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div에 margin을 양쪽에 20px을 준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에‘양쪽에 padding을 20px씩 주었으니까 당연히 기존 div의 크기에서 40px이 더해지지 않을까?’라고 답을 했다. 누군가가 왜 이렇게 되는거야?라는 물음에 정확하게 답할 수 있도
사실 창피한 얘기일 수 있지만, 여태 HTML/CSS 마크업 작업을 할 때 가운데 정렬이 필요하다 싶으면 margin: 0 auto; 를 기계적으로 썼던 것 같다. margin을 준다는 것이 해당 크기만큼 간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만큼 elemen
flex가 나오기 이전에 사용했던 방식워드에서 사용하던 것처럼 이미지 주위를 텍스트로 감싸기 위해 만들어진 것참고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xara4Z1b18I여기서 그룹1을 float:left 시키면 어떻게 될까? 마치 그
position은 쓸 때마다 이게 '왜 여기있지..' 라는 생각이 든다. 기초부터 CSS를 다지고 있으니 이번 기회에 position에 대해서 다시 공부해보기로 했다.개념을 공부할 땐 공식문서부터 보는 것이 좋다고 배웠으니 공식문서로 가보자🚶이곳에서 CSS posit
IR 기법과 Sprite 기법에 대해서 공부를 해오라는 숙제가 주어졌다. IR 기법은 이전에 정리를 하면서 공부한 적이 있었는데 Sprite 기법은 이번 기회를 통해 정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sprite 기법이라고 처음 들었을 땐, 스프라이트..? 내가 아는 스프라
반응형 CSS 단위에 대해서 알아보자
6일동안 집중해서 만들었던 고정형 웹사이트 레이아웃 분석과 CSS 구현방법을 잊지 않기 위해 정리해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