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1:34:00 ~ 끝)

학습내용

Inline & Block

Innline 과 Block 은 중요하다고 여러번 말씀
위의 코드 결과로만 보면 Inline은 한 줄로 나오고 Block은 엔터키 입력했을 때처럼 줄이 바꿔져 나옴

나중에 배울 내용이지만 style 에서 이렇게 입력을 해주면 차이를 더 눈에 띄게 알 수 있다.

Block의 경우 Inline과 달리 공간이 크게 생기고 상하대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Inline 한 줄로, 공간 만들 수 x, 상하 대치 작업 x
Block 줄바꿈 현상, 공간 만들 수 o, 상하 대치 작업 o

사이트 참고해서 도면 설계

  1. 카카오톡 친구목록

카카오톡 친구목록 만들기

ul과 li 태그를 사용하고 div로 나눠서 배치

그리고 프로필을 설정하는 곳은
이름의 윗부분에 img태그를 넣어주면 된다.

아래의 사진은
친구목록의 하단 메뉴 만드는 것
마찬가지로 ul과 li태그를 사용하고
각 메뉴는 a태그를 넣어준다.

  1. 뉴스(Daum, Naver)


  1. helbak 하단

  2. agency

어려웠던 점

ul, li 태그를 사용할 때와 span 태그 사용할 때의 차이점을 알지 못했다.

해결방법

질의응답을 참고하여 알게 되었다.
큰 차이는 없지만 ul, li 태그는 리스트를 명시적으로 구현하고 시맨틱 요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좋은 구현방법이기도 하다는 것을 보고 시맨틱요소에 대해 찾아보았다.

학습소감

AI 스쿨 교육을 듣기 전 자바를 독학할 때도 느낀거지만 웹 또한 처음부터 모든 것을 설계하고 만들어 나가는 부분이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강의 초반부라서 그런지 java를 할 때보다 비교적 간단해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다.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