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한.끝] 5. 모델 저장과 콜백

PurinYun·2023년 12월 19일
0

AIffel

목록 보기
59/75

학습시킨 모델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은 모델 관리,
더 나아가 MLOps(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학습, 서비스 배포까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MNIST 모델

: 손으로 쓴 숫자들로 이루어진 이미지 데이터셋

1-1. 모듈 임포트

딥러닝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인 Tensorflow와 keras를 임포트하고,
케라스(Keras)의 모델, 레이어, 옵티마이저, 유틸을 사용할 수 있도록
models, layers, optimizer, utils를 임포트합니다.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 import keras
from tensorflow.keras import models, layers, utils

1-2. 데이터 로드 및 전처리

이제 우리가 사용할 MNIST 데이터셋을 로드하기 위해서
케라스의 데이터셋에 내장되어 있는 tensorflow.keras.datasets.mnist를 임포트합니다.
그리고 train_test_split() 함수를 이용해
학습용 데이터인 x_train_full와 y_train_full를 나누어서
70%는 학습용 데이터인 x_train와 y_train으로 사용하고,
30%는 검증 데이터인 x_val와 y_val로 사용합니다.

from tensorflow.keras.datasets import mnist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ain_full, y_train_full), (x_test, y_test) = mnist.load_data(path='mnist.npz')

x_train, x_val, y_train, y_val = train_test_split(x_train_full, y_train_full,
                                                  test_size=0.3,
                                                  random_state=123)

print(f"전체 학습 데이터: {x_train_full.shape}  레이블: {y_train_full.shape}")
print(f"학습용 데이터: {x_train.shape}  레이블: {y_train.shape}")
print(f"검증용 데이터: {x_val.shape}  레이블: {y_val.shape}")
print(f"테스트용 데이터: {x_test.shape}  레이블: {y_test.shape}")

데이터셋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출력해보면,
전체 60,000개의 학습 데이터 중에서
70%인 42,000개가 학습용 데이터로 나눠지고,
30%인 18,000개가 검증용 데이터로 나눠졌으며,
테스트용으로는 10,000개가 주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NIST 데이터셋에 실제 숫자 이미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60,000개 중에서 6개만 랜덤으로
x_train_full과 y_train_full에서 추출하여 표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style.use("seaborn-white")

num_sample = 6
random_idxs = np.random.randint(60000, size=num_sample)

plt.figure(figsize=(15, 3))
for i, idx in enumerate(random_idxs):
  img = x_train_full[idx, :]
  label = y_train_full[idx]

  plt.subplot(1, len(random_idxs), i+1)
  plt.axis('off')
  plt.title(f'Index: {idx}, Label: {label}')
  plt.imshow(img)

MNIST의 학습용 데이터가 실제 값으로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출력을 해보면,

print(y_train[0])

y_train의 0번째는 4라는 값이 저장되어 있는걸 알 수 있고

img = x_train[0, :]
plt.axis('off')
plt.imshow(img)
print(x_train[0])

x_train의 0번째에는 숫자 4에 대한 이미지를
0~255 사이의 값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MNIST 데이터셋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딥러닝 모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본 예제에서는 간단한 전처리만 사용해서 x_train, x_val 그리고 x_test의 값들을 255로 나누어줍니다.

이미지의 픽셀이 표현하는 값의 범위가 0 ~ 255이기 때문에 최대값인 255로 나누어주면,
값이 0 ~ 1 사이의 범위로 스케일링되어 학습에 용이해집니다.

y_train, y_val, 그리고 y_test의 경우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나타내는 레이블이기 때문에
총 10개의 값을 가지는 범주형입니다.
따라서 utils.to_categorical을 이용해 원-핫 인코딩을 수행합니다.
(정답에는 1을, 나머지의 값은 0을 부여)

x_train = x_train / 255.
x_val = x_val / 255.
x_test = x_test / 255.

y_train = utils.to_categorical(y_train)
y_val = utils.to_categorical(y_val)
y_test = utils.to_categorical(y_test)

print(y_train[0])
print(y_val[0])
print(y_test[0])

1-3. 모델 구성

딥러닝 모델 구성을 위해서 Sequential() 함수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레이어를 구성합니다.

