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차함수
고차함수란?
인자값으로 함수를 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함수 안에서 다른 함수를 원하는 시점에 마음대로 호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고차함수 속의 콜백함수
인자값에 들어가있는 함수
인자로 전달되는 시점에는 함수가 호출되지 않고, 고차함수 내부에서 필요한 순간에 호출 된다
ex) setTimeout( )
고차함수의 종류
1. forEach( currentValue, index, array )
currentValue = 현재요소
index = 현재요소의 인덱스
array = forEach()를 호출한 배열
- 매개변수를 0~3개 가져올 수 있다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콜백함수를 한 번씩 실행
- break나 continue는 적용불가(무조건 배열을 한번씩 순회하기 때문에)
(break나 countinue를 사용하고 싶다면 for문으로!)
2. find( )
- 배열의 각 요소를 돌면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을 찾으면, 그 첫번째 값만 반환한다
3. findIndex( )
- 배열의 각 요소를 돌면서 조건에 만족하는 값을 찾으면, 그 첫 번째 값의 인덱스만 반환한다
4. some( )
- 배열을 돌면서 각각 아이템들이 조건을 부분적으로 만족하는지 확인
- 조건이 만족하면 => true /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 false
5. every( )
- 배열을 돌면서 각각 아이템들이 조건을 전부 만족하는지 확인
- 전부 만족하면 => true / 하나라도 다르면 => false
6. filter( )
- 배열을 돌면서 조건에 맞는 모든 아이템들을 새로운 배열로 생성하여 반환
7. map( currentValue, index )
currentValue = 현재요소
index = 현재요소의 인덱스
- 매개변수를 0~2개 가져올 수 있다
- 배열을 돌면서 각각 아이템에 콜백함수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모아 새로운 배열을 반환
새싹DT 기업연계형 프론트엔드 실무 프로젝트 과정 4주차 블로그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