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를 시작할 때 여러 목표가 있었다.그 목표들은 전부 나와 나의 교수님의 꿈에 관련된 것이었다. 나는 진심으로 모두의 꿈을 이루고 싶었다. 그 꿈은 연구자로서 탑티어였다. 이 업계에서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모델을 공부하는데만해도 한 세월이었다.
뭔가 생성 모델도 출간되는 패턴이 있는 거 같은데 완벽히 새로운 모델이를테면 GAN으로 이전에 없던 사고방식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느낌.1을 응용해서 조건을 제어하거나 퀄리티 업GAN 다음 CGAN이 나와서 조건을 제어하고 싶은 느낌혹은 Diffusion을 기반으로 Da
모자르고 정리가 안될 수 있지만 날 것의 현 상태의 상황과 감정을 기록해봅니다. 이제 전업 연구자 생활을 한 지, 1년 반. 그 동안 일종의 삽질을 무수히 반복했다. 나에게 가장 어려운 것은 결과이미지보다 related work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왜냐면 지금 연구
이렇게 맨날 맨날해도 만날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 나오면 오똑하라고 어떡하라고 어떻하라고 오떻하라고 우째하라고그래도 관두진 않으리나는 연구를 정말 사랑하니까 돈이 안되도 하리.
한국에서 연구를 지속할 수 있을까? 잘 모르겠다. R&D가 이렇게 불투명한 나라라니 솔직히 연구자로 미래가 잘 그려지지 않는다. 이렇게 연구를 사랑하는데 미래가 보이지 않는 것은 슬프다.
개인의 인생에는 수만가지의 선택과 집중이 있다. 나의 삶에도 그러했다.학교를 자퇴하고 또 학교를 가는 것도 나의 선택, 예술을 내 삶에 편입 시킨 것도 나의 선택. 각각의 무수한 선택이 옳고 그른 선택이었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선택 중에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