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필자가 뭔가를 만들 때는 그 기술에 대한 궁금증과 이렇게 사용하면 어떻게 될려나, 이렇게 해도 되나? 내가 이해한게 맞나? 라는 흥미와 지식욕을 채우기 위한 프로젝트와 자신이 필요해서 만든 것들 뿐이었다.하지만 지금 진행할 쇼필몰 프로젝트는 흥미도, 필요에 의해서
설계를 시작한 이유 > 사실 필자는 이전에 자신이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던 프로젝트들을 진행할 때 설계는 떠오르는대로 추가, 수정을 하며 진행하였었다. > 이 방식이 통했던 이유는 필요에 따라 수정이 자유로웠으며 시간 제한 없이 진행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생각한다. 사실
작업 환경 | Name | Version| | :---: | :---: | |Spring Boot| 3.1.2| |java|17| |PostgreSQL| 15| |IDE|IntelliJ| Profile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properties
계속해서 기능 구현보다 하나의 기능에 너무 많은 생각들이 떠올라 기능 구현에 속도가 전혀 나질 않았다.당장 기능 구현에 들어가기 전에 Spring Security의 러닝 커브, Jpa와 QueryDsl학습 Spring Boot의 활용법을 숙지해야 했다.또한 jwt를 현
개발 도중 JpaRepository를 사용 할 때 언제 persist가 이루어 지는지 궁금하기 시작했다. > 궁금하면 어떻게? 뜯어보자. 다행히 Spring Data Jpa에서는 SimpleJpaRepository를 구현체로 가지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바로
이번 글은 Spring Boot 학습 중 마주한 이슈에 대하여 적어보려 한다.일단 이 에러를 마주한 것은 Controller를 테스트 할 때 발생한 것인데, 분명 디버깅을 통해 값이 정확하게 들어간 것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Client에서 빈 객체를 받는 현상을 마주
프로젝트 진행 도중 마주하게 된 이슈에 대해 알아보다 알게 된 사실이다.현재 프로젝트에서 Entity의 ID값을 DB가 담당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그리고 문제의 시작은 Transactional의 Rollback을 이용하여 로직을 설계하던 도중에 발생하게 되었다.이미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