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의 기초가 되는 cs지식을 되새기면서 이 후 있을 기술면접을 대비 하고자한다.네트워크(Network)의 시리즈를 포스트하기 전에 네트워크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고 필요한 이유를 정리하고 시작하려고 한다.인터넷의 사용자라면 "네트워크"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았을
컴퓨터공학의 기초가 되는 cs지식을 되새기면서 이 후 있을 기술면접을 대비 하고자한다.현대인들에게는 너무 친숙한 인터넷은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구성과 작동원리가 있는지 알아보자검색을 해보니 인터넷은 오랜 역사와 생각보다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사전적의미로는 전
컴퓨터공학의 기초가 되는 cs지식을 되새기면서 이 후 있을 기술면접을 대비 하고자한다.이전의 포스트인 인터넷(Internet) 파트에서 인터넷을 이해하기 위한 정도의 TCP/IP를 알아보았다.이번 포스트에서는 TCP/I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연관이 있는 UDP까지
컴퓨터공학의 기초가 되는 cs지식을 되새기면서 이 후 있을 기술면접을 대비 하고자한다.초기에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주로 전송했지만, 최근에는 JSON,XML,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이다.또한 초기에 웹 브라우저와 웹
사전적 정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기능이다예를 들면 우리가 자주 접하는 naver.com, google.com 모두 DN
브라우저(Browser) 란? **인터넷에서 웹 서버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때 주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한다. 이 때 사이트에
호스팅(Hosting) 이란? 호스팅이란 말의 뜻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말이다. 그럼 웹 호스팅은? 말 그대로 외부의 서버를 빌려서 기능을 사용한다는 말을 의미한다. 호스팅은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호스팅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90년대 CS기반의 주류에서 이젠 2000년 이후에는 급격하게 Web으로의 전환이 되었다고 알고있다.두 모델의 경우 서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한번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여기서 말하는 CS는 Client & Server 를 칭한다.구조는 대부분 Server에서
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www.google.com)를 입력한다.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www.google.com' 과 같은 도메인(Domain)이 아닌 IP 주소의 진짜 주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IP 주소는
시큐어 셀(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