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는 Research의 개념과 유형들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내 Project 주제에 맞는 Persona 설정, Jorney Map을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UX Research
사용자 조사는 Interview, 설문 조사, 사용성 평가 및 기타 형태의 Feedback 방법론을 통해 사용자 행동, 요구 및 동기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며 사람들이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Design Solution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평가하는 데 사용됨
-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 요구, 동기 등을 조사하는 과정
- 제품/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음
> UX Resaerch가 필요한 시기
✅ 서비스 기획 전 문제 발굴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고 싶을 때
✅ 서비스 출시 전 실제 User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싶을 때
✅ 현재 운영하는 서비스의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개선 방법을 찾고 싶을 때
✅ User가 우리 서비스에 만족하는지 알고 싶을 때
✅ User의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싶을 때
> Product/Service 단계별 UX Research
1️⃣ 기획, Concept 단계
잠재 사용자의 Needs 파악, 경쟁/유사 서비스 이용 행태 파악, 서비스 초기 가설에 대한 반응 파악
2️⃣ Prototype/출시 전 단계
Prototype에 대한 반응 파악, Prototype기능의 사용 행태 파악, 기능에 대한 사용성 평가
3️⃣ 출시 후 단계
Product에 대한 반응 파악, Product의 실제 이용 행태 파악, Product에 대한 인식 파악
사용자의 Feedback을 수집한 뒤 Design을 통해 개선을 하면 더 나은 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 UX Research의 필요성
- 사용자 중심 설계의 기반 마련
UX Research는 실제 사용자의 행동, 필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추측이나 가정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 문제 발견 및 개선점 도출
사용자가 겪고 있는 불편함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개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야하며 사용성 테스트나 인터뷰 등을 통해 서비스의 약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Resource 절약과 효율성 극대화
사전에 문제를 발견하여 큰 수정 비용을 줄이고, 불필요한 기능 개발을 방지해야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과적으로 리소스를 배분할 수 있음-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 파악
사용자가 실제로 원하는 기능이나 개선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어, 제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정량적 데이터(설문조사)와 정성적 데이터(인터뷰)를 함께 분석하여 종합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 비즈니스 성과 향상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면 고객 충성도와 재방문율이 증가하여 비즈니스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데이터 기반 UX 개선은 KPI 향상으로 직접 연결 될 수 있음
> 정성적 Research
정성적 조사는 연구 결과 뒤에 숨은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론
통계 및 구조화 된 데이터에 덜 중점을 두지만 Text 기반 정보를 통해 인간의 행동, 동기 및 정서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 (Interview, Focus Group과 같은 직접적인 관찰을 포함)💬 Focus Group
- 좌담회 : FGD(Focus Group Discussion)과 FGI(Focus Group Interview)가 있음
- FGD는 질문과 함께 참가자가 토론하며 의견을 주고 받는 방식, FGI는 Moderator가 질문하고 참가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
- 정량조사대비 응답자 표본의 수는 적지만, 응답자의 태도나 뉘앙스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거나 심층적인 답변 및 행태 이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 IDI
- In-Depth Interview, 개별 심층 인터뷰
- 한명의 참가자와의 개별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인 의견을 얻는 방법
- 정량조사대비 응답자 표본의 수는 적지만, 민감한 주제를 다룰 때 유용
💬 UT
- UT(Userbility Test) 사용성 테스트
- 사용자가 실제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관찰하는 조사로, 확인하려는 Task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관찰 및 의견을 묻는 방식
-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 및 행동의 경로 등을 파악하는 것에 용이
💬 In-Home Visit
- 직접 방문하여 관찰하는 조사
- 설문조사나 대화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User의 제품 사용 행태 관찰 가능
💬 Diary
- 일정기간동안 참여자의 경험을 기록물로 수집하는 조사
- 참여자가 순발력이나 기억에만 의지하지 않고 경험이 생생히 남아있을 때 기록이 가능
> 정량적 Research
정량적 조사는 연구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결과를 예측해야 할 때 지원을 제공하는 방법론
변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수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산출되는 정량적 데이터는 체계적으로 분석된 수집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이고도 결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조화되고 통계적이어야 함📊 A/B Test
- 두가지 이상의 버전을 참가자에게 제시하고 비교하여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 버전을 테스트하는 방식
📊 User Survey
- 설문지를 활용해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방식
- 단기간 내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 행동 이면의 원인을 알기에 어려움이 있음
※ 꼭 하나의 Research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조사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고객의 실제 Needs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사용자 경험 분석 → Key Findings → Insight → UX Value → UX Concept & Ideation → Scenario
누구에게(Who) : Research 대상
무엇을(What) : Research 내용
어떻게(How) : Research 방법
> Persona
대상 고객을 나타내는 가상의 인물을 의미하며 이는 실제 사람이 아니지만 실제 인터뷰, 설문 조사 및 기타 형태의 사용자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사실을 기반으로 만들어짐
> Journey Map
사용자가 생활 맥락에서 제품/서비스와 만나는 지점을 살펴보고 기록해야 한다는 의미로 인터뷰 결과물과 페르소나 활동으로 만든 가상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그 사용자가 실제 제품/서비스에서 겪는 경험을 시각화
기존의 경험에 가치(일반적 가치, 차별화 가치(사용성/감성), 특별한 가치(의미))를 더해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 냄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Search를 통해 Research의 의미와 유형을 심도있게 이해하며 Project를 위한 Persona 설정과 Journey Map을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아래는 내가 Notion, Figma로 작성한 Research 개념과 Persona, Journey Map이다.
<Research 개념, 유형정리>
<Persona, Journey Map 작성>
내가 일상에 불편했던 경험을 토대로 개인 Project를 위한 작업을 하며 오늘 배운 Research의 중요성을 알고 경험을 통해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었다. Research 후에 진행 될 Project의 내용도 더욱 기대가 된다. Reference와 여러 경험으로 좋은 퀄리티를 통해 꼭 Portfolio에 넣을 수 있도록 제작하고 싶다.