먼저 MNIST 데이터셋의 숫자 이미지가 28 x 28 사이즈를 사용하므로
입력 객체로 keras.Input를 사용할 때, shape을 (28, 28)로 지정해줍니다.

그리고 1차원으로 쭉 펼쳐주는 layers.Flatten 레이어를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 모양이 2차원인 28 x 28 크기를 1차원으로 784 크기를 갖도록 변형해줍니다.

그 이후 레이어로 layers.Dense를 여러겹 사용하여
유닛수를 100, 64, 32, 10으로 4겹 쌓아주고, 활성화 함수로 relu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MNIST의 숫자가 0부터 9까지 총 10개 이므로
마지막 레이어에서는 전체 카테고리의 수인 10을 유닛수로 지정하고,

활성화 함수는 softmax를 사용하여 각 카테고리별 확률 값을 구합니다.

model = models.Sequential()
model.add(keras.Input(shape=(28, 28), name='input'))
model.add(layers.Flatten(input_shape=[28, 28], name='flatten'))
model.add(layers.Dense(100, activation='relu', name='dense1'))
model.add(layers.Dense(64, activation='relu', name='dense2'))
model.add(layers.Dense(32, activation='relu', name='dense3'))
model.add(layers.Dense(10, activation='softmax', name='output'))
model.summary()

utils.plot_model(model)

모델의 구성을 각 레이어의 모양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합니다.

utils.plot_model(model, show_shapes=True)

1-4. 모델 컴파일 및 학습

구성한 모델에 손실 함수로는
다중 분류로 클래스가 원-핫 인코딩 방식으로 되어 있을 때 사용하는
categorical_crossentropy를 지정하고,
옵티마이저는 가장 기본적인 sgd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분류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accuracy를 지정합니다.

model.compile(loss='categorical_crossentropy',
              optimizer='sgd',
              metrics=['accuracy'])

이제 본격적으로 딥러닝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fit을 실행시키는데,
이때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로 x_train과 y_train을 지정하고,
학습을 반복하는 에폭 수(epochs)는 40으로 지정하며,
배치 사이즈(batch_size)는 128로 지정합니다.
그리고 검증을 위해서 나누었던 데이터로 x_val와 y_val을 지정해줍니다.

history = model.fit(x_train, y_train,
                    epochs=50,
                    batch_size=128,
                    validation_data=(x_val, y_val))

모델이 학습을 진행하면서 각 에폭마다 지표 결과들을 history로 저장을 합니다.

history.history.keys()


저장된 형태를 보면 loss, accuracy, val_loss, val_accuracy로 구분되는걸 알 수 있습니다.

history에 저장된 결과 값들이 에폭이 진행되면서 변화되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시각화합니다.

history_dict = history.history

loss = history_dict['loss']
val_loss = history_dict['val_loss']

epochs = range(1, len(loss) + 1)
fig = plt.figure(figsize=(12, 5))

ax1 = fig.add_subplot(1, 2, 1)
ax1.plot(epochs, loss, color='blue', label='train_loss')
ax1.plot(epochs, val_loss, color='red', label='val_loss')
ax1.set_title('Train and Validation Loss')
ax1.set_xlabel('Epochs')
ax1.set_ylabel('Loss')
ax1.grid()
ax1.legend()

accuracy = history_dict['accuracy']
val_accuracy = history_dict['val_accuracy']

ax2 = fig.add_subplot(1, 2, 2)
ax2.plot(epochs, accuracy, color='blue', label='train_accuracy')
ax2.plot(epochs, val_accuracy, color='red', label='val_accuracy')
ax2.set_title('Train and Validation Accuracy')
ax2.set_xlabel('Epochs')
ax2.set_ylabel('Accuracy')
ax2.grid()
ax2.legend()

plt.show()

첫 번째 차트에서는 loss와 val_loss를 함께 보여주고,
두 번째 차트에서는 accuracy와 val_accuracy를 함께 보여줍니다.

