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5. 대각화

milkbuttercheese·2023년 1월 14일
0

AI를 위한 선형대수

목록 보기
7/14

5-1. 대각화

1.대각화 diagonalizationdiagonalization은 무엇인가?

  • 대각화란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의 선형연산자 TT가 주어졌을 때 [T]β[T]_\beta가 대각행렬이 되도록 하는 VV의 순서기저β\beta를 찾는것이다
  • 대각화 문제는 두 개의 물음을 갖는다
    - [T]β[T]_\beta가 대각행렬이 되도록 하는 순서기저 β\beta가 존재하는가? : 이 질문은 6장에서 답을 얻는다
    - 유한차원 복소내적공간 VV가 있다 하자. VV의 정규연산자 TT가 대각화 가능하다
    - 유한차원 실내적공간 VV가 있다 하자. VV의 자기수반연산자 TT는 대각화가능하다
    • 이러한 기저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1-2. 용어

대각화가능 diagonalizablediagonalizable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에서 정의된 선형연산자 TT에 대하여
  • 정의
    • [Tβ[T_\beta가 대각행렬이 되도록하는 VV의 순서기저 β\beta가 존재한다면 선형연산자 TT는 대각화 가능 하다고 한다
    • LAL_A가 대각화가능할 때, 정사각행렬 A\boldsymbol{A}는 대각화가능 하다고 한다

고유벡터 eigenvectoreigenvector / 고유값 eigenvalueeigenvalue

  • 조건
    • 벡터공간 VV 선형연산자 TT가 있다고 하자
    • nonzeronon-zero 벡터 vVv\in V가 존재하고 어떤 스칼라 λF\lambda \in F가 존재하여 T(v)=λvT(v)=\lambda v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 정의
    • nonzeronon-zero 벡터 vvTT의 고유벡터라고 정의한다
    • λF\lambda \in F를 고유벡터 vv에 대응하는 고유값이라고 정의한다
  • 조건
    • AMn×n(F)\boldsymbol{A} \in \boldsymbol{M}_{n \times n }(F)가 있다고 하자
    • nonzeronon-zero 벡터 vFnv \in F^n가 존재하고, 어떤 스칼라 λF\lambda \in F가 존재하여 Av=λv\boldsymbol{A}v=\lambda v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 정의
    • nonzeronon-zero 벡터 vvLAL_A의 고유벡터이자 A\boldsymbol{A}의 고유벡터라고 정의한다
    • λF\lambda \in F를 고유벡터 vv에 대응하는 고유값이라고 정의한다

특성다항식 characteristicequationcharacteristic\,\,equation

  • 관련 정리
    • 정리
      - 행렬AMn×n(F)\boldsymbol{A} \in \boldsymbol{M}_{n \times n}(F)에 대해 스칼라 λ\lambdaA\boldsymbol{A}의 고유값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det(AλI)=0det(\boldsymbol{A}-\lambda\boldsymbol{I})=0 이다
    • 증명
      - Av=λv\boldsymbol{A}v=\lambda v를 만족하는 nonzeronon-zero 벡터를 먼저 찾는다고 하자
      - (AλI)v=0\boldsymbol{A}-\lambda\boldsymbol{I})v=0 이다. 이때 ( 1과 2는 기본적으로 동치인 명제, 1과 3는 차원정리에 의해 동치명제로 1,2,3 모두 동치인 명제가 된다)
      1. AλI\boldsymbol{A}-\lambda\boldsymbol{I} 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음
      2. det(AλI)=0det(\boldsymbol{A}-\lambda\boldsymbol{I})=0
      3. vvnonzeronon-zero 벡터이다
      - 따라서 det(AλI)=0det(\boldsymbol{A}-\lambda\boldsymbol{I})=0 이면 vvnonzeronon-zero 벡터이다와 필요충분조건이다
    • 정의
      - 행렬 AMn×n(F)\boldsymbol{A} \in \boldsymbol{M}_{n \times n}(F)에 대해 f(t)=det(AtI)f(t)=det(\boldsymbol{A}-t\boldsymbol{I})A\boldsymbol{A}의 특성다항식이라고 부른다
    • 정의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에서 정의된 선형연산자 TT, VV의 임의의 순서기저 β\beta가 있다고 하자. f(t)=det([T]βtI)f(t)=det([T]_{\beta}-t\boldsymbol{I})TT의 특성다항식이라 부른다.
    • 위 정의는 순서기저 β\beta의 선택과는 관련없다.
    • 증명
      - 다른 VV의 순서기저 γ\gamma 가 있다고 하자
      - det(AB)=det(A)det(B)det(\boldsymbol{AB})=det(\boldsymbol{A})det(\boldsymbol{B}) 이므로
      - det([I]βγ)det([T]βtI)det([I]γβ)det([I]_{\beta}^{\gamma})det([T]_{\beta}-t\boldsymbol{I})det([I]_{\gamma}^{\beta})
      - =det([T]βtI)=det([T]_{\beta}-t\boldsymbol{I})
      - =det([T]γtI)=det([T]_\gamma -t\boldsymbol{I})

