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앱 디자인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김바덕·2024년 6월 30일
0

UXUI

목록 보기
38/41
post-thumbnail

이 글은 디자인베이스_앱 디자인 레이아웃과 디자인 시스템 의 영상을 개인적으로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앱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레이아웃

1단 레이아웃

  •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며 탐색하는 형식에 주로 사용
  • 이미지나 영상 콘텐츠가 강조되는 특징
  • 가로로 넓어서 텍스트 정보도 많이 담을 수 있음 \

2단 레이아웃

  • 1단 레이아웃에 비해 화면에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장점
  • 가로폭이 좁아 텍스트를 많이 담기는 어려움

3단 레이아웃

  • 주로 프로필, 앨범, 표지등을 보여줄 때 사용
  • 이미지 중심 콘텐츠를 나열해야 하는 경우에도 사용함
  • 작은 화면을 3단으로 줄였기 때문에 하나의 폭이 굉장히 좁음 ➡️ 텍스트 정보를 담기 매우 어려운 것이 단점
  • 그래서 주된 정보가 텍스트 보단 이미지일때 적합한 레이아웃

그리드 시스템에 맞게 레이아웃을 구성해야 하는 이유?

  1. 시각적으로 일관된 배치
  2. 작업 시간 단축
  3. 예측 가능한 화면 구성 : 사람은 익숙한 것을 보면 어떻게 동작하는지 따로 배울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음

그리드 시스템 구성 요소

1. Column : 화면을 몇단으로 쪼개는지

  • 모바일에서는 주로 4단 or 6단을 사용함
  • 기본은 4단으로 추천, 조금 더 다양한 레이아웃을 사용하고 싶다면 6단을 추천
  • 고정된 값이 아닌, 스크린 너비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변하는 값

2. Gutter

  • 단과 단 사이의 간격
  • 고정값, 권장값은 주로 16

Margin : 콘텐츠 영역을 제외한 좌우 여백

  • Android : 16 사용 (유튜브, GMail 등..)
  • 그 외에 네이버, 인스타그램 등도 마진 16을 사용함
  • 16,20,24 정도 사용함

어떤 해상도에서든 컬럼 수, 거터, 마진은 유지

그리드시스템을 활용해서 레이아웃을 구성해야 한다

마진, 거터 등 그리드시스템을 지키지 않고 디자인을 할 경우 시각적인 통일성, 개발쪽에서 문제가 발생함


좁은 화면의 단점을 해결하는 레이아웃

가로 스크롤


우선순위를 고려해서 레이아웃을 제작해야 한다.
앱의 사용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앱의 핵심 기능을 건드릴때는 신중해야 한다.

profile
UXUI Design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