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Polynomial functions, roots and reducibility

JUHONGYEE·2022년 4월 20일
0
post-thumbnail

서론

Ring에는 무한히 많은 다항식, 즉 polynomial들이 있습니다. 이 친구들을 어떻게 우리는 인수분해, 즉 factorization할 수 있을까요?

고등학교 때 알던 내용을 가져옵시다! 이름하야 나머지정리와 인수정리!(Remainder thm, Factor thm)

Polynomial functions

먼저 우리는 지금까지 polynomial들을 다루었는데 이 친구들을 함수, 즉 function으로 여겨봅시다. 그러면 우리가 f(x)라고 여기던 polynomial들이 f:R->R, 즉 ring의 원소를 넣어서 ring의 원소를 return하는 함수가 됩니다.(ring은 쉽게 말해 실수, 정수 이런거 생각하시면 됩니다.)

2x+1 이렇게만 쓰면 다항식이고, y = 2x+1 = f(x) 이렇게 쓰면 함수겠죠. 이 때 식에 3을 넣어봅시다. 그러면 7을 return하죠? 이렇게 실수에 실수를 return 하는 함수가 됩니다.

root

r in R is called root if f(r) = 0

만약 위의 polynomial function의 값이 0이 되게 하는 r은 root라고 부르기로 합시다. 우리가 지금까지 잘 써오던 '근' 혹은 '해'입니다.

Thm4.15 Remainder theorem

이제 우리가 고등학교 1학년 때 배운 나머지 정리를 적용해봅시다.
앞에서 정의한 division algorithm을 사용할건데 여기서 말하는 ring은 모두 Field입니다!

Let f(x),a be in F[x]. Then the remainder when f(x) is divided by x-a is f(a).

먼저 직관으로 이해합시다. f(x)를 (x-a)로 나누면 나머지 r(x)가 남을텐데요. r(x)의 degree(차수)는 x-a의 degree보다 작거나 r(x) = 0이기 때문에 r(x)는 constant입니다. 식을 다시 적어보면 f(x) = (x-a)g(x) + r(x)일 것이고. 양변에 a를 대입하면 f(a) = r(a). 깔끔합니다.

증명도 그냥 이 말을 되풀이 한 것에 불과하니 생략하겠습니다.

Thm4.16 Factor thm

f(a)=0 <=> (x-a)|f(x)

앞서 본 Thm4.15에서 r(x) = 0인 경우입니다. r(x)가 0이면 자연스럽게 f(x) = (x-a)g(x)꼴로 써진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너무 쉽네요.

Cor 4.17 n차 방정식의 해는 많아봤자 n개다

Let deg(f(x)) = n. Then f(x) has at most n roots in F.

다들 살면서 한 번쯤 들어봤고 무언가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온 정리입니다. n차 방정식의 해는 최대 n개. 한 번 확인해볼까요?

proof sketch) f(x)의 root가 k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4.16 factor thm에 의해 (x-ai)|f(x) (i=1,2,...,k)가 성립합니다. f(x)의 해가 2,3,4 일 때 x-2도 x-3도 x-4도 f(x)를 나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f(x) = (x-a1)(x-a2)...(x-ak)g(x)로 쓸 수가 있는데 f(x)의 degree는 n이고 (x-a1)....(x-ak)의 degree는 k입니다. 즉, g(x)의 degree는 n-k겠군요.(field이므로) 좌변과 우변의 degree는 같아야하기 때문에 k는 커봤자 n일 수 밖에 없겠습니다.
결론 : n>=k, 근은 많아봤자 n개 존재한다.

cor 4.18 2차 이상의 다항식이 irreducible이면 근이 없다.

자, 이제 다시 대학교의 수준으로 돌아옵시다.
다음으로 볼 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Let deg(f(x))>=2, Then f(x) is irreducible => f(x) has no roots in F.

irreducible이란 f(x)의 약수가 unit과 associate 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associate는 적절히 unit을 곱해서 f(x)로 바꿀 수 있는 수를 의미합니다.

proof sketch)
대우를 증명합시다. f(x)가 root를 가지고 있다면 f(x)는 reducible이다.
f(x)가 root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f(x) = (x-a)g(x) 꼴로 써짐을 의미합니다. 즉 (x-a)는 unit이 아니고 g(x)의 degree도 f(x)보다 작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associate도 아닙니다.(associate라면 degree가 같습니다.) 즉, irreducible은 모든 divisor가 unit이거나 associate여야 하는데 그들이 아닌 (x-a)와 g(x)가 존재하므로 reducible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cor 4.19 2차하고 3차 다항식은 근이 없으면 irreducible이다.

Suppose deg(f(x)) = 2 or 3. Then f(x) is irreducible <=> f(x) has no roots in F.

cor4.18과 다르게 여기선 양방향(if and only if)입니다. 2차 3차일 때는 근이 없으면 irreducible도 성립합니다.

proof sketch)
(=>) cor4.18에서 증명했습니다.
(<=)
자, f(x)에 근이 없다고 가정합시다. 그렇다면 f(x) = g(x)h(x) 꼴로 쓸 수 있는데 g(x)와 h(x)의 degree는 1이 아닙니다.(근이 아니므로 1차가 될 수 없음.) 이 때 f(x)가 irreducible임을 보이려면 g(x)나 h(x)가 unit인 것을 보이면 됩니다. Field이므로 degree가 0임을 보이는 것과 동치입니다.

자 그러면 가능한 모든 경우를 고려해봅시다. (deg(g(x)),deg(h(x)))의 가능한 모든 경우를 나열해봅시다.
1. 2차 : (2,0) (1,1) (0,2)
2. 3차 : (3,0) (2,1) (1,2) (0,3)

2차 polynomial일 경우 (1,1) 즉, g(x)와 h(x)의 degree가 1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g(x)나 h(x) 둘 중 하나가 unit입니다. 가정에 의해서 g(x)와 h(x)의 degree는 1이 아니므로 2차 일 때 근이 없으면 항상 irreducible입니다.

3차 polynomial의 경우 (2,1), (1,2)의 경우에는 f(x)가 g(x)나 h(x)가 unit이 아닙니다. 그런데 이 때도 두 개 중 degree가 1인 경우는 없다고 가정했으므로 (2,1),(1,2)의 두 경우 모두 나올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근이 없다고 가정했는데 만약 나온다면 근이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나머지는 (3,0),(0,3)의 경우만 있기 때문에 f(x)가 irreducible입니다.

즉, 2,3차 polynomial에서 근이 없으면 항상 f(x)가 irreducible입니다.

내용 정리

  1. deg(f(x)) = 1 / always irreducible
  2. deg(f(x)) = 2 or 3 / irreducible <=> no roots
  3. deg(f(x)) >= 4 / irreducible => no roots

ex) f(x) = (x^2+1)^2 has no roots but is reducible.

2.을 좀 말로 풀어보면 2,3차는 근이 없으면 상수가 아닌 polynomial의 곱으로 표현될 수 없습니다.


고등학교 내용에 살짝 첨가하니 맛있는 대학수학 내용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결과들이 또 도출될지 궁금하네요 ㅎ

profile
수학 그리고 코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