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률 변수: 표본 공간에서 각 사건에 실수를 대응시키는 함수
-> 하나의 사건에 대하여 하나의 값을 가지며, 실험의 결과에 의하여 변함
-> 일반적으로 확률 변수는 대문자, 확률변수의 특정값을 소문자로 표현
-
확률 변수의 평균(기대값): E(X)=∑i=1nxiP(xi)=x1P(x1)+x2P(x2)+⋯+xnP(xn)
-
확률변수의 분산: $$
\text{Var}(X) = \frac{1}{N} \sum (x_i - \mu)^2
-
기대값의 성질
-> a,b 가 상수이고, X, Y를 임의의 확률 변수라고 할 때
1) E(a)=a
2) E(aX)=aE(X)
3) E(aX+b)=aE(X)+b
4) E(aX±bY)=aE(X)±bE(Y)
5) ( X, Y )가 독립일 때 E(XY)=E(X)⋅E(Y)
-
분산의 성질
-> a,b 가 상수이고, X, Y를 임의의 확률 변수라고 할 때
1) Var(a)=0
2) Var(aX)=a2Var(X)
3) Var(X+Y)=Var(X)+Var(Y)+2Cov(X,Y)
4) Var(aX±bY)=a2Var(X)±b2Var(Y)+2Cov(X,Y)
5) ( X, Y )가 독립일 때 Var(XY)=0
6) Var(X)=E(X2)−[E(X)]2
-
공분산: 2개의 확률변수의 선형 관계를 나타내는 값
Cov(X,Y)=E[(X−E(X))(Y−E(Y))]=n−1∑i=1n(Xi−X)(Yi−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