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HTTP의 확장성 덕분에, HTTP는 하이퍼텍스트 문서 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비디오 혹은 HTML 폼 결과와 같은 내용을 가져올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프
JWT(Jason Web Token)는 웹에서 사용하며, Jason 데이터 구조로 정보를 전달하는 토큰에 관한 표준 규격이다.사용자의 인증(authentication) 또는 인가(authorization)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한 객체에 담아서 전달한다.
1. 🍪쿠키란?🍪 쿠키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접속자의 개인장치에 다운로드 되고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텍스트 파일이다. 웹 사이트는 쿠키를 통해서 접속자의 장치를 알아내고, 접속자의 설정과 과거 이용내역에 관하여 일부 데이터를 저장한다. 파기 시점에 따라 브라
암호화 통신은 SSL, TSL이라는 보안 프로토콜을 통해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웹서버(서버)의 보안이 향상된 것이다. 보통 https로 시작하는 브라우저는 SSL(Secure Socket Layer) 혹은 TLS(Transport Layer Secuirty)을 이용한
1) 캐시(cache) ⑴캐시에 도메인이 있는지 확인한다. 브라우저 캐시에 해당 URL이 없다면 OS 캐시로, 없다면 라우터 캐시, 그 다음 ISP 캐시에서 확인한다. 브라우저 캐시 방문한 웹사이트의 DNS 기록을 일정 기간동안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한다. OS 캐시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나눈 것이다.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흐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다.또한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들
서버에서의 처리 결과는 응답 메시지의 상태 라인에 있는 상태 코드(status code)를 보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상태 코드는 세 자리 숫자로 되어 있다. 첫 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고, 나머지 2개의 숫자는 세부적인 응답 내용 구분을
FD
Net + Work의 합성어 : 컴퓨터와 같은 노드1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그물망처럼 통신하는 것데이터, 리소스를 송신, 교환 또는 공유하는 목적 케이블(유선) 또는 WIFI(무선)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하드웨어(ex) 라우터, 스위치,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계층은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고,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들을 보내기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1]들이 있는데 그것이 TCP와 UDP이다. 즉 HTTP / IP / TCP / UDP 는 모두 프로토
TCP는 신뢰성 프로토콜이므로, 배달 하기전에 목적지가 무사한지 미리 확인하고 배달 끝나고도 다시 확인도 해주는 과정이 있다.이러한 과정은 3 Way Handshake 와 4 Way Handshake이다.둘다 똑같은 핸드쉐이크(Handshake)지만, 3 Way는 통신
TCP의 3가지 제어 기능 흐름제어 :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 오류제어 :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잘못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 대처하는 방법 혼잡제어 : 네트워크 혼잡에 대처 흐름 제어 > '송신측의 전송량' > '수신측의 수신량'이라면 전송된 패킷은 수신측의
인터넷의 발달로 데이터 통신은 활발해졌다.이것은 트래픽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데이터 통신의 예 - 페이스북 ‘좋아요’ /친구에게 카톡으로 전송한 동영상 / 좋아하는 유튜버의 채널 시청)그 결과로 아무리 성능이 좋은 서버라고 해도 한 대의 서버로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
차이점 맛보기 | | HTTP | HTTPS | | - | - | - | | 정의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 기본 프로토콜 | HTTP/1과 HTTP/2는 TCP/IP를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할 때 키가 같은 것이다.반면 공개키(비대칭키)는 암호화할 때 키와 복호화 할 때 키가 다르다. 공개키 방식은 송수신자가 한 쌍의 키 (공개키와 개인키 두 개)를 가지고 있다.대칭키는 암복호화 키가 동일하다. 따라서 암복호화 방식에서
GET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어떤 리소스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한다.POST는 서버에 어떤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한다.GET은 SELECT, POST는 CREATE, UPDATE에 가깝다.GET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
모든 사용자가 IP 주소로만 접속해야한다면, 일반사람들은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속하기 위해서 도메인을 만들었다.만약 'www.singasong.co.kr'이라는 도메인이 있다면, DNS(Domain Name System)은 이러한 사람이 쓰는
동기/비동기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건지 아닐건지에 관한 것이다.블로킹/논블로킹은 현재 작업이 Block 되느냐 아니냐의 관점이다.즉, 동기/비동기는 출력 순서에 관한 것(전체적인 작업에서 순차적 흐름), 블로킹/논블로킹은 병렬실행(전체작업을 막느냐 안막느냐)과 관련
Stateful(상태유지)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저장하여 클라이언트 상태 유지ex) 한 번 로그인 하면 다른 화면에 넘어가도(상품상세, 장바구니, 결제 등) 로그인 상태가 풀리지 않는다. 이것은 서버가 클라이언트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이러한 정보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이나 PC에 부여하는 고유한 주소이다. 모든 장비에 IP 주소가 할당되어야 한다.IP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0~255 사이의 십진수 넷을 구분하여 부여한다. 주소의 총 수는 0.0.0.0 ~ 255.255.255.255 이므로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