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방식은 말 그대로 link 태그를 이용해 사용 (이게조은거임)
* import 방식은 css문서 안에 또 다른 css문서를 가져와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세가지 방식이 겹치는 경우에는 가장 아래에 적힌 코드가 우선으로 적용되지만 인라인방식은 내장,링크 방식보다 우선된다.
*{}
: 모든 요소를 선택ABC{}
:태그 이름이 ABC
인 요소 선택. 모든 태그 이름을 쓸 수 있다..ABC{}
:class
속성의 값이 ABC
인 요소 선택 #ABC{}
:id
속성의 값이 ABC
인 요소 선택ABCXYZ
:선택자 ABC
와 XYZ
를 동시에 만족하는 요소 선택
ABC > XYZ
:선택자 ABC
의 자식 요소 XYZ
선택
ABX XYZ
:선택자 ABC
의 하위 요소 XYZ
선택 존재하는게 여러개 있으면 여러개 선택 된다!
🚨띄어쓰기
가 선택자의 기호임
ABC + XYZ
:선택자 ABC
의 다음 형제 요소XYZ
하나를 선택
ABC ~ XYZ
:선택자 ABC
의 다음 형제 요소 XYZ
모두 선택
ABC:hover
: ABC
요소에 마우스 커서가 올라가 있는 동안 선택
ABC:active
: ABC
요소에 마우스를 클릭하고 있는 동안 선택
ABC:checked
: ABC
요소가 체크되었을 때 (radio/checkbox)
ABC:focus
: ABC
요소가 포커스되면 선택
ABC:first-child
: ABC
가 형제 요소중 첫번째라면 선택
ABC:last-child
:ABC
가 형제 요소 중 막내라면 선택
ABC:nth-of-type(n)
: ABC
요소 중에 n번째를 선택
ABC:nth-child(n)
: ABC
가 형제 요소 중 (n)
째라면 선택
ABC:not(XYZ)
:선택자 XYZ
가 아닌ABC
요소 선택
🚨
nth-of-type
nth-child
의 차이 :
nth-child
는 부모 요소의 모든 자식 중 순서만 맞는다면 해당 요소를 선택한다. 하지만 nth-of-type
은 부모 요소의 모든 자식 중type
의 조건을 만족하고순서
를 만족하는 대상을 선택한다.<div>
<h1>Heading1</h1>
<p>Lorem</p> /*p:nth-child(2)*/
<p>ipsum</p> /*p:nth-of-type(2)*/
<p>dolor</p>
</div>
참고;https://hogni.tistory.com/112
ABC::before
: ABC
요소의 내부 앞에 내용을 삽입ABC::after
: ABC
요소의 내부 뒤에 내용을 삽입지정한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는 태그를 선택하는 선택자.
[ABC]
: 속성 ABC
를 포함한 요소 선택
[ABC="XYZ"]
: 속성ABC
를 포함하고 값이 XYZ
인 요소 선택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 속성 선택자 </title>
<style>
[disabled]{
background-color: red;
}
[placeholder]{
background-color: aquamarine;
}
[type='password']{
font-size: 50px
}
.square{
background-color: yellow;
width: 100px;
height: 100px;
}
/* [class="square"]{
border: 1px solid black;
}
이건 쓰지말어라 그냥 된다라는걸 보여주기 위해 ㅇㅇ 씀 */
</style>
</head>
<body>
<input type="text" placeholder="text1">
<input type="text" placeholder="text2">
<input type="text" disabled placeholder="text3">
<input type="password"
<div class="square"></div>
<div class="square"></div>
<div class="square"></div>
<div class="square"></div>
</body>
</html>
🍎🍎🍎🍎🍎🍎
link + tab
: 자동으로 형식 써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