1-5. 모델 평가 및 예측

학습된 모델의 평가를 위해서 x_test와 y_test를 대상으로 evaluate() 함수를 동작시킵니다.

model.evaluate(x_test, y_test)

학습된 모델의 예측을 위해 x_test를 넣고,
그에 대한 예측 결과를 받아서 0번째 결과만 확인을 해봅니다.

pred_ys = model.predict(x_test)
print(pred_ys.shape)
print(pred_ys[0])

최종 레이어인 유닛 수 10개의 softmax를 활성화 함수로 통과한 결과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값 중에서 가장 큰 수가 있는 위치값을 np.argmax() 를 통해서 구하고,
예측한 레이블 값 arg_pred_y[0]과 실제 숫자 이미지인 x_test[0]를 출력해봅니다.

arg_pred_y = np.argmax(pred_ys, axis=1)

plt.title(f'Predicted label: {arg_pred_y[0]}')
plt.imshow(x_test[0])
plt.show()

모델이 제대로 분류를 수행했는지 알기 위해서
사이킷런(Scikit-Learn)에 포함된 classification_report를 임포트해서
각종 지표들을 한눈에 살펴봅니다.

from sklearn.metrics import classification_report

print(classification_report(np.argmax(y_test, axis=-1), np.argmax(pred_ys, axis=-1)))

각 레이블 별로 분류가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 을 이용해 시각화합니다.

from sklearn.metrics import confusion_matrix
import seaborn as sns
sns.set(style='white')

plt.figure(figsize=(8, 8))
cm = confusion_matrix(np.argmax(y_test, axis=1), np.argmax(pred_ys, axis=-1))
sns.heatmap(cm, annot=True, fmt='d', cmap='Blues')
plt.xlabel('Predicted Label')
plt.ylabel('True Label')
plt.show()

Q. 위 결과를 보았을 때 모델이 어떤 숫자를 가장 맞추기 어려워했고 어떤 숫자와 헷갈려 하나요?

숫자 9를 맞추기 어려워했으며 숫자 4와 가장 많이 헷갈려 했습니다.

2. 모델 저장과 로드

모델을 열심히 학습시키고 저장을 안한다면 다시 처음부터 학습을 해야합니다.
모델을 저장할 때는 save() 함수를 사용하여 쉽게 저장할 수 있고,
다시 모델을 불러올 때는 load_model()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모델 생성 시에 Sequencial API 또는 Functional API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델의 저장 및 로드가 가능하지만
Subclassing API 방식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Subclassing API 방식은 save_weights()와 load_weights()를 이용해
모델의 파라미터만 저장 및 로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만약 JSON 형식으로 모델을 저장하려면 to_json()를 사용하여 가능하고,
JSON 파일로부터 모델을 로드하려면 model_from_json()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 밖에도 YAML로 직렬화하여 저장할 경우 to_yaml()를 사용하고,
model_from_yaml()를 사용하여 로드하면 됩니다.

실습을 통해 모델 저장과 로드를 해봅시다.
mnist_model.h5라는 이름으로 모델을 저장합니다.

model.save('mnist_model.h5')

mnist_model.h5라는 이름의 모델을 로드하여 가져옵니다.

loaded_model = models.load_model('mnist_model.h5')
loaded_model.summary()

로드한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해봅니다.

pred_ys2 = loaded_model.predict(x_test)
print(pred_ys2.shape)
print(pred_ys2[0])

Q. to_json() 함수를 이용해 모델을 저장해보고 다시 불러서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결과가 같은가요, 다른가요?

# 위에서 학습시킨 model의 구조를 json 형식으로 model_json에 저장합니다.
model_json = model.to_json()

# json으로 저장한 모델을 읽어옵니다.
loaded_model = keras.models.model_from_json(model_json)

predictions = loaded_model.predict(x_test)

print(predictions.shape)
print(predictions[0])

3. 콜백(callbacks)

모델을 fit() 함수를 통해 학습시키는 동안
callbacks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학습 시작이나 끝에 호출할 객체 리스트를 여러 개 지정할 수 있습니다.

from tensorflow.keras import callbacks

3-1. ModelCheckpoint

tf.keras.callbacks.ModelCheckpoint
: 정기적으로 모델의 체크포인트를 저장하고,
문제가 발생할 때 복구하는데 사용합니다.

check_point_cb = callbacks.ModelCheckpoint('keras_mnist_model.h5')
history = model.fit(x_train, y_train, epochs=10,
                    callbacks=[check_point_cb])

최상의 모델만을 저장하는 옵션으로 save_best_only=True를 지정합니다.

check_point_cb = callbacks.ModelCheckpoint('keras_mnist_model.h5', save_best_only=True)
history = model.fit(x_train, y_train, epochs=10,
                    validation_data=(x_val, y_val),
                    callbacks=[check_point_cb])

3-2. EarlyStopping

tf.keras.callbacks.EarlyStopping
: 검증 성능이 한동안 개선되지 않을 경우 학습을 중단할 때 사용합니다.

