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어노테이션이 붙은 파라미터에는 HTTP 요청의 본문 body 부분이 그대로 전달된다. RequestMappingHandlerAdapter에는 HttpMessageConverter 타입의 메시지 변환기(message converter)가 여러 개 등록되어 있다. @R
HATEOAS라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REST API의 자원 또는 호출 가능한 자원 상태를 보여준다.의존성 주입
트랜잭션이란 ?1\. 원자성(Atomicity)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하나로 간주한다. 즉, 모두 성공 또는 모두 실패1\. 일관성(Consistency)트랜잭션은 일관성 있는 데이타베이스 상태를 유지한다. (data integrity 만족 등.)1\. 격
좋은 아키텍쳐가 가능한 개발자로 레벨업 하려면 스프링을 제대로 다시 공부를 해야할것 같다.핵심 기술 :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웹 기술 :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데이터 접근기술 : 트랜잭션, JDBC, ORM지원, XML지원기술통합
기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한다.한마디로 구현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제어했다.제어의 역전은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을 담당하도록 하고, 별도의 클래스를 통해 제어의 흐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ApplicationContext 는 인터페이스이다.스프링 컨테이너는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만들 수 있다.new AnnotationConfigApplicati
순수 DI컨테이너는 요청이 올 때 마다 객체를 새로 생성한다.트래픽이 초당 1000이 나오면 초당 1000개 이상의 객체가 생성되고 소멸된다. -> 메모리 낭비싱글톤 패턴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패턴이다.클래스의 인스턴스가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객체
의존관계를 직접 명시하는 등의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스캔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 @Autowired 는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준다 @Autowired 를 사용하면 생성자에
생성자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생성자 호출시점에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setter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드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자바빈 프로퍼티 규약의 수정자
Bean 이 가지는 생명주기(lifecycle) 이다.보통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이 된다.스코프의 종류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
@Autowired 가 등록된 빈을 찾을 때 동일한 타입의 빈이 2개 이상이라면, 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오류가 발생한다.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똑같은 타입의 Bean이 2개 이상 조회가 될시 필드 명을 구분하여 매칭을 한다.빈 등록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필요하다.간단하게 외부 네트워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