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te 생성하고, 2d에서 두 객체 이상이 겹칠 때 앞뒤 설정하는 법은 크게두가지가 있다.\-첫번 째는 2d를 3d화면으로 변경해 원하는 객체의 z축을 이동시키면 된다.\-두번 째는 order in layer로 조정하면된다. 숫자가 클수록 앞으로 나온다.(연두색과
아틀라스란 여러 개의 택스처를 묶어논 에셋(아틀라스 예시)원하는 아틀라스를 선택한 뒤, Sprite Mode 를 Single -> Multiple로 바꿈. Multiple로 바꿔줘야 조각으로 나눠 사용 가능.Sprite Editor에 들어감.슬라이스 방식Automati
1. 좌우 이동 > 3D와 거의 같은 방식. 이동시킬 오브젝트에 rigidbody2d를 미리 추가. 미리 Rigidbody 클래스의 rigid라는 변수를 선언한뒤 Awake()에다가 이 스크립트가 포함된 객체의 Rigidbody를 갖고옴. Horizontal 버튼
1. 이미지 방향 바꾸기 > Sprite Renderer - Flip 에 보면, X축 방향기준 과 Y축 방향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뒤집을 수 있음. Awake()함수에서 초기화. Input.GetbuttonUp("Horizontal")을 이용해 왼쪽키보드를 눌러
1. 점프구현 > ### 1-1. 기본 점프 소스코드 버튼의 연속적이 아닌 단발적인 사용으로, Update()에다가 작성. -* GetButtonDown을 이용해 "Jump"버튼을 누를 때, 물리적으로 힘을 가하는 함수인 AddForce()*을 이용해 원하는 크기
1. 타일팔레트 > 1-1. 타일팔레트 생성 타일팔레트 (Tile Palette) : 타일을 사용하기 위한 프리맵. Window - 2D - Tile Palette 들어간 뒤, Create new Palette로 생성. 생성 후, 사용하고픈 Tile, Sprite
1. AI몬스터 좌우 랜덤이동 > 1-1. 기본 좌우 랜덤 이동코드 몬스터의 랜덤 x값좌우이동을 정해줄 int형 변수 nextMove 선언. Random클래스 : 랜덤 수를 생성하는 로직 관련 클래스. * Range(최소값, 최대값) *: 최소 ~최대 범위의
1. 준비 단계(타일맵이용 설치, 물리레이어설정) > 1-1. 장애물 설치(타일맵을 이용한 장애물 설치) 먼저, 또다른 Tilemap을 생성하여 Spikes라는 장애물 전용 타일맵을 생성. 원하는 위치에 장애물 설치. Tilemap에 Tilemap Coll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