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채용시장 현황 및 트렌드에 대한 리서치

김바덕·2024년 4월 18일
0

UXUI

목록 보기
2/41
post-thumbnail

💻 20240418 진행 내용

1. 채용 시장 및 현 트렌드 리서치를 통해 잡플래닛 선정 이유 도출 
2. 개선 목표 수립 (EX. 서비스 이용률 향상 )

🐻 결과물

👻 진행 과정

어제 UT를 진행한 후, 채용시장 및 현재 트렌드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보기로 했다. 우리는 어제 'AI 매칭' 이라는 핵심 아이템은 그대로 두고,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생각해보자 라고 했었다.

하지만 오늘 회의에서는 AI 매칭이라는 목적 자체가 컬쳐핏을 알아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인거고, 결국은 AI 매칭이라는 아이템 자체를 어떻게 녹일지가 애매한 것 같다 라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지금은 이 아이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보는게 아니라, 포괄적으로 현재 트렌트인 '조직문화 적합성'에 집중해서 구직자들은 조직문화 적합성을 어떻게 생각하고, 인사 담당자는 어떻게 생각하고 맞추려고 하는지를 우선 리서치 해보기로 하였다.

더 나은 프로젝트를 위해 서로 열심히 토론하면서 의견을 나누었고, 의견이 갈리는 상황도 생겼다. 짧은 논의를 했던 이 과정에서도 서로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서 더 배울 수 있었다.

채용 시장 리서치

리서치를 통해 현재 20대, 30대가 기업 리뷰 확인을 위해 잡플래닛을 크게 선호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물론 트렌드 지수는 낮지만, 타 사이트와 비교해서 2030세대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다.

또한 표면적인 퇴사 사유가 아닌, 실질적인 퇴사 사유는 바로 '나쁜 조직문화' 라는 것을 알아냈다.

2030세대가 이직, 퇴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나쁜 조직문화이기 때문에, 기업 문화와 리뷰를 확인할 수 있는 잡플래닛의 2030 선호도가 높은것 이라는 인사이트를 도출했다.

잡플래닛 선정 이유 논의하기

잡플래닛 선정 이유에 대해 논의를 하다가, 뭔가 리뷰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강해서, 채용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약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는 부분이 잘 연결이 되지 않는 것 같아서 5 WHYS 방법론으로 꼬리를 물고 늘어지다가 색다른 방향의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

잡플래닛 선정 이유 
: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현재, 2030세대는 이직 시 조직문화 적합성 확인이 용이한 잡플래닛을 주로 활용한다.

하지만 리뷰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채용에 대한 인식이 약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고 싶다.

내가 진행한 5 WHYS 과정

Q. 조직문화 적합성 확인은 블라인드라는 사이트에서도 할 수 있는데, 왜 잡플래닛을 골랐는가 ?
➡️ 잡플래닛의 이용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잡플래닛을 선정했다.

Q. 블라인드의 이용률은 떨어지지 않았는지 ? 떨어졌다면, 왜 잡플래닛을 고른건지 ?

Q. 잡플래닛의 이용률이 떨어진것과 채용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는 것 사이엔 무슨 관련이 있는지 ?
➡️ 리뷰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지고, 리뷰를 통해 조직문화 적합성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유저의 인터뷰가 있었다.

Q. 리뷰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져서 이용률이 떨어졌다면, 리뷰 관련 개선을 하는게 맞다고 보는데 왜 채용 사이트에 대한 인식을 높이자 라는 목표를 세운건지 ?
➡️ 여기서 막혀서 채용서비스 인식 개선이라는 목표를 서비스 이용률 상승으로 변경하게 됨

Q. 커뮤니티 활성화는 딱히 잡플래닛 서비스 수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은데, 오히려 기업 채용 광고를 통한 수익이 더 크지 않나 ?
➡️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서 트래픽을 상승시켜 수익화를 개선하고,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률을 증가시킬 것이다. 👊

생략된 부분도 많은데, 이렇게 계속 꼬리를 물고 늘어지다가
우리 개선 목표를 '채용 서비스에 대한 인식 향상' 에서 '커뮤니티화를 통해 서비스 이용률 증가' 로 바꾸게 되었다.

내일 계획

이에 내일은 커뮤니티 서비스, 멘토링(커피챗 서비스) 관련 벤치마킹을 위해 리서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profile
UXUI Design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