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대값
-> 분산
-> 기대값
-> 분산
이항분포의 포아송 근사
확률 변수 X가 X ~ B(n, p)이고, n이 충분히 크고, p가 아주 작을 때, X의 분포는 평균이 λ = np인 포아송 분포로 근사 시킬 수 있음
보통 n이 클 때, np <= 5를 만족하게 p가 작으면 근사 정도가 좋다고 함 X ~ Poisson(np)
기하분포: 어떤 실험에서 처음 성공이 발생하기까지 시도한 횟수 X의 분포
-> 성질
-> 평균, 분산
표준정규분포: 정규분포를 표준화 한 것
정규분포의 성질
일 때, 임의의 상수 ( a, b )에 대하여
일 때,
이고, ( X )와 ( Y )가 독립일 때
이항분포의 정규근사
일 때, 확률 변수 ( X )는 ( n )이 충분히 크면 근사적으로 정규 분포 를 따름
지수 분포: 단위 시간당 발생할 확률인 어떤 사건의 횟수가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면 어떤 사건이 처음 발쌩할 때까지 걸린 시간 확률변수 X는 지수 분포
-> 지수분포의 pdf
-> 지수분포의 cdf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