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6-1. 내적공간

milkbuttercheese·2023년 1월 14일
0

AI를 위한 선형대수

목록 보기
9/14

6-1. 내적공간과 직교여공간

1.내적innerproductinner\,\, product이란 무엇인가?

  • 조건
    - FF- 벡터공간 VV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벡터 x,yVx,y \in V, 스칼라 cFc\in F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내적은 벡터 x,y\langle x,y \rangle 순서쌍을 스칼라에 대응시키는 함수이면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 x+z,y=x,y+z,y\langle x+z,y \rangle= \langle x, y \rangle + \langle z,y \rangle
    - cx,y=cx,y\langle cx,y \rangle=c\langle x,y \rangle
    - x,y=y,x\overline{\langle x,y\rangle}= \langle y,x \rangle (zˉ(\bar{z}zz의 켤레복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표기함)
    - x0x \ne 0 일때 x,x>0\langle x,x\rangle>0

특별한 예 1: FnF^n의 표준 내적standardinnerproductstandard\,\,inner\,\,product

  • 조건
    - 두 벡터 x,yFnx,y\in F^n 가 있어 각각 x=(x1,x2,...,xn),y=(y1,y2,...,yn)x=(x_1,x_2,...,x_n), y=(y_1,y_2,...,y_n)으로 정의된다고 하자
  • 정의
    - x,y=i=1nxiyiˉ\langle x,y \rangle= \sum_{i=1}^{n}x_i \bar{y_i} 로 정의한다

특별한 예 2: FrobeniusinnerproductFrobenius \,\,inner\,\,product

  • 조건
    - 두 행렬 A,BMn×n(F)\boldsymbol{A,B} \in \boldsymbol{M}_{n\times n}(F)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A,B=tr(BA)\langle A,B \rangle =tr(\boldsymbol{B}^*\boldsymbol{A})

이에 따라오는 성질 1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다고 하자. 벡터 x,y,zVx,y,z\in V이고, 스칼라 cFc \in F라고 하자
  • 정리
    - x,y+z=x,y+x,z\langle x,y+z \rangle = \langle x,y \rangle+ \langle x,z \rangle
    - x,cy=cˉx,y\langle x,cy \rangle = \bar{c}\langle x,y \rangle
    - x,0=0,x=0\langle x,0 \rangle= \langle 0,x \rangle = 0
    - x,x=0\langle x,x \rangle=0x=0x=0 과 동치이다
    - 모든 xVx \in V에 대해 x,y=x,z\langle x,y \rangle= \langle x,z\rangle 이면 y=zy=z이다
  • 증명
    - x,y+z=y+z,x=y,x+z,x=x,y+x,z\langle x,y+z \rangle =\overline{ \langle y+z, x \rangle}=\overline{\langle y,x \rangle}+\overline{\langle z,x \rangle}=\langle x,y \rangle +\langle x,z \rangle
    - x,cy=cy,x=cy,x=cx,y\langle x,cy \rangle = \overline{\langle cy,x \rangle}= \overline{c}\overline{\langle y,x \rangle}=\overline{c}\langle x,y \rangle
    - 적당한 wVw \in V가 있다고 하자. x,0=x,ww=x,wx,w=0\langle x,0 \rangle=\langle x,w-w \rangle= \langle x,w \rangle -\langle x,w \rangle =0 반대의 경우도 똑같이 증명된다
    - 4번 정리는 정의에서 비롯되어 자명하다
    - 모든 xVx\in V에 대해 x,yz=0\langle x,y-z \rangle=0 이므로 x=yzx=y-z 일때의 경우를 고려하자. 이 경우에서 yz,yz=0\langle y-z, y-z \rangle=0 이므로 yz=0y-z=0 이므로 y=zy=z이다
  • 노름의 정의
    • 조건
      • 내적공간 VV와 벡터 xVx \in V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x=x,x\|x\|=\sqrt{\langle x,x\rangle} , xx의 노름이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오는 성질 2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다고 하자. 벡터 x,yVx,y \in V이고 스칼라 cFc \in F라 하자
  • 정리
    - cx=cx\|cx\|=|c|\cdot\|x\|
    - x=0\|x\|=0 은 ‘x=0x=0이다. 또는 모든 xx에 대해 x0\|x\| \ge0이다’ 와 동치이다
    - 코시-슈바르츠-부동식 CauchySchwarzinequalityCauchy-Schwarz \,\,inequality
    - x,yxy|\langle x,y\rangle| \le \|x\|\cdot\|y\|
    - 삼각부등식 triangleinequalitytriangle\,\,inequality
    - x+yx+y\|x+y\| \le \|x\|+\|y\|
  • 증명
    - cx,cx=ccˉx,x=c2x2\langle cx,cx \rangle = c\bar{c} \langle x,x \rangle=|c|^2 \|x\|^2 cx=cx,cx=cx\|cx\|=\sqrt{\langle cx,cx \rangle}=|c| \cdot \|x\|
    - 자명하다
    - CauchySchuwarzinequalityCauchy-Schuwarz\,\,inequality (x,yxy)(|\langle x,y\rangle| \le \|x\|\cdot\|y\|) 증명
    - y=0y=0 인 경우 등식이 성립한다
    - y0y \ne 0 인 경우를 고려하자
    - c=x,yy,yc= \displaystyle\frac{\langle x,y \rangle}{\langle y,y \rangle}이라고 하자
    - 0xcy,xcy=x,xcycy,xcy0\le \langle x-cy,x-cy \rangle=\langle x,x-cy \rangle-c \langle y,x-cy \rangle
    - =x,xcˉx,ycy,x+ccˉy,y=\langle x,x \rangle - \bar{c}\langle x,y \rangle -c\langle y,x \rangle+ c\bar{c}\langle y,y\rangle
    - =x,xy,xy,yx,yx,yy,yy,x+x,yy,xy,y=\langle x,x \rangle- \displaystyle\frac{\langle y,x \rangle}{\langle y,y \rangle}\langle x,y \rangle- \displaystyle\frac{\langle x,y \rangle}{\langle y,y \rangle}\langle y,x \rangle +\displaystyle\frac{\langle x,y \rangle \langle y,x \rangle}{\langle y,y \rangle}
    - 0x,xy,yx,yy,x0 \le \langle x,x \rangle \langle y,y \rangle- \langle x,y \rangle \langle y,x \rangle
    - x,yy,xx,xy,y\langle x,y \rangle \langle y,x \rangle \le \langle x,x \rangle \langle y,y \rangle
    - x,yxy|\langle x,y \rangle| \le |x|\cdot|y|
  • triangularinequality(x+yx+y)triangular\,\,inequality \,\,\,(\|x+y\| \le \|x\|+\|y\|) 증명
    - x+y2=x+y,x+y=x,x+y+y,x+y=x,x+x,y+y,x+y,y\|x+y\|^2= \langle x+y,x+y \rangle = \langle x,x+y \rangle + \langle y,x+y \rangle= \langle x,x \rangle +\langle x,y \rangle+\langle y,x \rangle +\langle y,y \rangle
    - =x2+y2+2Re(x,y)=\|x\|^2+\|y\|^2 + 2\mathcal{Re}(\langle x,y \rangle )
    - x2+y2+2x,y\le \|x\|^2 +\|y\|^2+ 2|\langle x,y\rangle |
    - x2+y2+2xy=(x+y)2\le \|x\|^2+\|y\|^2+2\|x\|\cdot\|y\|=(\|x\|+\|y\|)^2
    - x+yx+y\|x\|+\|y\| \ge \|x+y\|

