐ 클라이언트와의 지속적인 연결 유지를 위한 세션 처리 로그인 같은 기능에 사용 session 관련 메소드 applic

attribute1 파일과 attribute2 파일을 살펴보자. attribute1 파일에서 username 과 userId를 input type="text"를 통해서 입력받아, name=" " 을 통해서 저장했다. 만약, request scope 말고, sessio
membershipBean.java -> 데이터 클래스 membership.jsp -> jsp 뷰 화면 membership2.jsp -> jsp 뷰 화면 2

로그인용 DB설계커넥션풀 : DB 연동을 소스 코드 파일에 하드코딩 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정리해서 context.xml 파일에 따로 보관하는 방법이다.
모델 1 방식은 jsp 페이지에서 화면을 보여주고, 요청을 하게 되면 jsp 페이지에서 직접 model에 접근하여 처리를 한다. ex) LoginPage.jsp, LoginProcess.jsp디자인 부분과 DB 부분을 분리해서 구현. Model : DB와 연동View
JSP로 웹뷰페이지를 띄우려는데 한글이 이상하게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2가지 방법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jsp 파일마다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jsp 파일의 맨 위에 아래 코드를 넣어주면 된다. 하지만 해당 jsp 뷰페이지만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
Spring : 자바 플랫폼을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오픈 소스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한국 개발 시장에서 회사에서 웹을 다루는데 자바 기반이다? => 거의 대부분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 중이다라고 보면 된다. 스프링 사용 목적 : 동

a
다른 클래스의 메소드나 필드를 사용할 때, 그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여 내부 필드와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다. 문제는 여러 곳(여러 외부)에서 해당 클래스의 필드와 메소드가 필요하다면 매번 객체를 생성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스프링 웹 프레임워크에서는 이를 해결해주기

기능 구현 부분에 핵심 기능 코드 와 공통 기능 코드를 분류시켜 만드는 방식.여기서 공통 기능이란 자주 사용하는 코드들을 따로 빼서 모아놓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핵심 기능을 실행할 때, 특정 시기(실행 전/실행 후/실행 전후 등)에 공통 기능을 실행해주는 것을 말한다
Human.javaMainClass.javaapplicationCTX.xmlLogAop.java

사용자의 요청이 발생하면, 컨트롤러는 그 내용에 맞게 데이터값과 이동할 페이지를 알려주어야 한다. 이때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Model 방식, 또 하나는 ModelAndView 방식이다. Model 방식에서는 값만 Model에 저장하여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