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스터디 ) 닫기와 뒤로가기, 어떻게 다를까? ⎯ 헤이딜러 UX 스터디
[ 참고 문헌 ] Medium, 닫기와 뒤로가기, 어떻게 다를까? ⎯ 헤이딜러 UX 스터디, 2024.3.14 참고
개요
-
뒤로가기의 종류
- 하이어라키 백 / 히스토리 백
- 개념적으로 판이하게 달라 함께 쓸 순 없음
-
케이스 스터디 1 ) 쿠팡
- 뒤로가기를 히스토리 백으로 일괄 처리하였음
- 계층 이동을 원할 경우,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불편 발생하기도 함
- 케이스 스터디 2 ) 카카오뷰
- 히스토리 백과 하이어라키 백을 동시에 노출시킴
- 무한 뒤로가기 사태를 예방하기 위함이나 올바른 방식 ( X )
![](https://velog.velcdn.com/images/jbee/post/13ac7654-9d28-4b60-af0d-1520332d362a/image.png)
-
닫기 개념의 본질
- 닫기는 모달 속성에서처럼 행위를 중단시킬 때 쓰일 수 있음
- 다른 맥락의 작업 수행하기에, 그것을 관두겠다는 행위 성립 ( O )
- 뒤로가기 개념이 모달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건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케이스 스터디 통한 생각할거리 도출
- 개념적으로 뒤로가기와 닫기의 공존 ( X )
- 사용자에게 필요한 뒤로가기의 종류는 상황 따라 다름
- 일관성 지켜낼 기준은 무엇이냐는 물음 던질 수 있음
결론
-
합당한 기준의 설정이 필요함
- 위계 파악 거쳐 적절한 것을 택 1
- 맥락 동일 / 상이 여부의 파악 뜻함
- 보고 있던 페이지와 동일한 맥락 > 히스토리 백 뒤로가기 > 맥락 되돌리기
![](https://velog.velcdn.com/images/jbee/post/ae3aca1a-0d43-46a3-b0b6-d3cc4b4cb402/image.png)
- 보고 있던 페이지와는 다른 맥락 > 닫기로 나타낸 하이어라키 > 맥락 되돌리기
![](https://velog.velcdn.com/images/jbee/post/a452139e-5095-40f3-b37d-dd8dc76c7cb7/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