고유공간 eigensapceeigensapce

  • 조건
    - 벡터공간 VV에 선형연산자 TT와 그의 고윳값 λj(j=1,2,...,k)\lambda_j(j=1,2,...,k)이 있다고 하자.
  • 정의
    - 다음 집합 Eλj={xV:T(x)=λjx}=N(TλjI)E_{\lambda_{j}}=\{x\in V :T(x)=\lambda_jx\}=N(T-\lambda_j I) 를 고유값 λj\lambda_j에 대응하는 TT의 고유공간이라 정의한다
  • 특이사항
    - 고유공간속 영벡터만큼은 정의상 고유벡터가 아니다

중복도 multiplicitymultiplicity

  • 조건
    • 특성다항식 f(t)=det(AtI)=c(tλ1)m1(tλ2)m2(tλk)mkf(t)=det(\boldsymbol{A}-t\boldsymbol{I})=c\cdot(t-\lambda_1)^{m_1}(t-\lambda_2)^{m2}\cdots(t-\lambda_k)^{m_k} 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이떄 mjm_jλj\lambda_j의 대수적 중복도라고 정의한다
    - FF위에서 완전히 인수분해된다 splitoverFsplit\,\,over\,\,F
    - 조건
    - 다항식 f(t)P(F)f(t)\in \mathcal{P}(F)이 있고 스칼라 c,a1,...,anFc,a_1,...,a_n \in F (같은 값이 있을수도 있다)가 있어 다음의 식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f(t)=c(ta1)(ta2)(tan)f(t)=c(t-a_1)(t-a_2)\cdots(t-a_n)
  • 정의
    - FF 위에서 완전히 인수분해된다고 정의한다

2. 대각화가능성

  • 조건
    - nn차원 벡터공간 VV에 선형변환 TT가 정의되었다고 하자
  • 판정법(대각화가능성의 필요충분조건)
    -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어야 한다
    - 만약 F=CF=\boldsymbol{C} 라면 FundamentalTheoremofAlgebraFundamental\,\,Theorem\,\,of\,\,Algebra에 의해 보장된다
    - 고유공간의 차원이 nullity(TλjI)=dim(Eλj)nullity(T-\lambda_j I)=dim(E_{\lambda_{j}}) 고유값 λj\lambda_j의 중복도과 같다
  •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순서기저 만들기
    - TT가 대각화가능하고, βj\beta_jEλjE_{\lambda_{j}}의 순서기저라고 할때 β=j=1kβj\beta=\cup_{j=1}^{k}\beta_jTT의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VV의 순서기저이다

