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5-2. 불변공간

milkbuttercheese·2023년 1월 14일
0

AI를 위한 선형대수

목록 보기
8/14

5-2. 불변공간

3. TT-불변공간 TinvariantsubspaceT-invariant\,\,subspace란 무엇인가?

  • 조건
    - 벡터공간 VV에 선형연산자 TT가 있다고 하자.
    - 부분공간 WVW \subseteq VT(W)WT(W) \subseteq W 의 성질을 가진다고 하자
  • 정의
    - WWVVTT-불변공간이라 부른다

TT-순환 부분공간

  • 조건
    - 벡터공간 VV와 그 선형연산자 TT, nonzeronon-zero 벡터 vVv \in V가 있다고 하자
    - 다음과 같이 형성된 부분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W=span({x,T(x),T2(x),...})W=span(\{x,T(x),T^2(x),...\})
  • 정의
    - WWxx에 의해 생성된 TT-순환 부분공간이라고 부른다

정의역을 WW로 제한restrictionrestriction한 함수

  • 조건
    - 벡터공간 VV와 선형연산자 TT, TT-불변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TWT_W를 기존 선형연산자 TT에서 정의역과 공역 모두 WW로 제한하는 것으로 정의하자

이에 따라오는 성질들

TT- 부분공간과 특성다항식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와 선형연산자 TT, TT-불변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결과
    - TWT_W의 특성다항식은 TT의 특성다항식을 나눈다

TT-순환 부분공간의 특성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와 선형연산자 TT가 있다고 하자
    - nonzeronon-zero 벡터 vVv \in V에 의해 생성된 TT-순환 부분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dim(W)=kdim(W)=k라 하자
  • 결과
    - {v,T(v),T2(v),...,Tk1(v)}\{v,T(v),T^2(v),...,T^{k-1}(v)\}WW의 기저이다
    - j=0k1ajTj(v)+Tk(v)=0\sum_{j=0}^{k-1}a_jT^j(v)+T^k(v)=0 이면 TWT_W의 특성다항식은 TWT_W의 특성다항식은 f(t)=(1)k(a0+a1t+...+ak1tk1+tk)f(t)=(-1)^k(a_0+a_1t+...+a_{k-1}t^{k-1}+t^k)이다
증명
  • 1)β={v,T(v),T2(v),...,Tj1(v)}1)\,\,\beta=\{v,T(v),T^2(v),...,T^{j-1}(v)\}가 일차독립을 만족시키는 되도록 가장 큰 수 jj를 택한다고 하자 VV는 유한차원이므로 이러한 jj는 반드시 존재한다
    • Tj(v)T^j(v)β\beta와 일차종속이므로 Tj(v)span(β)T^j(v) \in span(\beta)이다
    • 임의의 원소 wspan(β)w \in span(\beta)를 택한다고 하자.
    • w=i=0j1aiTi(v)w=\sum_{i=0}^{j-1}a_iT^i(v)로 표현할 수 있다.
    • T(w)=i=0j1aiTi+1(v)span(β)T(w)=\sum_{i=0}^{j-1}a_iT^{i+1}(v) \in span(\beta)이다
    • span(β)span(\beta)TT- 불변공간이며 vspan(β)v \in span(\beta)이다
    • vv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TT-불변 부분공간은 vv에 의해 생성된 TT-순환 부분공간이므로 Wspan(β)W\subseteq span(\beta) 이다
    • 그런데 βW\beta \subseteq W이므로 span(β)Wspan(\beta)\subseteq W이므로
    • W=span(β)W=span(\beta)이다
  • 2)0jk22)\,\, 0\le j \le k-2 의 경우
    - [T(Tj(v))]β=[Tj+1(v)]β=ej+2[T(T^j(v))]_\beta=[T^{j+1}(v)]_\beta=e^{j+2} 이고
    - [T]β[Tj(v)]β=[T]βej+1=[T]_\beta[T^j(v)]_\beta=[T]_\beta e^{j+1}=ej+2e^{j+2}
    - colj+1([T]β)=ej+2col_{j+1}([T]_\beta)=e^{j+2}
    - j=k1j=k-1 인경우
    - [T(Tk1(v))]β=[Tk(v)]β=i=0k1[aiTi(v)]β=i=0k1aiei+1[T(T^{k-1}(v))]_\beta=[T^k(v)]_\beta=-\sum_{i=0}^{k-1}[a_iT^i(v)]_\beta=\sum_{i=0}^{k-1}a_ie^{i+1}
    - 종합하면 [TW]β=(000a0100a1001ak1)[T_W]_\beta=\begin{pmatrix} 0& 0&\cdots&0&-a_0\\1&0&\cdots&0&-a_1\\\cdots&\cdots&&\cdots&\cdots\\0&0&\cdots&1&-a_{k-1}\end{pmatrix}이다
    - 연습문제 19에 따르면( 이 과정은 생략하였음)
    - f(t)=(1)k(a0+a1t+...+ak1tk1+tk)f(t)=(-1)^k (a_0+a_1t+...+a_{k-1}t^{k-1}+t^k)

4. 케일리-해밀턴 정리 CayleyHamiltontheoremCayley-Hamilton\,\,theorem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VV에 정의된 선형연산자 TT, TT의 특성다항식 f(t)f(t)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f(T)=T0f(T)=T_0(영변환) 즉 TT는 특성다항식을 만족한다
  • 증명
    • 모든 vVv \in V에 대하여 f(T)=0f(T)=0임을 보여야 한다
      - v=0v=0 이면 f(0)=0f(0)=0 이다
      - v0v\ne 0 인 경우를 살펴보자
      - WWvv에 의해 생성된 TT- 부분 순환공간이라고 하고 dimW=kdimW=k라 하자
      - Tk(v)WT^k(v) \in W 이므로 위의 정리(1)에 따라 i=0k1aiTi(v)+Tk(v)=0\sum_{i=0}^{k-1}a_iT^i (v)+T^k(v)=0을 만족하는 ajFa_j \in F가 존재한다
      - 위의 정리(2)에 따라 이 TWT_W의 특성다항식은 g(t)=(1)k(i=0k1aiti+tk)=0g(t)=(-1)^k(\sum_{i=0}^{k-1}a_it^i+t^k)=0 이다. 변수 tt의 자리에 선형변환 TT를 대입하면
      - g(T)(v)=(1)k(i=0k1aiTi+Tk)(v)=0g(T)(v)=(-1)^k(\sum_{i=0}^{k-1}a_iT^i+T^k)(v)=0 가 된다
      - TWT_W의 특성다항식은 TT의 특성다항식을 나누어 f(t)=g(t)h(t)f(t)=g(t)h(t)꼴로 만드는 특성이 있으므로( f(t),g(t),h(t)f(t),g(t),h(t)는 각각 T,TWT,T_W의 특성방정식, 나머지 tt의 함수)
      - f(T)(v)=g(T)h(T)(v)=h(T)(g(T)(v))=h(T)(0)=0f(T)(v)=g(T)h(T)(v)=h(T)(g(T)(v))=h(T)(0)=0
      - 모든 vVv \in V에 대해 f(T)(v)=0f(T)(v)=0이므로 f(T)=T0f(T)=T_0이다
  • 따름정리
    - AMn×n(F)\boldsymbol{A} \in \boldsymbol{M}_{n\times n}(F)의 특성다항식 f(t)f(t)에 대하여 f(A)=Of(\boldsymbol{A})=\boldsymbol{O}이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