1-2. 용어들

직교 orthogonalorthogonal / 수직perpendicularperpendicular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고, 두 벡터 x,yVx,y \in V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x,y=0\langle x,y \rangle =0 이면 두 벡터는 직교/ 수직 이라고 정의한다

직교집합

  • 조건
    - VV의 부분집합 SS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SS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벡터가 직교할 떄 SS를 직교집합이라 부른다

정규직교orthonormalorthonormal집합

  • 정의
    - SS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벡터가 직교하고, SS의 원소가 단위벡터로만 이루어져있다면 SS를 정규직교집합이라 부른다

2. 정규직교기저란?

  • 내적공간 VV의 순서기저가 정규직교집합인 것이다

관련 정리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고 VV의 직교 부분집합 S={v1,v2,...,vk}S=\{v_1,v_2,...,v_k\}가 있다고 하자
    - yspan(S)y \in span(S)라 하자
  • 정리
    - y=i=1ky,vivi2viy=\sum_{i=1}^{k}\displaystyle\frac{\langle y,v_i \rangle}{\|v_i\|^2}v_i 가 성립한다
  • 증명
    - y=i=1kaiviy= \sum_{i=1}^{k}a_iv_i라고 하자
    - 1jk1\le j \le k에서 y,vj=i=1kaivi,vj=ajvj2\langle y,v_j \rangle=\langle \sum_{i=1}^{k} a_iv_i,v_j \rangle=a_j\|v_j\|^2
    - aj=y,vjvj2a_j= \displaystyle\frac{\langle y,v_j \rangle}{\|v_j\|^2}

관련정리 2 : 직교집합은 일차독립이다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고 VV의 직교 부분집합 S={v1,v2,...,vk}S=\{v_1,v_2,...,v_k\}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VV의 직교 부분집합 SS는 일차독립이다
  • 증명
    - 일차독립을 판별하기 위해 i=1kaivi=0\sum_{i=1}^{k}a_i v_i=0 식을 세우자
    - i=1kaivi,vj=0\langle \sum_{i=1}^{k}a_i v_i,v_j\rangle=0 , j=1,2,...,kj=1,2,...,k
    - 따라서 a1,a2,...,ak=0a_1,a_2,...,a_k=0 이므로 정의에 따라 일차독립이다