보조정리

  • 조건
    • 벡터공간의 선형연산자 TT와 서로다른 고유값 λ1,λ2,...,λk\lambda_1,\lambda_2,...,\lambda_k가 있다고 하자
      - SjS_jλj\lambda_j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유한집합이라 하자
      - 정리
      - SjS_j(j=1,2,...,k)(j=1,2,...,k)가 일차독립이면 S1S2SkS_1\cup S_2 \cup \cdots \cup S_k 도 일차독립이다
  • 증명
    - kk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 k=1k=1 에선 자명하다
    - k2k \ge 2 에서 k1k-1개의 서로 다른 고유값에 대해 정리가 성립한다 가정하자
    • (1)(1)i=1kj=1niaijvij=0\sum_{i=1}^{k}\sum_{j=1}^{n_i}a_{ij}v_{ij}=0 에서 모든 aija_{ij}00이면 증명될 수 있다.
    • 이때 vijv_{ij}λi\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벡터이므로 양변에 TλkIT-\lambda_{k}I를 적용하면
    • i=1k1j=1niaij(λiλk)vij=0\sum_{i=1}^{k-1}\sum_{j=1}^{n_i}a_{ij}(\lambda_i-\lambda_k)v_{ij}=0
    •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따라 S1S2Sk1S_1 \cup S_2 \cup \cdots \cup S_{k-1}는 일차독립이므로 i=1,2,...,k1,j=1,2,...,nii=1,2,...,k-1,\,\,\,j=1,2,...,n_i에 대해 aij(λiλk)=0a_{ij}(\lambda_i-\lambda_k)=0이다
    • λj\lambda_j는 서로 다른 값들이므로 aij=0a_{ij}=0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1)식은
    • j=1nkakjvkj=0\sum_{j=1}^{n_k}a_{kj}v_{kj}=0이 된다. SkS_k의 일차독립은 전제조건이였으므로 akj=0a_{kj}=0이다
    • 따라서 i=1,2,...,kj=1,2,...,nii=1,2,...,k\,\,\,j=1,2,...,n_i에 대해 aij=0a_{ij}=0이므로 S1S2SkS_1 \cup S_2 \cup \cdots \cup S_k는 일차독립이다

2-1. 직합 directsumdirect\,\,sum

부분공간의 합

  • 조건
    - 벡터공간 VV가 있고 그 부분공간 W1,W2,...,WkW_1,W_2,...,W_k가 있다고 하자
  • 정의
    - i=1kWi={v1+v2++vk:1ik,viWi}\sum_{i=1}^{k}W_i=\{v_1+v_2+\cdots+v_k:1\le i\le k ,\,\, v_i \in W_i\}

직합

  • 정의
    - 벡터공간 VV가 있고 그 부분공간 W1,W2,...,WkW_1,W_2,...,W_k가 있다고 하자
    - WiWW_i \subseteq W이고 다음을 만족시키는 부분공간 WW가 있다고 하자
    - W=i=1kWi,WjijWi={0}W=\sum_{i=1}^{k}W_i,\,\,\,\, W_j \cap\sum_{i\ne j} W_i=\{0\} for1jkfor\,\,\,1\le j\,\,\le k