일정 patience 동안 검증 세트에 대한 점수가 오르지 않으면 학습을 멈추게 됩니다.
모델이 향상되지 않으면 학습이 자동으로 중지되므로, epochs 숫자를 크게 해도 무방합니다.
학습이 끝난 후의 최상의 가중치를 복원하기 때문에 모델을 따로 복원할 필요가 없습니다.

check_point_cb = callbacks.ModelCheckpoint('keras_mnist_model.h5', save_best_only=True)
early_stopping_cb = callbacks.EarlyStopping(patience=3, monitor='val_loss',
                                  restore_best_weights=True)
history = model.fit(x_train, y_train, epochs=10,
                    validation_data=(x_val, y_val),
                    callbacks=[check_point_cb, early_stopping_cb])

3-3. LearningRateScheduler

tf.keras.callbacks.LearningRateSchduler
: 최적화를 하는 동안 학습률(learning_rate)를 동적으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에폭 수가 10 미만일 경우는 학습률을 그대로
10 이상이 되면 -0.1%씩 감소

def scheduler(epoch, learning_rate):
  if epoch < 10:
    return learning_rate
  else:
    return learning_rate * tf.math.exp(-0.1)
round(model.optimizer.lr.numpy(), 5)

0.01

lr_scheduler_cb = callbacks.LearningRateScheduler(scheduler)

history = model.fit(x_train, y_train, epochs=15,
                    callbacks=[lr_scheduler_cb], verbose=0)

round(model.optimizer.lr.numpy(), 5)

0.00607

3-4. Tensorboard

tf.keras.callbacks.TensorBoard
: 모델의 경과를 모니터링할 때 사용합니다.

텐서보드를 이용하여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logs 폴더를 만들고,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텐서보드에는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해서 여러가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og_dir = './logs'
tensor_board_cb = [callbacks.TensorBoard(log_dir=log_dir, histogram_freq=1, write_graph=True, write_images=True)]
model.fit(x_train, y_train, batch_size=32, validation_data=(x_val, y_val),
          epochs=30, callbacks=tensor_board_cb)

로컬PC나 colab 등의 환경에서 위의 코드를 그대로 구동한다면 다음과 같은 tensorboard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리

Q. Keras에서 모델을 저장하는 파일형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어떤건지 설명하고 해당 방식으로 저장하려면 어떻게 작성하는지 코드까지 작성해주세요.

1. JSON 형식
: 모델의 구조(아키텍처)를 저장하며, 가중치는 따로 저장되지 않습니다.

from keras.models import model_from_json

# 모델 구조를 JSON 형식으로 저장
model_json = model.to_json()
with open("model.json", "w") as json_file:
    json_file.write(model_json)
    
# 가중치를 HDF5 형식으로 저장
model.save_weights("model.h5")

2. YAML 형식
: JSON과 유사하게 모델의 구조를 저장하며, 가중치는 별도로 저장됩니다.

from keras.models import model_from_yaml

# 모델 구조를 YAML 형식으로 저장
model_yaml = model.to_yaml()
with open("model.yaml", "w") as yaml_file:
    yaml_file.write(model_yaml)

# 가중치를 HDF5 형식으로 저장
model.save_weights("model.h5")

3. HDF5 형식:
모델의 구조와 가중치를 모두 포함하여 저장합니다.
이 방식은 모델을 불러올 때 전체 모델을 한 번에 로드할 수 있습니다.

# HDF5 형식으로 전체 모델과 가중치 저장
model.save("full_model.h5")

위 코드에서 model은 Keras 모델 객체입니다. 각 형식으로 저장할 때 모델 구조는 해당 형식에 맞게 저장되며, 가중치는 save_weights() 메서드로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거나, HDF5 형식으로 모델과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
Fantivatio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