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공부 용으로 오늘은 jwt에 대해 공부했다. 아래는 내가 jwt를 공부하면서 기존의 인증,인가 방식은 session과 비교해서 정리한 내용이므로 참고하길 바랍니당~JWT 사용하기 이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인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session
현재 내가 프로젝트 iot 시스템을 구현 중인데 이 프로젝트에서 mqtt 통신이 핵심이 돼 내가 공부할 겸 mqtt 프로토콜에 대해서 이해한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봤다...!M2M(Machine-to-Machine)를 기반으로 하는 IoT(사물 인터넷) 개방형 프로토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사용하는 용어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Network Address인 IP를 변환!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42 minitalk 과제를 진행하기 앞서 시그널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거 같아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겠다!!시그널은 유닉스 환경에서 30년 동안 사용된 전통적인 기법 중 하나로 프로세스에 어떤 event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간단한 메세지를 비동기적으로 보내는
먼저 thread 개념을 알기 전에 os에서 프로세스의 개념 먼저 살펴보자.프로세스는 몇 가지 문장으로 쉽게 표현이 가능하다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는 상태프로그램이 실행돼 메모리에 올라간 상태단순히 위에 예시로 표현하기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지금부터
<process.c><thread.c>왼쪽 그림이 프로세스 프로그램의 결과, 오른쪽 그림이 thread 프로그램의 결과이다. 프로세스 프로그래음 fork를 통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든 상황이고, 쓰레드 프로그램은 pthread_create 를 통해 thread
백준 1354, 숨바꼭질 3 문제를 해결하다가 처음 접해본 BFS이다.최단 경로를 해결하는 문제는 주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다익스트라의 시간 복잡도는 O(ElogE) 또는 (ElogV)인 반면에 0-1 BFS의 시간 복잡도는 O(V+E)
https://www.acmicpc.net/problem/1520백준 골드 3 수준의 문제로 (0, 0) 위치에서 출발해 (N - 1, M - 1) 위치까지 이동하는 모든 경로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다.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조건이 붙는다.한 칸에서 인접한 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