이에 따라오는 성질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VV의 부분공간 W1,W2,...,WkW_1,W_2,...,W_k가 있다고 하자
    - WjW_j에 대응하는 순서기저 γj\gamma_j가 있다고 하자
    - vjWjv_j \in W_j 인 벡터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다음의 명제는 동치이다
    - V=i=1kWiV=\bigoplus_{i=1}^{k}W_i
    - V=i=1kWiV= \sum_{i=1}^{k}W_i이고 v1+v2+...+vk=0v_1+v_2+...+v_k=0일때 모든 ii에 대하여 viv_i00이다
    - vVv\in V에 대해 v=v1+v2+...+vkv=v_1+v_2+...+v_k꼴로 표현하는 방법은 유일하다
    - γ=i=1kγi\gamma=\bigcup_{i=1}^{k}\gamma_iVV의 기저이다
  • 증명
    - 121\rightarrow2| 임의의 jj에 대해 vj=ijvi-v_j=\sum_{i\ne j}v_i 로 표현할 때 ijviijWi\sum_{i \ne j}v_i \in \bigcup_{i \ne j}W_i
    - 그러므로vjijvi={0}-v_j \cap \sum_{i\ne j}v_i=\{0\} 임의의 vj=0v_j=0이므로 증명된다
    - 232\to3| v=v1+v2+...+vkv=v_1+v_2+...+v_k 인 어떤 벡터 vVv\in V가 있다하자. 또한 wjWjw_j \in W_j여서 v=w1+w2+...+wkv= w_1+w_2+...+w_k로 표현가능하다고 하자
    - 그러면 0=(v1w1)+(v2w2)+...+(vkwk)0=(v_1-w_1)+(v_2-w_2)+...+(v_k-w_k)이다.
    - 모든 ii에 대해 viwiWiv_i-w_i \in W_i이므로 viwi=0v_i-w_i=0이다 따라서 표현은 유일하다
    - 343\rightarrow 4| 33에 따르면 V=i=1kWiV=\sum_{i=1}^{k}W_i이므로 γ1γ2γk\gamma_1 \cup \gamma_2 \cup \cdots \cup \gamma _kVV를 생성한다
    - 이 집합이 일차독립임을 보이기 위해 i,jaijvij=0\sum_{i,j}a_{ij}v_{ij}=0을 고려해보자 (i=1,2,...,kj=1,2,...,mi)i=1,2,...,k\,\,\,\, j=1,2,...,m_i)
    - wi=j=1miaijvijw_i=\sum_{j=1}^{m_i}a_{ij}v_{ij}로 두자. 그러면 22번 규칙에 따라, w1+w2+...+wk=0w_1+w_2+...+w_k=0 일때 각각의 w1,w2,...,wk=0w_1,w_2,...,w_k=0 이므로
    - j=1miaijvij=wi=0\sum_{j=1}^{m_i}a_{ij}v_{ij}=w_i=0, 각각의 γi\gamma_i는 0이므로 aij=0a_{ij}=0
    - 따라서 γ=i=1kγi\gamma=\bigcup_{i=1}^{k}\gamma_i 는 일차독립이면서 VV의 기저이다
    - 414\rightarrow1| V=span(γ)=span(i=1kγi)=V=span(\gamma)=span(\bigcup_{i=1}^{k}\gamma_i)=i=1kspan(γi)=i=1kWi\sum_{i=1}^{k}span(\gamma_i)=\sum_{i=1}^{k}W_i
    - vjijvi={0}v_j \cap\sum_{i \ne j}v_i=\{0\} 이므로
    - V=i=1kWiV=\bigoplus_{i=1}^{k}W_i
    - ref.(span(S1S2)=span(S1)+span(S2))ref.(span(S_1\cup S_2)=span(S_1)+span(S_2))

2-2. 동시대각화가능 stimultaneouslydiagonalizablestimultaneously\,\,diagonalizable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에 두 선형연산자 T,UT,U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다음의 두 명제는 동치이다
    • TU=UTTU=UT로 서로 교환가능한 연산자이다
    • [T]β,[U]β[T]_\beta,[U]_\beta를 동시에 대각행렬로 보이게끔 하는 순서기저 β\beta가 존재하고 이를, T,UT,U가 동시에 대각화 가능하다고 한다
  • 조건
    - 두 행렬 A,BMn×n(F)\boldsymbol{A,B}\in \boldsymbol{M}_{n \times n}(F)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 AB=BA\boldsymbol{AB}=\boldsymbol{BA}로 서로교환가능한 행렬이다
    - Q1AQ\boldsymbol{Q}^{-1}\boldsymbol{A}\boldsymbol{Q}Q1BQ\boldsymbol{Q}^{-1}\boldsymbol{B}\boldsymbol{Q}를 동시에 대각행렬로 보이게끔 하는 가역행렬 Q\boldsymbol{Q}가 존재하고 이를, A,B\boldsymbol{A,B}가 동시에 대각화가능하다고 말한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