2.1 그람- 슈미트 직교화 GramSchmidtprocessGram-Schmidt\,\,process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고 일차독립인 부분집합 S={w1,w2,...,wn}S=\{w_1,w_2,...,w_n\}이 있다고 하자
    - S={v1,v2,...,vn}S'=\{v_1,v_2,...,v_n\}SS를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만든 집합이다.
    - v1=w1v_1=w_1
    - vk=wkj=1k1wk,vjvj2v_k=w_k - \sum_{j=1}^{k-1}\displaystyle\frac{\langle w_k,v_j \rangle}{\|v_j\|^2} (2kn)(2 \le k \le n)
  • 정리
    - SS'은 영이 아닌 벡터로 이루어진 직교집합이다
    - span(S)=span(S)span(S')=span(S)이다
  • 증명
    - 벡터 갯수 nn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 n=1n=1 일떈 v1=w1v_1=w_1 으로 증명이 끝난다
    - n=k1n=k-1에서 이 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 Sk1={v1,v2,...,vk1}S'_{k-1}=\{v_1,v_2,...,v_{k-1}\}
    - n=kn=k에서 이 식이 성립함을 보이자
    - vk=0v_k=0 이면 wkspan(Sk1)=span(Sk1)w_k \in span(S'_{k-1})=span(S_{k-1})임을 의미한다. 이는 SkS_k가 일차독립이라는 가정과 모순이다
    - 1ik11\le i \le k-1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 vk,vi=wkj=1k1wk,vjvj2vj,vi=wk,viwk,vivi2vi2=0\langle v_k,v_i \rangle=\langle w_k - \sum_{j=1}^{k-1}\displaystyle\frac{\langle w_k,v_j \rangle}{\|v_j\|^2}v_j,v_i\rangle=\langle w_k,v_i \rangle - \displaystyle\frac{\langle w_k,v_i \rangle}{\|v_i\|^2}\|v_i\|^2=0
    - 그러므로 SkS_k' 은 직교집합이다 또한 SkS_k'에 정의에 따라서
    - Skspan(Sk)S_k' \subseteq span(S_k) , span(Sk)span(Sk)span(S_k') \subseteq span(S_k)
    - 직교집합이면 일차독립이므로 dim(span(Sk))=dim(span(Sk))dim(span(S_k'))=dim(span(S_k))
    - span(Sk)=span(Sk)span(S_k')=span(S_k)

2-2. 직교여공간 orthogonalcomplementorthogonal\,\,complement

  • 조건
    - 내적공간 VV가 있고,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SS가 있다하자
  • 정의
    - SS의 모든 벡터와 수직인 벡터의 집합을 SS^\bot, 직교여공간이라고 한다
    - S={xV:forallyS,x,y=0}S^\bot =\{x \in V : for \,\,all\,\,y \in S,\,\,\langle x,y \rangle=0\}

이에 따라오는 성질

  • 조건
    - 내적공간 VVVV의 유한차원 부분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벡터 yVy \in V 있다고 하자
    - {v1,v2,...,vk}\{v_1,v_2,...,v_k\}WW의 정규직교 벡터라고 하자
  • 정리
    - y=w+wy=w+w' 만족시키는 유일한 벡터 wW,wWw\in W, w' \in W^\bot이 존재한다
    - w=i=1ky,viviw = \sum_{i=1}^{k}\langle y,v_i \rangle v_i 가 성립한다
  • 용어
    - wwyyWW에 대한 정사영orthogonalprojectionorthogonal\,\,projection 이라 한다
  • 증명
    - 일단 우선 앞에서 정의한대로 w,ww,w' 를 활용한다
    - w=yww'=y-www와 직교임을 보이자
    - w,vj=(yi=1ky,vivi),vj=y,vji=1ky,vivi,vj=0\langle w',v_j \rangle= \langle (y-\sum_{i=1}^{k} \langle y,v_i \rangle v_i),v_j \rangle= \langle y,v_j \rangle - \sum_{i=1}^{k} \langle y,v_i \rangle \langle v_i,v_j \rangle=0 forj=1,2,...,kfor \,\,j=1,2,...,k
    - wspan({v1,v2,...,vk})w \in span(\{v_1,v_2,...,v_k\}) 이므로 www \bot w' wWw' \in W^\bot
    - 이제 wwww'이 유일함을 보이자
    - uW,uWu \in W, u' \in W^\bot이고 y=u+u=w+wy=u+u'=w+w'이라고 하자
    - (uw)=(wu)(u-w)=(w'-u') , WW={0}W \cap W^\bot=\{0\} 이므로
    - u=w,w=uu=w , w'=u'

따름정리

  • 주장
    - wwWW에 있는 벡터중 yy에 가장 가까운 유일한 벡터이다
    - 임의의 xWx \in W에 대해 yxyw\|y-x\| \ge\|y-w\|이다 등호는 x=wx=w인 경우 성립한다
  • 증명
    - yx2=w+wx2=(wx)+w2=wx2+w2w2=yw2\|y-x\|^2=\|w+w'-x\|^2=\|(w-x)+w'\|^2=\|w-x\|^2+\|w'\|^2 \ge \|w'\|^2=\|y-w\|^2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