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이란? > 여러 개의 원소들을 연속적으로 저장하여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다루는 데이터 구조 * 작성방식* 대괄호를 만들고 그 안에 값을 입력한다 값이 여러개일 경우 쉼표로 구분한다 배열 안에는 숫자, 문자열, 배열 모두 들어갈 수 있다 1. 배열의 값에 접근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의 이름으로, 선언하는 방식에는 총 3가지가 키워드가 있다. var, let, const 이 3가지 선언 키워드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 var JS 초기에 사용했던 변수 선언 방식 변수 선언 전에 사용 가능 변수 선언 시 초기
객체란? 객체는 자신만의 고유한 구성 속성을 가진다 하나의 아이템 속에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때 주로 사용한다 여러 개의 프로퍼티(property)와 메소드로 구성 → 프로퍼티 : 객체의 고유한 속성 → 메소드 : 함수 배열과 객체의 차이 배열 원소에 접근
인자값으로 함수를 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함수 안에서 다른 함수를 원하는 시점에 마음대로 호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인자값에 들어가있는 함수인자로 전달되는 시점에는 함수가 호출되지 않고, 고차함수 내부에서 필요한 순간에 호출 된다 ex) setTimeout(
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② 서버에서 응답이 올 때까지 대기③ 응답이 오면 다음 작업 실행장점 : 설계가 간단하고 직관적단점 :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까지 대기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② 서버에서 데이터를 처리③ 응답이 오기 전까지 클라이언
fetch API 요청과 응답 등의 요소를 자바스크립트에서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의 리소스를 쉽게 비동기적으로 가져 올 수 있다 fetch( ) 메서드 fetch는 비동기적으로 실행한다 fetch( resource, options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HTTP 통신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포맷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 가능표기 방식 : 키와 값으로 구성(객체와 유사)키는 반드시 문자열로 작성해야한다객체 or 배열을 JSON 형태의 문자열로 변환서버로 객체를 전송하려면 객체를 문자열화 해야
Promise란?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 처리를 하기 위한 객체 비동기 작업이 맞이할 미래의 완료 또는 실패와 그 결과 값을 나타낸다 Promise를 사용하는 이유 callback 패턴으로도 비동기 처리를 할 수 있는데 왜 굳이 promise를 사용할까🤔? 그 이
면접에서 유난히 많이 나왔던 질문인 동기와 비동기 대답을 하긴 했지만 얼레벌레.. 확실한 개념은 모르고 있는 것 같아서 정리해본다 동기 우선 자바스크립트는 싱그스레드의 동기식 언어이다 스레드는 프로그램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단일 프로세스인데 각 스레
1. this란? this 는 자신이 속한 객체를 나타내는 자기 참조 변수로,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생성되는데 코드 어디에서나 참조가 가능한 키워드이다 this 의 값은 함수가 호출될때 호출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콘솔에서 this를 입력해보면 브
면접관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나 : '..... 죄송하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면접에서 가장 당황했던 질문이었다😂
ES6에서 도입된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방법으로(기존에는 생성자 함수 사용)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이다 (≒ 붕어빵틀)객체지향이 뭔데?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끼리 객체로 구성해나가면서 객체들이 서로 호환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JS] 객체지향프로그래
범위, 영역을 뜻한다변수를 참조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유효한 범위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의 이름)가 유효한 범위라고도 볼 수 있다선언된 위치에 따라 유효 범위가 결정되는데블럭으로 결정된다블럭 안의 변수는 블럭 안에서만 유효하다블럭 : {}, if(){}, for()
얕은복사와 깊은복사를 알아보기 전에 원시값과 객체에 대해 살펴보자 원시값과 객체 원시값 원시값이란 변경 불가능한 불변의 값이다 String / Number / undefined / Boolean / Symbol / BigInt undefined이나 100은 원시
함수와 함수 외부에 있는 변수와의 관계함수가 생성될 당시의 외부 변수를 기억하고함수가 생성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접근이 가능하다예시 )inner 함수 내부에서 변수 a, b, d 가 필요하다먼저 위 코드를 보고 각각의 스코프를 구분해보았다그리고 각각의 스코프에 어떤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