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에 했던 스타벅스 클론 코딩 복습 및 기록 시작

웹페이지가 소셜 미디어(페이스북 등)로 공유될 때 우선적으로 활용되는 정보를 지정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폰트 나눔고딕 사용 (굵기 400, 700)

구글에서 제공하는 머터리얼 아이콘 무료 사용

가장 기본적인 COMMON CSS 작성 및 헤더 영역 정리, 로고 정렬

서브 메뉴 작성 및 정렬

검색 버튼의 기본적인 CSS와 포커스 중/포커스 중이 아닐 때의 스타일 변화, 아이콘을 클릭해도 input 요소가 동작하게 만들기

메인 메뉴와 드롭다운 메뉴 스타일 지정 및 정렬

GSAP 플러그인을 이용한 전역 배지. </header> 바로 윗부분에 작성

메인 비주얼 부분을 제작하고 전역 버튼 (자세히 보기)를 클래스 지정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CSS에 코딩한다. .btn에 공통적인 속성을 작성하고 .btn--상태에 바리에이션을 작성한다.

GSA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요소들이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제작한다. for문을 이용해 요소마다 딜레이를 다르게 한다.

swiper.js를 사용해 수직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드하는 공지사항을 구현한다.

swiper를 이용해 프로모션 이미지 슬라이드를 구현한다. 좌우로 넘어갈 수 있는 화살표 버튼과, 아래에 페이지 네비게이션도 구현.

배경이 있는 이미지에 맞게 리워드 섹션을 구현 버튼은 기존 작성한 전역 버튼 스타일을 활용

유튜브 API를 활용해 섹션 배경으로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도록 구현하고, 영상이 배경처럼 느껴질 수 있도록 위에 약간 투명한 배경 패턴을 깔아준다.

랜덤 수치를 활용한 플로팅 요소를 제작한다. 총 세 개이나, 하나는 위치상 다음 섹션으로 이동시켰다.

뷰포트에 배경 이미지를 고정하여 스크롤을 내리더라도 배경 이미지가 고정되도록 구현한다.(윗부분의 구성도 함께 구현)

요소의 뒷면을 보지 않는 backface-visibility: hidden; 옵션을 이용한 3D 애니메이션

GSAP의 ScrollTo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요소들이 불러와지는 애니메이션을 구현한다.

Swiper.js 를 이용해 다중 요소 슬라이드를 제작한다.

푸터를 작성하고, JS를 활용해 카피라이트 부분의 년도를 올해로 설정한다.

GSAP과 ScrollTo 플러그인을 이용해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는 버튼을 작성한다. 기존의 JS를 활용해 약간의 코드만 추가하여 구현함.

로그인 페이지를 구현한다. 이건 git 실습을 위한 거였지만 아래쪽 버튼을 만드는 게 인상적이어서 기록해두기... 헤더/푸터 등 메인 페이지와 공통된 부분은 생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